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장육부(五臟六腑)

5장은 7규와 통한다[五臟通七竅]

한닥터 2011.07.19 조회 수 690 추천 수 0

五臟通七竅 靈樞曰五藏常內閱于上七竅也.故肺氣通於鼻肺和則鼻能知香臭矣心氣通於舌心和則舌能知五味矣肝氣通於目肝和則目能辨五色矣脾氣通於口脾和則口能知五穀矣腎氣通於耳腎和則耳能聞五音矣五藏不和則七竅(七一作九)不通六府不和則留結爲癰


5장은 7규와 통한다[五臟通七竅


○ 『영추에는 "5장은 항상 속에 있지만 윗몸에 있는 7규와 연관되어 있다. 폐기(肺氣)는 코로 통하므로 폐기가 조화되어야 코가 향기로운 냄새를 잘 맡을 수 있다. 심기(心氣)는 혀로 통하므로 심기가 조화되어야 혀가 5가지 맛을 잘 알 수 있다. 간기(肝氣)는 눈으로 통하므로 간기가 조화되어야 눈이 5가지 빛을 가려[] 볼 수 있다. 비기(脾氣)는 입으로 통하므로 비기가 조화되어야 입이 음식맛을 잘 알 수 있다. 신기(腎氣)는 귀로 통하므로 신기가 조화되어야 귀가 5가지 소리를 잘 들을 수 있다. 5장이 조화되지 못하면 7(七竅, 어떤 데는 9규로 되어 있다)가 통하지 못한다. 6부가 조화되지 못하면 뭉쳐서 옹저(癰疽)가 생긴다"고 씌어 있다.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서(暑)] 상한(傷寒)이 전변하여 온병이나 서병이 된다[傷寒傳變爲溫爲暑] 684
[서(暑)] 서병(暑病)의 형태와 증상[暑病形證] 684
[내상(內傷)] 식궐(食厥) 684
[곽란(?亂)] 곽란의 원인[?亂之因] 684
[부종(浮腫)] 치료할 수 있는 증과 치료하기 어려운 증[可治不治證] 684
[오장육부(五臟六腑)] 장과 부의 병을 맥으로 가른다는 것[脈辨臟腑] 683
[폐장(肺臟)] 폐가 주관하는 날짜[肺主時日] 683
[적취(積聚)] 도인법(導引法) 683
[물고기(魚部)] 교어피(鮫魚皮, 상어가죽) 683
[목소리(聲音)] 치료를 못하는 증[不治證] 682
[언어(言語)] 어린이가 말을 늦게 하는 것[小兒語遲] 682
[오장육부(五臟六腑)] 장과 부의 병증은 다르다[臟腑異證] 682
[포(胞)] 포는 혈실이다[胞爲血室] 682
[기침(咳嗽)] 맥 보는 법[脈法] 682
[온역(瘟疫)] 전염되지 않게 하는 방법[不傳梁法] 682
[풀(草部)] 암려자(菴?子) 681
[혈(血)] 꺼려야 할 것[禁忌]/혈 681
[인부(人部)] 인시(人屎, 마른똥) 681
[한(寒)] 소음병 때에는 맥이 침하다[少陰病脈沈] 680
[충(蟲)] 위를 따뜻하게 해서 회충증을 안정시킨다[溫胃安蟲] 679
[한(寒)] 상한 때의 조열[傷寒潮熱] 679
[내상(內傷)] 음식물의 정기가 음양으로 변화되어 영과 위로 들어간다[水穀之精化陰陽行榮衛] 679
[소아(小兒)] 반과 진을 덧붙임[附?疹] 679
[풍(風)] 중풍에 대한 이름이 같지 않다는 것[中風之名各不同] 678
[내상(內傷)] 비기가 몰려서 먹지 못하는 것[脾結不食] 678
[과실(果部)] 검인(芡仁, 가시연밥) 678
[진맥(診脈)] 병이 심할 때에는 반드시 태계맥과 충양맥을 짚어 보아야 한다[凡病革必診太谿衝陽] 677
[적취(積聚)] 여러 가지 음식에 상하면 적이 된다[諸物傷成積] 677
[옹저(癰疽)] 둔옹(臀癰) 676
[제상(諸傷)] 타박을 받아 부은 것을 내리고 흠집이 생기지 않게 하는 방법[打撲傷消腫滅瘢] 6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