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장(脾臟)

비병의 증상[脾病證]

한닥터 2011.07.19 조회 수 1444 추천 수 0
◎ 脾病證 ○ 邪在脾胃則病肌肉痛陽氣有餘陰氣不足則熱中善飢陽氣不足陰氣有餘則寒中腸鳴腹痛<靈樞> ○ 外證面黃善噫善思善味內證當臍有動氣按之牢若痛其病腹脹滿食不消體重節痛怠惰嗜臥四肢不收有是者脾也.無是者非也.<難經> ○ 大骨枯槁大肉陷下胸中氣滿喘息不便內痛引肩項身熱脫肉破군#眞藏見十月之內死註曰此脾之藏也.期後三百日內死 ○ 肝傳之脾病名曰脾風發?腹中熱煩心出黃 ○ 脾熱者色黃而肉?動<內經>

☞ 비병의 증상[脾病證]

  ○ 사기(邪氣)가 비위(脾胃)에 있으면 살이 아프다. 양기(陽氣)가 지나치고 음기(陰氣)가 부족하면 속에 열이 생겨서 배가 쉽게 고프다. 양기가 부족하고 음기가 지나치면 속이 차져서[寒] 끓고[鳴] 아프다[영추]. ○ 겉으로 나타나는 증상은 얼굴빛이 누렇고 트림이 잘 나며 생각을 잘하고 맛을 잘 아는 것이다. 속으로 나타나는 증상은 배꼽 부위에 동기(動氣)가 있으며 눌러 보면 뜬뜬하고[牢] 아픈 것 같다. 앓을 때 배가 불러 오르고 그득하면서 음식이 소화되지 않고 몸이 무거우며 뼈마디가 아프고 권태증[怠惰]이 나서 눕기를 좋아하며 팔다리를 쓰지 못하는 증상이 있는 것은 비병(脾病)이다. 이런 증상이 없는 것은 비병이 아니다[난경]. ○ 여위어 큰 뼈가 두드러지고 큰 힘살이 움푹 들어가며 가슴속에 기가 그득 차서 숨이 차고 말째며[不便] 속이 아프면서 어깨와 목까지 켕기고[引] 몸에 열이 나며 종아리살이 빠지고 진장맥(眞藏脈)이 나타나면 10달 이내에 죽는다. 주해에 "이것은 비기(脾氣)가 없어진 것이므로 3백일 이내에 죽는다"고 씌어 있다. 간병(肝病)이 옮아가서 생긴 비병을 비풍(脾風)이라고 하는데 이때에는 황달이 생기거나 뱃속이 달며[熱] 가슴이 답답하고 몸이 누렇게 된다. ○ 비에 열이 있으면 누런 빛이 나타나고 살이 벌레가 기어가는 것처럼 실룩거린다[내경].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침구(針灸)] 뜸의 보사법[灸補瀉法] 594
[침구(針灸)] 침뜸의 꺼려야 할 것[鍼灸禁忌] 380
[침구(針灸)] 침을 놓는 데는 기술이 있어야 한다는 데 대하여[鍼要得術] 560
[침구(針灸)] 침을 놓는 데는 유능한 의사와 서투른 의사가 있다는 데 대하여[鍼有上工中工] 436
[침구(針灸)] 침이 들어가 살에 붙는 것[鍼入着肉] 393
[침구(針灸)] 12경맥의 순행과 수혈[十二經脈流注?穴] 835
[침구(針灸)] 수태음폐경의 순행[手太陰肺經流注] 712
[침구(針灸)] 수양명대장경의 순행[手陽明大腸經流注] 440
[침구(針灸)] 족양명위경의 순행[足陽明胃經流注] 511
[침구(針灸)] 족태음비경의 순행[足太陰脾經流注] 405
[침구(針灸)] 수소음심경의 순행[手少陰心經流注] 420
[침구(針灸)] 수태양소장경의 순행[手太陽小腸經流注] 549
[침구(針灸)] 족태양방광경의 순행[足太陽膀胱經流注] 611
[신형(身形)] 형체와 기의 시초[形氣之始] 2053
[신형(身形)] 임신의 시초[胎孕之始] 3929
[신형(身形)] 4대(四大)로부터 형체가 생긴다는 것[四大成形] 1387
[신형(身形)] 사람의 원기의 왕성과 쇠약[人氣盛衰] 1611
[신형(身形)] 늙으면 자식을 낳지 못한다[年老無子] 1474
[신형(身形)] 오래 살고 일찍 죽는 차이[壽夭之異] 1646
[신형(身形)] 형체와 기는 오래 살고 일찍 죽는 것을 정한다[形氣定壽夭] 1378
[신형(身形)] 사람의 몸은 하나의 나라와 같다[人身猶一國] 1433
[신형(身形)] 단전(丹田)에는 세 가지가 있다[丹田有三] 1588
[신형(身形)] 몸의 뒷부분[背]에는 3관(三關)이 있다[背有三關] 1263
[신형(身形)] 정기신(精氣神)의 보양(保養)[保養精氣神] 2161
[신형(身形)] 옛날에 진인(眞人), 지인(至人), 성인(聖人), 현인(賢人)이 있었다 2094
[신형(身形)] 상고시대 사람들이 소박한 데 대하여[論上古天眞] 1153
[신형(身形)] 사철의 기후에 맞게 정신을 수양한다[四氣調神] 1314
[신형(身形)] 도[道]로 병을 치료한다[以道療病] 1436
[신형(身形)] 마음에 잡념이 없어야 수양하는 이치에 맞는다[虛心合道] 1417
[신형(身形)] 도[道]를 배우는 데는 빠르고 늦은 것이 없다[學道無早晩] 14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