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장육부(五臟六腑)

5장의 정경에 절로 병이 생기는 것[五臟正經自病]

한닥터 2011.07.19 조회 수 751 추천 수 0

五臟正經自病 難經曰正經自病者憂愁思慮則傷心形寒飮冷則傷肺?怒氣逆上而不下則傷肝飮食勞倦則常脾久坐濕地强力入房則傷腎是正經自病者也.


5장의 정경에 절로 병이 생기는 것[五臟正經自病


 ○ 『난경(難經)에는 "정경(正經)에 절로 병이 생긴다는 것은 근심하고 걱정하거나 자주 생각하면 심()이 상하고 몸이 찰 때 찬 것을 마시면 폐()가 상하며 성을 몹시 내서 기()가 치밀어 올라갔다가 내려오지 못하면 간()이 상하고 음식을 절도없이 먹거나 힘겹게 일하면 비()가 상하며 습기 있는 땅에 오랫동안 앉아 있거나 성생활을 무리하게 하면 신()이 상한다는 것을 말한다. 이것이 정경에 절로 생기는 병이다"고 씌어 있다.


[] 정경(正經)에 절로 병이 생긴다는 것은 다른 경맥의 병에 옮지도 않고 영향도 받지 않고 단지 그 경맥 자체에서 병이 생기는 것을 말한다. 이렇게 생긴 병은 다른 경맥으로 옮아가지도 않고 영향도 주지 않는다.

[] 정경(正經) : 12경맥(經脈, 12)을 말한다. 즉 몸 안의 주요 경맥으로서 기혈이 도는 길이다.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채소(菜部)] 해조(海藻, 듬북) 78
[풀(草部)] 감수(甘遂) 80
[풀(草部)] 연지(?脂) 58
[풀(草部)] 필발(?撥) 81
[풀(草部)] 나마자(羅摩子, 새박덩굴의 씨) 163
[풀(草部)] 울금(鬱金) 200
[풀(草部)] 노회(盧?) 108
[풀(草部)] 현호색(玄胡索) 85
[풀(草部)] 육두구(肉豆?) 76
[풀(草部)] 보골지(補骨脂) 파고지(破故紙) 144
[풀(草部)] 영릉향(零陵香) 150
[풀(草部)] 축사밀(縮砂蜜, 사인) 143
[풀(草部)] 봉아술(蓬莪? , 봉출) 90
[풀(草部)] 홍초(紅草) 86
[풀(草部)] 사초근(莎草根, 향부자) 114
[풀(草部)] 호황련(胡黃連) 96
[풀(草部)] 홍두구(紅豆?) 67
[풀(草部)] 감송향(甘松香) 88
[풀(草部)] 원의(垣衣) 65
[풀(草部)] 지의(地衣) 68
[풀(草部)] 정중태(井中苔, 우물 속의 이끼) 78
[풀(草部)] 옥유(屋遊) 103
[풀(草部)] 예장(?腸) 한련자(旱蓮子) 연자초(蓮子草) 80
[풀(草部)] 모향화(茅香花) 71
[풀(草部)] 사군자(使君子) 100
[풀(草部)] 백두구(白豆?) 84
[풀(草部)] 부자(附子) 139
[풀(草部)] 오두(烏頭) 62
[풀(草部)] 천웅(天雄) 75
[풀(草部)] 반하(半夏, 끼무릇) 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