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액(津液)

땀이 나는 것의 예후가 좋지 못한 증[汗出凶證]

한닥터 2011.07.18 조회 수 724 추천 수 0

汗出兇證 傷寒熱病汗出髮潤一不治也.汗出如油二不治也.汗凝如珠三不治也.<直指> 傷寒熱病頭汗如珠不流者陽脫卽死<入門> 傷寒汗出髮潤與其出如油或大如貫珠着身出而不流皆爲不治之證<明理> 傷寒脈浮洪汗出如油髮潤喘不休爲命絶不治<仲景> 傷寒陽病自汗有九證皆有治法陰病不得有汗惟陰毒則額上手背有冷汗甚者如水洗此是陽虛陰盛亡陽而將脫也.其死必矣<活人>


땀이 나는 것의 예후가 좋지 못한 증[汗出凶證]


상한열병(傷寒熱病) 때 땀이 나서 머리칼이 축축한 것이 첫째로 치료하지 못할 증상이다. 기름 같은 땀이 나는 것이 둘째로 치료하지 못할 증상이다. 땀이 맺혀 구슬같이 되는 것이 셋째로 치료하지 못할 증상이다[직지]. 상한열병 때 머리에서 구슬같은 땀이 나지만 흘러내리지는 않는 것은 양이 다 없어진 증상이므로 곧 죽는다[입문]. 상한 때 땀이 나고 머리칼이 축축한 것, 기름같은 땀이 나는 것, 구슬을 꿰어 놓은 것같은 땀방울이 온몸에 나면서도 흘러내리지 않는 것은 모두 치료하지 못할 증상이다[명리]. 상한 때 맥이 부홍(浮洪)하며 기름같은 땀이 나서 머리털이 축축하며 천식이 멎지 않는 것은 치료하지 못할 증상인데 죽는다[중경]. 상한양증(傷寒陽證) 때 저절로 땀이 나는 데는 9가지 증이 있으며 그에 따르는 치료법도 있다. 음증(陰證) 때에는 땀이 날 수 없고 오직 음독증(陰毒證) 때에만 이마와 손맹충 찬 땀이 나는데 심하면 물에 씻은 것같이 땀이 난다. 이것은 양이 허하고 음이 성하여 망양증(亡陽證)이 생겨 다 빠져 나갈려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반드시 죽는다[활인].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전음(前陰)] 음정(陰挺)과 음탈(陰脫) 1419
[얼굴(面)] 탑시종(搭?腫) 1421
[한(寒)] 소음병의 형태와 증상과 쓰는 약[少陰形證用藥] 1421
[신형(身形)] 노인의 병을 치료하는 법[老人治病] 1423
[눈(眼)] 투침(偸鍼) 1 1425
[담음(痰飮)] 습담(濕痰) 1428
[방광부(膀胱腑)] 방광병을 치료하는 법[膀胱病治法] 1428
[혈(血)] 코피[?血] 1429
[머리(頭)] 담훈(痰暈) 1431
[목소리(聲音)] 잡병으로 목이 쉰 것[因雜病失音] 1433
[신형(身形)] 사람의 몸은 하나의 나라와 같다[人身猶一國] 1434
[내상(內傷)] 탄산과 토산[呑酸吐酸] 1434
[폐장(肺臟)] 폐병을 치료하는 법[肺病治法] 1 1435
[신형(身形)] 도[道]로 병을 치료한다[以道療病] 1437
[허리(腰)] 풍으로 허리가 아픈 것[風腰痛] 1437
[벌레(蟲部)] 반묘(斑猫) 1440
[기침(咳嗽)] 오랜 기침[久嗽] 1441
[제창(諸瘡)] 결핵(結核, 멍울) 1441
[허로(虛勞)] 간이 허한 데 쓰는 약[肝虛藥] 1443
[신형(身形)] 선현들의 격언[先賢格言] 1444
[비장(脾臟)] 비병의 증상[脾病證] 1444
[머리털(毛髮)] 수염과 머리털이 노랗게 되면서 마르는 것[鬚髮黃落] 1445
[부인(婦人)] 유산[半産] 1445
[담음(痰飮)] 유음(留飮) 1447
[머리(頭)] 풍한두통(風寒頭痛) 1447
[옹저(癰疽)] 옹저의 5발증[癰疽五發證] 1447
[오줌(小便)] 노림(勞淋) 1448
[한(寒)] 상한표증(傷寒表證) 1448
[화(火)] 중초열(中焦熱) 1448
[정(精)] 습담(濕痰)이 스며들어 유정(遺精)이 생긴다[濕痰?爲遺精] 1 14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