언어(言語)

말을 하게 하는 방법[言語法]

한닥터 2011.07.16 조회 수 709 추천 수 0
◎ 言語法 ○ 少言語養內氣<七禁文> ○ 語過多成咳嗽或失音<脈訣> ○ 凡言語誦讀常想聲在氣海中(臍下穴名)每日初入後勿言誦讀寧待平朝也.<得效> ○ 食上不得語語而食者常患胸背痛古人食不語寢不言以此故也.<得效> ○ 臥勿大語損人氣力亦不用寢臥多言笑寢不得言語者言五藏如鍾磬然不懸則不可發聲也.<得效> ○ 行不得語若欲語須住脚乃得語行語則令人失氣<得效> ○ 東垣省言箴(詳見身形)

☞ 말을 하게 하는 방법[言語法]

  ○ 말을 적게 하면 속에 있는 기(氣)를 보할 수 있다[칠금문]. ○ 말을 지나치게 많이 하면 기침이 나거나 목이 쉰다[맥결]. ○ 말하거나 외우거나 읽을 때에는 언제나 기해(氣海, 배꼽아래에 있는 혈이름) 속에서 소리가 난다고 생각하여야 한다. 그리고 날마다 첫새벽이나 밤늦게까지 높은 소리로 읽거나 외우지 말며 조용히 날이 밝을 때까지 기다려야 한다[득효]. ○ 음식을 먹을 때에는 말을 하지 말아야 한다. 말하면서 음식을 먹으면 늘 가슴과 등이 아프게 된다. 옛날 사람들이 밥을 먹을 때에 말하지 말며 잠잘 때에도 말하지 말라고 한 것은 이런 원인이 있기 때문이다[득효]. ○ 누워서 말을 크게 하지 말아야 한다. 왜냐하면 기력을 상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자려고 누워서 말을 많이 하거나 웃지 말아야 한다. 5장은 종과 같은데 종은 매달지 않으면 소리가 나지 않는다. 그러므로 누워서 말을 하지 말라는 것이다[득효]. ○ 길을 가면서 말을 하지 말아야 한다. 만약 말하고 싶으면 걸음을 잠깐 멈추고 해야 한다. 길을 가면서 말하면 기운이 빠진다[득효]. ○ 『동원』 「성언잠」(자세한 것은 신형문(身形門)에 있다)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나무[木部]] 자광(紫?) 8
[풀(草部)] 상산(常山) 13
[풀(草部)] 관중(貫衆) 13
[돌[石部]] 증청(曾靑) 13
[돌[石部]] 석담(石膽) 14
[풀(草部)] 산막(酸摸) 15
[풀(草部)] 여여(?茹) 15
[나무[木部]] 종려피(棕櫚皮) 15
[풀(草部)] 속수자(續隨子) 16
[풀(草部)] 목적(木賊, 속새) 16
[풀(草部)] 백급(白及 ) 17
[풀(草部)] 등심초(燈心草, 골풀) 17
[풀(草部)] 초호(草蒿, 제비쑥) 18
[나무[木部]] 조등(釣藤, 조구등) 18
[나무[木部]] 원화(?花) 19
[풀(草部)] 마편초(馬鞭草) 20
[돌[石部]] 자황(紫黃) 20
[풀(草部)] 대황(大黃) 21
[나무[木部]] 목별자(木鼈子) 21
[풀(草部)] 사함(蛇含, 사함초) 22
[풀(草部)] 상륙(商陸, 자리공) 22
[풀(草部)] 하고초(夏枯草, 꿀풀) 22
[풀(草部)] 양척촉(羊?? , 철쭉꽃) 23
[풀(草部)] 천남성(天南星) 23
[나무[木部]] 무환자피(無患子皮) 23
[돌[石部]] 염정(鹽精) 23
[나무[木部]] 백랍(白蠟) 24
[돌[石部]] 홍반(紅礬) 24
[돌[石部]] 방해석(方解石, 차돌) 24
[풀(草部)] 정력자(??子, 꽃다지씨)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