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장(脾臟)

비장의 형태[脾形象]

한닥터 2011.07.19 조회 수 865 추천 수 0
◎ 脾形象   ○ 脾形象馬蹄內包胃脘象土形也.經絡之氣交歸于中以營運眞靈之氣意之舍也.<內經註> ○ 脾形扁似馬蹄又如刀鎌<入門> ○ 脾重二斤三兩扁廣三寸長五寸有散膏半斤主?血溫五藏主藏意<難經> ○ 脾者?也.在胃下?助胃氣主化水穀也.胃主受納脾主消磨<綱目>

☞ 비장의 형태[脾形象]

 ○ 비장은 형태가 말발굽 같고 위완(胃脘)을 둘러싸고 있는데 토(土)의 모양을 상징하였다. 그리고 경락(經絡)의 기가 그 속으로 번갈아 들어가서 진령(眞靈)의 기운을 움직이게 한다. 이곳에는 의(意)도 들어 있다[내경주]. ○ 비장은 납작하고 말발굽같이 생겼는데 낫 같기도 하다[입문]. ○ 비의 무게는 1.32kg이고 너비는 3치이며 길이는 5치이다. 여기에 흩어져 붙어 있는 기름은 300g 정도이다. 비장은 피를 간직하고 5장을 따뜻하게 하는데 주로 의(意)를 간직한다[난경]. ○ 비라는 것은 도와주는 것인데 위아래에 있으면서 위기(胃氣)를 도와서 음식이 잘 소화되게 한다. 위는 주로 받아들이고 비는 주로 소화시킨다[강목].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폐장(肺臟)] 폐병의 증상[肺病證] 1297
[전음(前陰)] 음위(陰?) 1295
[신형(身形)] 반운복식[搬運服食] 1294
[가슴(胸)] 비(?)에는 허증과 실증이 있다[?有虛實] 1294
[허로(虛勞)] 양이 허한 데 쓰는 약[陽虛用藥] 1293
[옹저(癰疽)] 옹저를 치료하는 대체적인 방법[治癰疽大法] 1293
[진액(津液)] 망양증(亡陽證)/진액 1290
[신(神)] 가슴이 할랑거리면서 몹시 뛰는 것[心澹澹大動] 1289
[눈(眼)] 눈 앞에 꽃무늬 같은 것이 나타나는 것[眼花] 1289
[대변(大便)] 농혈리(膿血痢) 1 1286
[가슴(胸)] 가슴과 위가 아픈 것은 반드시 허실을 구분해야 한다[心胃痛當分虛實] 1286
[적취(積聚)] 적취, 징가, 현벽, 비괴를 두루 치료하는 약[積聚?癖?塊通治藥] 1284
[소아(小兒)] 토하고 설사하는 것[吐瀉] 1284
[습(濕)] 풍습(風濕) 1278
[정(精)] 유정은 심에 속한다[遺泄精屬心] 1271
[기침(咳嗽)] 기침이 발작하는 것은 4철에 따라 일찍 하거나 늦게 하는 차이가 있다[嗽作有四時早晏之異] 1270
[신형(身形)] 몸의 뒷부분[背]에는 3관(三關)이 있다[背有三關] 1263
[머리(頭)] 어지럼증[眩暈] 1263
[옹저(癰疽)] 폐옹(肺癰) 1263
[내상(內傷)] 식상의 치료법[食傷治法] 1261
[목(頸項)] 목이 뻣뻣한 것[項强] 1258
[발(足)] 학슬풍(鶴膝風) 1256
[위부(胃腑)] 위병의 허증과 실증[胃病虛實] 1255
[머리(頭)] 정두통(正頭痛) 1254
[기침(咳嗽)] 장부와 관련된 기침을 치료하는 약[臟腑治咳藥] 1253
[대변(大便)] 대변불통(大便不通) 1252
[화(火)] 폐열(肺熱) 1250
[기침(咳嗽)] 식적수(食積嗽) 1250
[화(火)] 화열을 두루 치료하는 약을 쓰는 법[通治火熱藥法] 1249
[짐승(獸部)] 환육(?肉, 너구리고기) 12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