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장(肝臟)

간의 위치[肝部位]

한닥터 2011.07.19 조회 수 1053 추천 수 0

肝部位 肝生於左<內經> 肝之系者自膈下着左脇肋上貫膈入肺中與膈膜相連也.<入門> 期門二穴肝之募也.在兩乳直下一寸半在背則肝兪在九 下是肝之分也.<銅人>


간의 위치[肝部位]


간은 왼쪽에서부터 생긴다[내경]. 간에 달린 줄은 가름막[] 아래에서부터 왼쪽 갈비뼈에까지 붙어 있고 위로는 가름막을 뚫고 올라가 폐 속으로 들어갔다가 가름막에 연결되었다[입문]. 2개의 기문혈(期門穴)은 간의 모혈(募穴)인데 양쪽 젖에서 곧바로 아래로 1촌 반 되는 곳에 있고 잔등()에는 간수혈(肝兪穴)이 있는데 제9흉추와 제10흉추 극상돌기 사이에서 옆으로 각각 2치 되는 곳에 있다. 이것이 간에 해당한 부위이다[동인].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소장부(小腸腑)] 소장병의 증상[小腸病證] 1080
[포(胞)] 처녀가 월경이 나오지 않는 것[室女月經不行] 1080
[대변(大便)] 이질을 치료하는 데 반드시 필요한 방법[治痢要訣] 1079
[담음(痰飮)] 담(痰)과 연(涎), 음(飮) 세 가지는 같지 않다[痰涎飮三者不同] 1076
[황달(黃疸)] 황달(黃疸) 치료법 1076
[소장부(小腸腑)] 소장병을 치료하는 법[小腸病治法] 1075
[잔등(背)] 등이 시린 것[背寒] 1075
[풀(草部)] 오미자(五味子) 1074
[간장(肝臟)] 간장에 대한 도인법[肝臟導引法] 1074
[대변(大便)] 늙은이의 변비[老人秘結] 1073
[비장(脾臟)] 비가 상한 증상[脾傷證] 1072
[기(氣)] 기는 가만히 있으면 막힌다[氣逸則滯] 1068
[기(氣)] 폐는 기를 주관한다[肺主氣] 1067
[정(精)] 5장에는 모두 정(精)이 있다[五藏皆有精] 1066
[제상(諸傷)] 뼈가 부러지고 힘줄이 끊어진 것[骨折筋斷傷] 1066
[발(足)] 각기병(脚氣病)의 증상[脚氣病證] 1064
[적취(積聚)] 습울(濕鬱) 1062
[가슴(胸)] 비심통(脾心痛) 1061
[해독(解毒)] 바꽃이나 오두나 천웅이나 부자에 중독된 것[草烏川烏天雄附子毒] 1061
[풀(草部)] 감초(甘草) 감초소(甘草梢, 감초초) 감초절(甘草節, 감초마디) 1060
[신(神)] 신은 온몸을 주관한다[神爲一身之主] 1060
[부인(婦人)] 해산을 안전하게 하는 법[保産] 1060
[정(精)] 단방(單方)/정 1059
[물고기(魚部)] 만려어(鰻?魚, 뱀장어) 1058
[담부(膽腑)] 담병을 치료하는 법[膽病治法] 1055
[맥(脈)] 27맥 상세설명 1055
[한(寒)] 감한과 4시상한[感寒及四時傷寒] 1055
[오줌(小便)] 여러 가지 임병[諸淋證] 1054
[소아(小兒)] 숫구멍이 아물지 않는 것[解?] 1054
[정(精)] 맥 보는 법[脈法]/정 10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