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장육부(五臟六腑)

5장 6부의 상호관계[臟腑相關]

한닥터 2011.07.19 조회 수 1615 추천 수 0

臟腑相關 內經曰五藏不平六府閉塞之所生也. 五藏穿鑿論曰心與膽相通心病??宜溫膽爲主膽病戰慄癲狂宜補心爲主肝與大腸相通肝病宜疎通大腸大腸病宜平肝經爲主脾與小腸相通脾病宜瀉小腸火小腸病宜潤脾土爲主肺與膀胱相通肺病宜淸利膀胱水膀胱病宜淸肺氣爲主腎與三焦相通腎病宜調和三焦三焦病宜補腎爲主此合一之妙也.<入門>


56부의 상호관계[臟腑相關


 ○ 『내경5장이 고르롭지 못한[不平] 것은 6부가 막혔기 때문이라고 씌어 있다. 5장 천착론(穿鑿論)에는 "()과 담()은 서로 통하기 때문에 심병으로 가슴이 몹시 두근거릴 때에는 담을 따뜻하게 하는 것을 위주(爲主)로 해야 한다. 담병으로 몸을 몹시 떨거나 전광증(癲狂症)이 생겼을 때에는 심을 보()하는 것을 위주로 해야 한다. ()과 대장(大腸)은 서로 통하기 때문에 간병 때에는 대장을 잘 통하게 해야 하고 대장병 때에는 간경(肝經)을 고르롭게[] 하는 것을 위주로 해야 한다. ()와 소장(小腸)은 서로 통하기 때문에 비병 때에는 소장의 화()를 사()해야 하며 소장병 때에는 비토(脾土)를 눅여 주는 것[]을 위주로 해야 한다. 폐와 방광은 서로 통하기 때문에 폐병 때에는 방광의 수기(水氣)를 시원하게 나가게 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방광병 때에는 폐기(肺氣)를 서늘하게 하는 것을 위주로 해야 한다. ()3(三焦)는 서로 통하기 때문에 신병 때에는 3초를 조화시키는 것이 좋고 3초병 때에는 신을 보하는 것을 위주로 해야 좋다. 이것이 하나의 원칙에 부합시켜 치료하는 묘한 방법이다"고 씌어 있다[입문].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피부(皮)] 피부가 가렵고 아픈 것[痒痛] 1607
[신형(身形)] 사람의 원기의 왕성과 쇠약[人氣盛衰] 1611
[오장육부(五臟六腑)] 5장 6부의 상호관계[臟腑相關] 1615
[풀(草部)] 감국화(甘菊花, 단국화) 백국화(白菊花, 흰국화) 고의(苦意, 들국화) 1616
[풍(風)] 중풍에는 중혈맥, 중부, 중장의 차이가 있다[風有中血脈中腑中臟之異] 1618
[학질(?疾)] 학질을 치료하는 방법[?疾治法] 1623
[얼굴(面)] 위풍증(胃風證) 1625
[정(精)] 정을 단련하는 비방[煉精有訣] 1630
[한(寒)] 상한음증(傷寒陰證) 1631
[머리(頭)] 미릉골통(眉稜骨痛) 1633
[신형(身形)] 오래 살고 일찍 죽는 차이[壽夭之異] 1642
[학질(?疾)] 해학(??) 1654
[옹저(癰疽)] 장옹과 복옹[腸癰腹癰] 1658
[화(火)] 음이 허하여 화가 동하는 것[陰虛火動] 1661
[피부(皮)] 은진(?疹) 1673
[가슴(胸)] 7정으로 가슴이 아픈 것[七情心痛] 1677
[담음(痰飮)] 담음병 때 겉으로 나타나는 증상[痰飮外證] 1683
[기침(咳嗽)] 건수(乾嗽) 1684
[신형(身形)] 안마도인[按摩導引] 1687
[신형(身形)] 섭양요결[攝養要訣] 1692
[부인(婦人)] 과부나 여승의 병은 부부생활을 하는 부인들의 병과는 다르다[寡婦師尼之病異乎妻妾] 1 1695
[화(火)] 오심열(五心熱) 1697
[심장(心臟)] 심병의 허증과 실증[心病虛實] 1703
[잔등(背)] 등이 아픈 것[背痛] 1703
[채소(菜部)] 생강(生薑) 건강(乾薑, 마른생강) 백강(白薑) 건생강(乾生薑, 말린 생강) 1704
[허로(虛勞)] 허로에 조리하는 약[虛勞調理藥] 1739
[구급(救急)] 물에 빠져서 죽은 것을 살리는 방법[救溺水死] 1739
[기(氣)] 약 쓰는 법[用藥法] 1744
[오줌(小便)] 오줌이 나오지 않는 것[小便不通] 1744
[후음(後陰)] 치루(痔漏) 17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