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言語)

침뜸치료[鍼灸法]/언어

한닥터 2011.07.16 조회 수 640 추천 수 0
◎ 鍼灸法 ○ ?不能言取合谷涌泉陽交通谷天鼎期門支溝<甲乙經> ○ 足太陰之脈病舌本强不能言又手少陰之別脈名曰通里虛則不能言取此穴<靈樞> ○ 舌緩不能言取?門舌下腫難言取廉泉<資生>

☞ 침뜸치료[鍼灸法]/언어  

○ 벙어리가 되어 말을 하지 못하는 데는 합곡(合谷), 용천(涌泉), 양교(陽交), 통곡(通谷), 천정(天鼎), 기문(期門), 지구(支溝)혈들을 쓴다[갑을경]. ○ 족태음경(足太陰經)에 병이 생기면 혀뿌리가 뻣뻣해져 말을 할 수 없게 된다. 또한 수소음경(手少陰經)의 별맥(別脈)을 통리(通里)라고 하는데 그 맥이 허(虛)하면 말을 하지 못한다. 이런 때에 위의 침혈들을 쓴다[영추]. ○ 혀가 늘어져서 말을 못하는 데는 아문(?門)혈을 쓰고 혀 밑이 부어서 말하기 힘들어 하는 데는 염천(廉泉)혈을 쓴다[자생].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폐장(肺臟)] 폐장이 크고 작은 것[肺臟大小] 643
[목구멍(咽喉)] 인후병에서 치료할 수 없는 증[咽喉不治證] 643
[가슴(胸)] 심통에는 또 6가지가 있다[心痛亦有六] 643
[손(手)] 열손가락에 감각이 둔해진 것[十指麻木] 643
[후음(後陰)] 치질을 치료하는 방법[痔病治法] 643
[풍(風)] 중풍은 크게 4가지로 나눈다[中風大法有四] 643
[옹저(癰疽)] 정저를 치료하는 방법[?疽治法] 643
[과실(果部)] 산사자(山?子, 찔광이) 643
[오장육부(五臟六腑)] 5장이 작고 큰 것이 있다[五臟有小大] 642
[머리(頭)] 맥 보는 법[脈法]/머리 642
[이빨(牙齒)] 이빨이 점차 자라는 것[牙齒漸長] 642
[이빨(牙齒)] 이빨을 가는 것[?齒] 642
[손(手)] 침뜸치료[鍼灸法]/팔 642
[채소(菜部)] 번루(?蔞) 642
[대변(大便)] 수곡리 641
[학질(?疾)] 학질을 치료할 때에는 반드시 음과 양이 갈라지게 하는 약을 써야 한다[治?須用分陰陽之藥] 641
[해독(解毒)] 고독 때 토하게 하는 약[吐蠱藥] 641
[언어(言語)] 침뜸치료[鍼灸法]/언어 640
[방광부(膀胱腑)] 단방(單方)/방광부 640
[눈(眼)] 황막상충(黃膜上衝) 640
[눈(眼)] 멀리 보지 못하는 것과 가까이 보지 못하는 것[不能遠視不能近視] 640
[후음(後陰)] 혈치(血痔) 640
[한(寒)] 땀을 내야 할 증과 땀을 내서는 안될 증[可汗不可汗證] 640
[기침(咳嗽)] 기침, 천식, 딸꾹질 때 치료하기 어려운 증[嗽喘咳逆不治證] 639
[괴질(怪疾)] 몸에서 물소리가 나는 것[遍身波浪聲] 639
[침구(針灸)] 침혈을 잡는 법[點穴法] 638
[방광부(膀胱腑)] 방광의 기가 끊어진 증후[膀胱絶候] 638
[맥(脈)] 12경맥(十二經脈) 638
[물고기(魚部)] 여어(?魚, 가물치) 638
[오줌(小便)] 소변이 많고 적은 것[小便多寡] 6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