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액(津液)

어린이 식은땀[童子盜汗]

한닥터 2011.07.18 조회 수 1155 추천 수 0
? 童子盜汗一童子自?至童盜汗七年諸藥不效用凉膈散三黃元(?見火門)三日病已盖腎主五液化爲五濕相火逼腎腎水上行乘心之虛而入手少陰心火炎上而入肺欺其不勝已也.皮毛以是而開玄府不閉而爲汗先以凉膈散瀉胸中相火次以三黃丸瀉心火以助陰分則腎水還本汗自止矣<海藏>

☞ 어린이 식은땀[童子盜汗]

  ○ 어떤 어린이가 어릴 때부터 소년시기까지 7년 동안 식은땀이 계속 나서 여러 가지 약을 썼으나 효과를 보지 못하다가 양격산과 삼황원(三黃元, 처방은 모두 화문에 있다)을 3일 동안 쓰고 나았는데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신은 5가지 액을 주관하면서 그것을 5가지 습으로 변화시킨다. 상화(相火)가 신수(腎水)를 억누르면 신수는 위로 올라갔다가 심이 허한 틈을 타서 수소음경에 들어간다. 그러면 심화(心火)가 타올라서 폐(肺)로 들어간다. 이것이 바로 신수가 자기가 이기지 못하던 심화를 상화로 속인 것이다. 이와 같이 되어 주리(?理)가 열리고 땀구멍이 닫혀지지 못해서 나게 된 것이다. 그러므로 먼저 양격산으로 가슴 속의 상화를 내리고 다음에 삼황환으로 심화를 사(瀉)하여 음분(陰分)을 도와주었기 때문에 신수가 제자리로 돌아가게 되어 땀이 저절로 멎은 것이다[해장]. 
관련된 글
  1. 방약합편 양격산 凉隔散 by 한닥터
  2. 기본방 모음 21 양격산(凉膈散) by 한닥터
  3. 방약합편 HK115 少陽人(소양인) 凉膈散(양격산) by 한닥터
  4. 동의보감 마마 때의 음증과 양증을 구별하는 법[辨痘陰陽證] by 한닥터
  5. 동의보감 마마 때의 허증과 실증을 구별하는 법[辨痘虛實] by 한닥터
  6. 동의보감 기침이 발작하는 것은 4철에 따라 일찍 하거나 늦게 하는 차이가 있다[嗽作有四時早晏之異] by 한닥터
  7. 동의보감 적열(積熱) by 한닥터
  8. 동의보감 삼초의 화를 두루 치료하는 약[通治三焦火] by 한닥터
  9. 동의보감 상초열(上焦熱) by 한닥터 *1
  10. 동의보감 폐열(肺熱) by 한닥터
  11. 동의보감 화해시켜야 할 증과 시키지 못할 증[可和不可和證] by 한닥터
  12. 동의보감 음모양갈증(陰耗陽竭證) by 한닥터
  13. 동의보감 설사를 시켜야 할 증과 시키지 못할 증[可下不可下證] by 한닥터
  14. 동의보감 남아 있는 열이 내리지 않는 것[餘熱不退] by 한닥터
  15. 동의보감 열로 이빨이 아픈 것[熱痛] by 한닥터
  16. 동의보감 이빨에 병이 생기면 찬 것과 뜨거운 것을 싫어한다[齒病惡寒惡熱] by 한닥터
  17. 동의보감 어린이의 입 안과 혀의 병[小兒口舌病] by 한닥터
  18. 동의보감 입맛이 쓴 것[口苦] by
  19. 동의보감 코가 메는 것[鼻塞] by 한닥터
  20. 동의보감 습으로 귀가 먹은 것[濕聾] by 한닥터
  21. 동의보감 땀은 습열 때문에 나온다[汗因濕熱] by 한닥터
  22. 회원임상례 코막힘 by 관우라네 *1
  23. 동의보감 처방집 양격산(凉膈散) by 한닥터
  24. 동의보감 처방집 삼황원(三黃元) by 한닥터
  25. 방약합편 양격산- ?膈散 by 한닥터
  26. 청강의감 淸膈散(청격산) by 한닥터
  27. 방약합편 21 양격산(凉膈散) by 한닥터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혈(血)] 피가 나오는 데 약을 쓰는 방법[治血藥法] 1178
[기침(咳嗽)] 풍한천(風寒喘) 1177
[혈(血)] 음혈(陰血)은 음식물[水穀]에서 생긴다[陰血生於水穀] 1174
[기침(咳嗽)] 화천(火喘) 1174
[서(暑)] 무더운 여름에는 기(氣)를 보해야 한다[夏暑宜補氣] 1173
[담음(痰飮)] 10가지 담병(痰病)이 있다[痰病有十] 1171
[기(氣)] 기(氣)는 음식물[穀]에 의해 생긴다[氣生於穀] 1170
[습(濕)] 화와 열은 습을 생기게 한다[火熱生濕] 1170
[곽란(?亂)] 건곽란을 치료하는 방법[乾?亂治法] 1170
[적취(積聚)] 기울(氣鬱) 1 1166
[진액(津液)] 두루 쓰는 약[通治藥] 1165
[포(胞)] 적백대하(赤白帶下) 1163
[가슴(胸)] 계심통(悸心痛) 1163
[신형(身形)] 배꼽을 단련하는 법[煉臍法] 1162
[꿈(夢)] 정신이 얼떨떨하고 잠이 많은 것[昏沈多睡] 1162
[오줌(小便)] 늙은이와 허약한 사람이 오줌을 잘 누지 못하는 것[老虛人癃閉] 1162
[입과 혀(口舌)] 입맛이 쓴 것[口苦] 1162
[대변(大便)] 습설(濕泄) 1161
[머리(頭)] 풍훈(風暈) 1160
[충(蟲)] 촌백충(寸白蟲) 1159
[귀(耳)] 귀가 먹은 것[耳聾] 1159
[옹저(癰疽)] 옹저 때 내탁하는 방법[癰疽內托法] 1159
[담음(痰飮)] 담(痰)에 대한 왕은군의 이론[王隱君痰論] 1158
[전음(前陰)] 한산에 쓰는 약[寒疝藥] 1158
[한(寒)] 양명병의 형태와 증상에 쓰는 약[陽明形證用藥] 1158
[신형(身形)] 상고시대 사람들이 소박한 데 대하여[論上古天眞] 1155
[진액(津液)] 어린이 식은땀[童子盜汗] 1155
[대변(大便)] 활설(滑泄) 1155
[손(手)] 팔다리를 잘 쓰지 못하는 것[四肢不用] 1155
[채소(菜部)] 길경(桔梗, 도라지) 11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