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액(津液)

땀이 나는 것의 예후가 좋지 못한 증[汗出凶證]

한닥터 2011.07.18 조회 수 724 추천 수 0

汗出兇證 傷寒熱病汗出髮潤一不治也.汗出如油二不治也.汗凝如珠三不治也.<直指> 傷寒熱病頭汗如珠不流者陽脫卽死<入門> 傷寒汗出髮潤與其出如油或大如貫珠着身出而不流皆爲不治之證<明理> 傷寒脈浮洪汗出如油髮潤喘不休爲命絶不治<仲景> 傷寒陽病自汗有九證皆有治法陰病不得有汗惟陰毒則額上手背有冷汗甚者如水洗此是陽虛陰盛亡陽而將脫也.其死必矣<活人>


땀이 나는 것의 예후가 좋지 못한 증[汗出凶證]


상한열병(傷寒熱病) 때 땀이 나서 머리칼이 축축한 것이 첫째로 치료하지 못할 증상이다. 기름 같은 땀이 나는 것이 둘째로 치료하지 못할 증상이다. 땀이 맺혀 구슬같이 되는 것이 셋째로 치료하지 못할 증상이다[직지]. 상한열병 때 머리에서 구슬같은 땀이 나지만 흘러내리지는 않는 것은 양이 다 없어진 증상이므로 곧 죽는다[입문]. 상한 때 땀이 나고 머리칼이 축축한 것, 기름같은 땀이 나는 것, 구슬을 꿰어 놓은 것같은 땀방울이 온몸에 나면서도 흘러내리지 않는 것은 모두 치료하지 못할 증상이다[명리]. 상한 때 맥이 부홍(浮洪)하며 기름같은 땀이 나서 머리털이 축축하며 천식이 멎지 않는 것은 치료하지 못할 증상인데 죽는다[중경]. 상한양증(傷寒陽證) 때 저절로 땀이 나는 데는 9가지 증이 있으며 그에 따르는 치료법도 있다. 음증(陰證) 때에는 땀이 날 수 없고 오직 음독증(陰毒證) 때에만 이마와 손맹충 찬 땀이 나는데 심하면 물에 씻은 것같이 땀이 난다. 이것은 양이 허하고 음이 성하여 망양증(亡陽證)이 생겨 다 빠져 나갈려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반드시 죽는다[활인].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채소(菜部)] 적현(赤? , 붉은 비름) 79
[풀(草部)] 율초( ?草, 한삼덩굴) 79
[금속[金部]] 철설(鐵屑, 쇠가루, 쇠똥) 79
[채소(菜部)] 과자화(瓜子花, 참외꽃) 80
[풀(草部)] 감수(甘遂) 80
[풀(草部)] 예장(?腸) 한련자(旱蓮子) 연자초(蓮子草) 80
[나무[木部]] 자목(刺木, 산뽕나무) 80
[돌[石部]] 태음현정석(太陰玄精石) 80
[풀(草部)] 필발(?撥) 81
[나무[木部]] 백교향(白膠香) 81
[나무[木部]] 백양수피(白楊樹皮, 백양나무껍질) 81
[채소(菜部)] 녹각채(鹿角菜) 82
[풀(草部)] 봉선화(鳳仙花) 82
[풀(草部)] 감송향(甘松香) 83
[채소(菜部)] 궐채미(蕨菜薇, 고비) 84
[풀(草部)] 백두구(白豆?) 84
[풀(草部)] 택칠(澤漆) 84
[풀(草部)] 초장초(酢漿草, 괴싱아) 84
[나무[木部]] 안식향(安息香) 84
[돌[石部]] 적석지(赤石脂) 84
[돌[石部]] 백맥반석(白麥飯石) 84
[채소(菜部)] 고호(苦瓠, 쓴 박) 85
[풀(草部)] 현호색(玄胡索) 85
[풀(草部)] 불이초(佛耳草, 떡쑥) 85
[나무[木部]] 고다(苦茶, 작설차) 85
[나무[木部]] 천축황(天竺黃, 참대속진) 85
[나무[木部]] 곡약(?若, 조리참나무잎) 85
[풀(草部)] 홍초(紅草) 86
[나무[木部]] 자단향(紫檀香) 87
[풀(草部)] 감송향(甘松香) 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