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장(肝臟)

간에 속한 것들[肝屬物類]

한닥터 2011.07.19 조회 수 1179 추천 수 0

肝屬物類 在天爲風在地爲木在體爲筋在藏爲肝在色爲蒼在音爲角在聲爲呼在變動爲握在竅爲目在味爲酸在志爲怒其液爲淚其榮爲瓜其臭爲?其卦爲震(生數三成數八)其穀爲麻(一作麥)其畜爲犬(一作鷄)其蟲爲毛其數爲八其果爲李其菜爲?<內經>其脈爲足厥陰<內經>


간에 속한 것들[肝屬物類]


하늘에서는 바람이고 땅에서는 나무이며 몸에서는 힘줄이고 5장에서는 간이며 빛깔에서는 푸른 빛이고 음()에서는 각()이며 소리에서는 부르짖는 것이고 동작에서는 쥐는 것이며 구멍[]에서는 눈이고 맛에서는 신맛이며 지()에서는 성내는 것이고 진액에서는 눈물이며 겉에 나타난 것은 손톱이고 냄새에서는 비린내이며 괘()에서는 진괘(震卦, 생수(生數)3이고 성수(成數)8이다)이고 곡식에서는 팥(, 보리라고 한 데도 있다)이며 집짐승에서는 개(닭이라고 한 데도 있다)이고 벌레에서는 털 난 벌레이며 숫자에서는 8이고 과실에서는 추리()이며 채소에서는 부추이다[내경]. 경맥은 족궐음경(足厥陰經)이다[내경].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이빨(牙齒)] 벌레가 먹어서 이빨이 아픈 것[蟲蝕痛] 1306
[과실(果部)] 도핵인(桃核仁, 복숭아씨) 도화(桃花, 복숭아꽃) 도효(桃梟, 나무에 달린 마른 복숭아) 도모(桃毛, 복숭아털) 도두(桃?, 복숭아나무벌레) 경백피(莖白皮, 복숭아나무속껍질) 도엽(桃葉, 복숭아나무잎) 도교(桃膠, 복숭아나무진) 도실(桃實, 복숭아열매) 1307
[포(胞)] 월경빛을 좋아지게 하는 치료법[和血治法] 1308
[오줌(小便)] 전포증(轉?證) 1310
[담음(痰飮)] 담괴(痰塊) 1313
[신형(身形)] 사철의 기후에 맞게 정신을 수양한다[四氣調神] 1314
[귀(耳)] 귀에서 진물이 흐르는 것[?耳] 1314
[대변(大便)] 식적설(食積泄) 1317
[부종(浮腫)] 기분증과 혈분증[氣分證血分證] 1326
[가슴(胸)] 결흉(結胸) 1327
[한(寒)] 소양병의 형태와 증상에 쓰는 약[少陽形證用藥] 1327
[구토(嘔吐)] 오심과 헛구역[惡心乾嘔] 1327
[전음(前陰)] 분돈산기(奔豚疝氣) 1328
[허로(虛勞)] 심이 허한 데 쓰는 약[心虛藥] 1328
[구토(嘔吐)] 토하는 병에는 3가지가 있다[吐病有三] 1330
[학질(?疾)] 식학(食?) 1331
[서(暑)] 서병에는 모서(冒暑),중서(中暑), 상서(傷暑)의 3가지 증이 있다[暑有冒暑中暑傷暑三證] 1333
[심장(心臟)] 심장의 위치[心部位] 1335
[진액(津液)] 손발에서 땀이 나는 것[手足汗] 1337
[손(手)] 담음이 있으면 흔히 팔이 아프다[痰飮多爲臂痛] 1339
[기침(咳嗽)] 기침을 두루 치료하는 약[通治咳嗽藥] 1341
[심장(心臟)] 심병의 증상[心病證] 1342
[신(神)] 신(神)이 7정(七情)을 거느리므로 신이 상하면 병이 된다[神統七情傷則爲病] 1345
[짐승(獸部)] 장골(?骨, 노루뼈) 장육(?肉, 노루고기) 장제(?臍) 1345
[정(精)] 백음증(白淫證) 1349
[온역(瘟疫)] 대두온을 치료하는 방법[大頭瘟治法] 1351
[조(燥)] 조병에는 혈을 보하는 것이 좋다[燥宜養血] 1352
[토[吐]] 토하는 것을 멈추는 방법[止吐法] 1356
[풍(風)] 입과 눈이 삐뚤어지는 것[口眼?斜] 1359
[오줌(小便)] 음경 속이 가렵거나 아픈 것[莖中痒痛] 13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