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장육부(五臟六腑)

5장의 정경에 절로 병이 생기는 것[五臟正經自病]

한닥터 2011.07.19 조회 수 751 추천 수 0

五臟正經自病 難經曰正經自病者憂愁思慮則傷心形寒飮冷則傷肺?怒氣逆上而不下則傷肝飮食勞倦則常脾久坐濕地强力入房則傷腎是正經自病者也.


5장의 정경에 절로 병이 생기는 것[五臟正經自病


 ○ 『난경(難經)에는 "정경(正經)에 절로 병이 생긴다는 것은 근심하고 걱정하거나 자주 생각하면 심()이 상하고 몸이 찰 때 찬 것을 마시면 폐()가 상하며 성을 몹시 내서 기()가 치밀어 올라갔다가 내려오지 못하면 간()이 상하고 음식을 절도없이 먹거나 힘겹게 일하면 비()가 상하며 습기 있는 땅에 오랫동안 앉아 있거나 성생활을 무리하게 하면 신()이 상한다는 것을 말한다. 이것이 정경에 절로 생기는 병이다"고 씌어 있다.


[] 정경(正經)에 절로 병이 생긴다는 것은 다른 경맥의 병에 옮지도 않고 영향도 받지 않고 단지 그 경맥 자체에서 병이 생기는 것을 말한다. 이렇게 생긴 병은 다른 경맥으로 옮아가지도 않고 영향도 주지 않는다.

[] 정경(正經) : 12경맥(經脈, 12)을 말한다. 즉 몸 안의 주요 경맥으로서 기혈이 도는 길이다.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풀(草部)] 천웅(天雄) 75
[풀(草部)] 반하(半夏, 끼무릇) 104
[풀(草部)] 대황(大黃) 21
[풀(草部)] 정력자(??子, 꽃다지씨) 25
[풀(草部)] 낭탕자(??子, 사리풀씨) 40
[풀(草部)] 초호(草蒿, 제비쑥) 18
[풀(草部)] 선복화(旋復花) 31
[풀(草部)] 여로(藜蘆, 박새뿌리) 95
[풀(草部)] 사간(射干, 범부채) 28
[풀(草部)] 사함(蛇含, 사함초) 22
[풀(草部)] 상산(常山) 13
[풀(草部)] 촉칠(蜀漆) 72
[풀(草部)] 백렴(白? , 가위톱) 적렴(赤? ) 157
[풀(草部)] 백급(白及 ) 17
[풀(草部)] 대극(大戟, 버들옻) 25
[풀(草部)] 택칠(澤漆) 84
[풀(草部)] 관중(貫衆) 13
[풀(草部)] 낭아(狼牙, 집신나물) 38
[풀(草部)] 양척촉(羊?? , 철쭉꽃) 23
[풀(草部)] 상륙(商陸, 자리공) 22
[풀(草部)] 청상자(靑箱子, 맨드라미씨) 계관화(鷄冠花, 맨드라미꽃) 117
[풀(草部)] 위령선(威靈仙, 으아리) 35
[풀(草部)] 견우자(牽牛子, 나팔꽃씨) 67
[풀(草部)] 비마자(?麻子, 아주까리) 30
[풀(草部)] 삭조(??) 접골목(接骨木) 88
[풀(草部)] 천남성(天南星) 23
[풀(草部)] 귀구(鬼臼) 27
[풀(草部)] 양제근(羊蹄根, 소리쟁이 뿌리) 양제실(羊蹄實, 소리쟁이씨) 양제엽(羊蹄葉, 소리쟁이잎) 92
[풀(草部)] 산막(酸摸) 15
[풀(草部)] 고근(菰根, 줄풀뿌리) 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