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액(津液)

땀이 나는 것의 예후가 좋지 못한 증[汗出凶證]

한닥터 2011.07.18 조회 수 724 추천 수 0

汗出兇證 傷寒熱病汗出髮潤一不治也.汗出如油二不治也.汗凝如珠三不治也.<直指> 傷寒熱病頭汗如珠不流者陽脫卽死<入門> 傷寒汗出髮潤與其出如油或大如貫珠着身出而不流皆爲不治之證<明理> 傷寒脈浮洪汗出如油髮潤喘不休爲命絶不治<仲景> 傷寒陽病自汗有九證皆有治法陰病不得有汗惟陰毒則額上手背有冷汗甚者如水洗此是陽虛陰盛亡陽而將脫也.其死必矣<活人>


땀이 나는 것의 예후가 좋지 못한 증[汗出凶證]


상한열병(傷寒熱病) 때 땀이 나서 머리칼이 축축한 것이 첫째로 치료하지 못할 증상이다. 기름 같은 땀이 나는 것이 둘째로 치료하지 못할 증상이다. 땀이 맺혀 구슬같이 되는 것이 셋째로 치료하지 못할 증상이다[직지]. 상한열병 때 머리에서 구슬같은 땀이 나지만 흘러내리지는 않는 것은 양이 다 없어진 증상이므로 곧 죽는다[입문]. 상한 때 땀이 나고 머리칼이 축축한 것, 기름같은 땀이 나는 것, 구슬을 꿰어 놓은 것같은 땀방울이 온몸에 나면서도 흘러내리지 않는 것은 모두 치료하지 못할 증상이다[명리]. 상한 때 맥이 부홍(浮洪)하며 기름같은 땀이 나서 머리털이 축축하며 천식이 멎지 않는 것은 치료하지 못할 증상인데 죽는다[중경]. 상한양증(傷寒陽證) 때 저절로 땀이 나는 데는 9가지 증이 있으며 그에 따르는 치료법도 있다. 음증(陰證) 때에는 땀이 날 수 없고 오직 음독증(陰毒證) 때에만 이마와 손맹충 찬 땀이 나는데 심하면 물에 씻은 것같이 땀이 난다. 이것은 양이 허하고 음이 성하여 망양증(亡陽證)이 생겨 다 빠져 나갈려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반드시 죽는다[활인].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풀(草部)] 등심초(燈心草, 골풀) 17
[풀(草部)] 마발(馬勃, 말버섯) 173
[풀(草部)] 수료(手蓼, 물여뀌) 수료자(水蓼子, 물여뀌씨) 106
[풀(草部)] 훤초근(萱草根, 원추리뿌리) 129
[풀(草部)] 야자고(野茨菰) 77
[풀(草部)] 패천공(敗天公) 76
[풀(草部)] 초두구(草豆寇) 103
[풀(草部)] 초과(草果) 71
[풀(草部)] 호장근(虎杖根, 범싱아뿌리) 118
[풀(草部)] 초오(草烏, 바꽃) 125
[풀(草部)] 불이초(佛耳草, 떡쑥) 85
[풀(草部)] 경실(?實, 어저뀌씨) 68
[풀(草部)] 봉선화(鳳仙花) 82
[풀(草部)] 해아다(孩兒茶) 139
[나무[木部]] 계피(桂皮) 계심(桂心) 육계(肉桂) 계지(桂枝) 유계(柳桂) 666
[나무[木部]] 송지(松脂, 송진) 송실(松實, 솔방울) 송엽(松葉, 솔잎) 송절(松節, 소나무마디) 송화(松花, 솔꽃) 송근백피(松根白皮, 소나무뿌리속껍질) 송제(松 , 솔기름) 548
[나무[木部]] 괴실(槐實, 홰나무열매) 괴지(槐枝, 홰나무가지) 괴백피(槐白皮, 홰나무속껍질) 괴화(槐花, 홰나무꽃) 236
[나무[木部]] 구기자(枸杞子) 지골피(地骨皮) 373
[나무[木部]] 백실(栢實, 측백씨) 백엽(栢葉, 측백잎) 백백피(栢白皮, 측백나무속껍질) 193
[나무[木部]] 복령(茯苓, 솔풍령) 복신(茯神) 195
[나무[木部]] 호박(琥珀) 153
[나무[木部]] 유피(楡皮, 느릅나무껍질) 157
[나무[木部]] 산조인(酸棗仁, 메대추씨) 112
[나무[木部]] 황벽(黃蘗, 황백) 황벽근(黃蘗根, 황경피나무뿌리) 444
[나무[木部]] 저실(楮實, 닥나무열매) 저엽(楮葉, 닥나무잎) 저수피(楮樹皮, 닥나무껍질) 저지(楮紙, 닥나무로 만든 종이) 254
[나무[木部]] 건칠(乾漆, 마른옻) 생칠(生漆, 생옻) 458
[나무[木部]] 오가피(五加皮, 오갈피) 195
[나무[木部]] 만형실(蔓荊實, 순비기나무열매) 92
[나무[木部]] 신이(辛夷) 114
[나무[木部]] 상상기생(桑上寄生, 뽕나무겨우살이) 1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