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장(肝臟)

단방(單方)/간장

한닥터 2011.07.19 조회 수 932 추천 수 0

單方 凡二十一種

단방(單方)/간장 모두 21가지이다.


草龍膽益肝膽氣<本草> 煎服治肝藏濕熱<湯液>

초룡담(草龍膽, 용담초) 간과 담()의 기()를 보한다[본초]. 달여서 먹으면 간의 습열증(濕熱證)을 치료한다[탕액].


空靑益肝氣法木故色靑而入肝細末水飛點服或入藥服<本草>

공청(空靑) 간기를 보한다. 공청은 나무의 기운을 받아 빛이 퍼런데 간으로 들어간다. 보드랍게 갈아서 수비(水飛)하여 조금씩 먹거나 약에 섞어서 먹는다[본초].


黃連鎭肝去熱毒末服煎服皆可<本草>

황련(黃連) 간을 편안하게 하고 열독(熱毒)을 없앤다. 가루내어 먹거나 달여서 먹으면 좋다[본초].


細辛益肝膽煎服末服皆佳<本草>

세신(細辛) 간과 담을 보한다. 달여서 먹거나 가루내어 먹으면 좋다[본초].


決明子除肝家熱助肝氣又治肝毒熱爲末服又取嫩莖葉作菜食<本草>

결명자(決明子, 결명씨) 간병 때 열을 내리고 간기를 도와준다. 그리고 간의 열독도 치료하는데 가루내어 먹는다. 연한 줄기와 잎으로 나물을 만들어 먹어도 된다[본초].


車前子養肝爲末服或炒煎服又取嫩葉作羹茹佳<本草>

차전자(車前子, 차전자) 간을 보하는데 가루내어 먹거나 볶아서 달여 먹는다. 연한 잎으로 국을 끓여서 먹어도 좋다[본초].


薺子卽?蓂子也.主肝壅明目爲末服又取嫩根和米煮粥服能引血歸肝<入門>

제자(薺子, 냉이씨) 이것을 석명자(蓂子)라고도 한다. 주로 간기가 막힌 것을 치료하고 눈을 밝게 하는데 가루내어 먹는다. 연한 뿌리를 쌀과 같이 죽을 쑤어 먹으면 피를 이끌어서 간으로 잘 돌게 한다[입문].


覆盆子補肝明目爲末服生食之亦可<本草>

복분자(覆盆子) 간을 보하고 눈을 밝게 한다. 가루내어 먹거나 날것으로 먹어도 좋다[본초].


靑箱子鎭肝主肝藏熱毒爲末服之<本草>

청상자(靑箱子, 개맨드라미씨) 간을 편안하게 하는데 주로 간의 열독(熱毒)을 없앤다. 가루내어 먹는다[본초].


酸棗仁益肝氣末服煮服皆佳<本草>

산조인(酸棗仁) 간기를 보한다. 가루내어 먹거나 달여서 먹으면 좋다[본초].


山茱萸溫肝末服煮服佳<本草>

산수유(山茱萸) 간을 따뜻하게 하는데 가루내어 먹거나 달여서 먹으면 좋다[본초].


沙參養肝氣煮服或作茹常食之<本草>

사삼(沙蔘) 간기를 보한다. 달여서 먹거나 나물을 만들어 늘 먹으면 좋다[본초].


蒼耳子主肝家熱明目煮服末服?佳<本草>

창이자(蒼耳子, 도꼬마리열매) 간병 때 열을 내리고 눈을 밝게 한다. 달여서 먹거나 가루내어 먹어도 다 좋다[본초].


芍藥補肝緩中損其肝者緩其中卽此也.末服煮服皆可<湯液>

작약(芍藥) 간을 보하고 속을 완화[]시킨다. 간이 상했을 때에는 속을 완화시켜야 하는데 이것이 바로 그런 약이다. 가루내어 먹거나 달여서 먹어도 다 좋다[탕액].


苦參養肝膽氣煮服之<本草>

고삼(苦參, 너삼) 간과 담의 기운을 도와주는데 달여서 먹는다[본초].


靑皮疎肝氣肝氣不達用靑皮以疎之末服煮服皆佳<丹心>

청피(靑皮) 간기를 잘 통하게 한다. 간기가 잘 통하지 않을 때에는 청피을 써서 통하게 해야 한다. 가루내어 먹거나 달여서 먹어도 다 좋다[단심].


木瓜入肝故益筋與血煮服之<本草>

목과(木瓜) 간으로 들어가서 힘줄과 피를 보한다. 달여서 먹는다[본초].


小麥養肝氣煮飮服之<本草>

소맥(小麥, ) 간기를 도와준다. 달여서 먹는다[본초].


?白除肝邪氣煮湯飮或取汁飮<本草>

총백(?白, 파밑) 간에 있는 사기(邪氣)를 없앤다. 달여서 물을 마시거나 즙을 내어 마신다[본초].


?能充肝氣作?常食佳<本草>

(?, 부추) 간기를 든든하게 한다. 김치를 만들어 늘 먹으면 좋다[본초].


李肝病宜食之<本草>

(, 추리) 간병에 먹으면 좋다[본초].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풀(草部)] 천웅(天雄) 75
[풀(草部)] 반하(半夏, 끼무릇) 104
[풀(草部)] 대황(大黃) 21
[풀(草部)] 정력자(??子, 꽃다지씨) 25
[풀(草部)] 낭탕자(??子, 사리풀씨) 40
[풀(草部)] 초호(草蒿, 제비쑥) 18
[풀(草部)] 선복화(旋復花) 31
[풀(草部)] 여로(藜蘆, 박새뿌리) 95
[풀(草部)] 사간(射干, 범부채) 28
[풀(草部)] 사함(蛇含, 사함초) 22
[풀(草部)] 상산(常山) 13
[풀(草部)] 촉칠(蜀漆) 72
[풀(草部)] 백렴(白? , 가위톱) 적렴(赤? ) 157
[풀(草部)] 백급(白及 ) 17
[풀(草部)] 대극(大戟, 버들옻) 25
[풀(草部)] 택칠(澤漆) 84
[풀(草部)] 관중(貫衆) 13
[풀(草部)] 낭아(狼牙, 집신나물) 38
[풀(草部)] 양척촉(羊?? , 철쭉꽃) 23
[풀(草部)] 상륙(商陸, 자리공) 22
[풀(草部)] 청상자(靑箱子, 맨드라미씨) 계관화(鷄冠花, 맨드라미꽃) 117
[풀(草部)] 위령선(威靈仙, 으아리) 35
[풀(草部)] 견우자(牽牛子, 나팔꽃씨) 67
[풀(草部)] 비마자(?麻子, 아주까리) 30
[풀(草部)] 삭조(??) 접골목(接骨木) 88
[풀(草部)] 천남성(天南星) 23
[풀(草部)] 귀구(鬼臼) 27
[풀(草部)] 양제근(羊蹄根, 소리쟁이 뿌리) 양제실(羊蹄實, 소리쟁이씨) 양제엽(羊蹄葉, 소리쟁이잎) 92
[풀(草部)] 산막(酸摸) 15
[풀(草部)] 고근(菰根, 줄풀뿌리) 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