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言語)

침뜸치료[鍼灸法]/언어

한닥터 2011.07.16 조회 수 640 추천 수 0
◎ 鍼灸法 ○ ?不能言取合谷涌泉陽交通谷天鼎期門支溝<甲乙經> ○ 足太陰之脈病舌本强不能言又手少陰之別脈名曰通里虛則不能言取此穴<靈樞> ○ 舌緩不能言取?門舌下腫難言取廉泉<資生>

☞ 침뜸치료[鍼灸法]/언어  

○ 벙어리가 되어 말을 하지 못하는 데는 합곡(合谷), 용천(涌泉), 양교(陽交), 통곡(通谷), 천정(天鼎), 기문(期門), 지구(支溝)혈들을 쓴다[갑을경]. ○ 족태음경(足太陰經)에 병이 생기면 혀뿌리가 뻣뻣해져 말을 할 수 없게 된다. 또한 수소음경(手少陰經)의 별맥(別脈)을 통리(通里)라고 하는데 그 맥이 허(虛)하면 말을 하지 못한다. 이런 때에 위의 침혈들을 쓴다[영추]. ○ 혀가 늘어져서 말을 못하는 데는 아문(?門)혈을 쓰고 혀 밑이 부어서 말하기 힘들어 하는 데는 염천(廉泉)혈을 쓴다[자생].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채소(菜部)] 적현(赤? , 붉은 비름) 79
[풀(草部)] 율초( ?草, 한삼덩굴) 79
[금속[金部]] 철설(鐵屑, 쇠가루, 쇠똥) 79
[채소(菜部)] 과자화(瓜子花, 참외꽃) 80
[풀(草部)] 감수(甘遂) 80
[풀(草部)] 예장(?腸) 한련자(旱蓮子) 연자초(蓮子草) 80
[나무[木部]] 자목(刺木, 산뽕나무) 80
[돌[石部]] 태음현정석(太陰玄精石) 80
[풀(草部)] 필발(?撥) 81
[나무[木部]] 백교향(白膠香) 81
[나무[木部]] 백양수피(白楊樹皮, 백양나무껍질) 81
[채소(菜部)] 녹각채(鹿角菜) 82
[풀(草部)] 봉선화(鳳仙花) 82
[풀(草部)] 감송향(甘松香) 83
[채소(菜部)] 궐채미(蕨菜薇, 고비) 84
[풀(草部)] 백두구(白豆?) 84
[풀(草部)] 택칠(澤漆) 84
[풀(草部)] 초장초(酢漿草, 괴싱아) 84
[나무[木部]] 안식향(安息香) 84
[돌[石部]] 적석지(赤石脂) 84
[돌[石部]] 백맥반석(白麥飯石) 84
[채소(菜部)] 고호(苦瓠, 쓴 박) 85
[풀(草部)] 현호색(玄胡索) 85
[풀(草部)] 불이초(佛耳草, 떡쑥) 85
[나무[木部]] 고다(苦茶, 작설차) 85
[나무[木部]] 천축황(天竺黃, 참대속진) 85
[나무[木部]] 곡약(?若, 조리참나무잎) 85
[풀(草部)] 홍초(紅草) 86
[나무[木部]] 자단향(紫檀香) 87
[풀(草部)] 감송향(甘松香) 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