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장(腎臟)

단방(單方)/신장

한닥터 2011.07.21 조회 수 955 추천 수 0
◎ 單方 ○ 凡二十三種
☞ 단방(單方)/신장  ○ 모두 23가지이다. 

◈ 磁石養益腎氣腎虛耳聾目昏皆用之 ○ 磁石法水故色黑而入腎爲末水飛入藥用<本草>
☞ 자석(磁石) ○ 신기를 보하는데 신기가 허하여 귀가 메고[聾] 눈이 어두운 데 쓴다. ○ 자석은 물의 성질을 본받아 빛이 검은데 그 기운이 신으로 들어간다. 가루내어 수비(水飛)해서 약에 넣어 쓴다[본초]. 

◈ 陽起石補腎氣治腎氣虛冷爲末水飛入藥用<本草>
☞ 양기석(陽起石) ○ 신기를 보하는데 신기가 허랭한 것을 치료한다. 가루내어 수비해서 약에 넣어 쓴다[본초]. 

◈ 鹽接藥入腎和鹽炒入鹽服之皆此意也.<本草>
☞ 염(鹽, 소금) ○ 약 기운을 신으로 끌어간다. 약에 소금을 섞어서 볶거나[炒] 소금을 넣어 먹는 것은 다 이런 이치이다[본초]. 

◈ 兎絲子補腎中陽氣治腎冷酒浸爲末和酒服或入藥用<本草>
☞ 토사자(兎絲子) ○ 신의 양기(陽氣)를 보하는데 신이 찬 것을 치료한다. 술에 담갔다가 가루내어 술에 타서 먹거나 약에 넣어 쓴다. 

◈ 肉?蓉命門相火不足以此補之酒浸蒸入藥<湯液>
☞ 육종용(肉?蓉) ○ 명문의 상화(相火)가 부족한 것을 보한다. 술에 불렸다가 쪄서 약에 넣어 쓴다[탕액]. 

◈ 五味子煖水藏補腎述類象形者也.或丸服或煮服<本草>
☞ 오미자(五味子) ○ 신을 따뜻하게 하며 신수를 보한다. 오미자는 모양이 신장 비슷한데 알약을 만들어 먹거나 달여서 먹는다[본초]. 

◈ 熟地黃假火力蒸九數故能補腎精八味丸以此爲君天一所生之源也.<湯液>
☞ 숙지황(熟地黃) ○ 아홉번 쪘기 때문에 신정(腎精)을 잘 보한다. 팔미환(八味丸)에 이것을 주약으로 넣는 것은 이것이 자연계[君天]에 처음 생겨난 수(水)의 근원이기 때문이다[탕액]. 

◈ 知母補腎陰不足治腎熱鹽水炒或丸服或煮服<本草>
☞ 지모(知母) ○ 신음(腎陰)이 부족한 것을 보하고 신에 있는 열을 없앤다. 소금물에 축여 볶아서 알약을 만들어 먹거나 달여서 먹는다[본초]. 

◈ 栢子仁潤澤腎藏治腎冷或丸服或入藥服<本草>
☞ 백자인(栢子仁) ○ 신장을 눅여 주는데 신이 찬 것을 치료한다. 알약을 만들어 먹거나 약에 넣어 먹는다[본초]. 

◈ 杜?治腎冷又治腎勞腰脚冷痛或煮服或丸服炒用<本草>
☞ 두충(杜沖) ○ 신에 냉기(冷氣)가 있는 것을 치료한다. 또한 신로(腎勞)로 허리와 다리가 차고 아픈 것도 낫게 한다. 달여서 먹거나 알약을 만들어 먹는데 볶아서 써야 한다. 

◈ 沈香補命門火不足爲末入藥或水磨取汁服之<本草>
☞ 침향(沈香) ○ 명문(命門)의 화(火)가 부족한 것을 보한다. 가루내어 약에 넣어 쓰거나 물에 갈아 즙으로 먹는다[본초]. 

◈ 山茱萸補腎添精煖水藏澁精氣或丸服或煮服<本草>
☞ 산수유(山茱萸) ○ 신을 보하고 정액을 불쿠어 주며[添] 신을 따뜻하게 하고 정액이 저절로 나가지 못하게 한다. 알약을 만들어 먹거나 달여서 먹는다[본초]. 

◈ 牡礪補腎?爲粉入丸藥用其肉亦可煮食<本草>
☞ 모려(牡蠣) ○ 신을 보한다. 구워서 가루내어 알약에 넣어 쓴다. 굴조개살을 삶아 먹어도 좋다[본초]. 

◈ 桑??主腎衰漏精酒洗略蒸入丸藥<本草>
☞ 상표초(桑??) ○ 신이 쇠약하여 정액이 저절로 나오는 데 주로 쓴다. 술에 씻어 약간 쪄서 알약에 넣어 쓴다[본초]. 

◈ 覆盆子益腎藏又煖腎酒浸焙入丸藥用或末服之<本草>
☞ 복분자(覆盆子) ○ 신을 보하고 따뜻하게 한다. 술에 담갔다가 약한 불기운에 말려서 약에 넣어 알약을 만들어 먹거나 가루내어 먹는다[본초]. 

◈ 破故紙溫補腎藏能引氣歸腎炒爲末入藥或末服<本草>
☞ 파고지(破故紙) ○ 신을 따뜻하게 하고 보하며 약 기운을 신으로 끌어간다. 볶아서 가루내어 약에 넣어 쓰거나 가루로 먹어도 된다[본초]. 

◈ 鹿茸補腎虛治腰腎虛冷?灸爲末入丸藥或作末服<本草>
☞ 녹용(鹿茸) ○ 신이 허한 것을 보하는데 허리와 신이 허랭한 것을 치료한다. 졸인 젖[?]을 발라 구운 다음 가루내어 약에 넣어 알약을 만들어 쓰거나 가루로 먹어도 된다[본초]. 

◈ 鹿角膠主腎藏氣衰虛損炒爲珠作末服<本草>
☞ 녹각교(鹿角膠) ○ 신기가 쇠약하여 허손된 것을 치료한다. 구슬같이 되게 볶아서 가루내어 먹는다[본초]. 

◈ ??臍益腎主腎精衰損多色成勞?能煖腎酒浸灸令香爲末服或入丸藥用之<本草>
☞ 올눌제(溫?臍, 물개신) ○ 신을 보하는데 신정(腎精)이 부족한 것과 성생활을 지나치게 하여 몹시 여윈 것을 치료한다. 또한 신을 따뜻하게 한다. 술에 담갔다가 고소한 냄새가 나게 구워서 가루내어 먹거나 알약을 만드는 데 넣어서 쓴다[본초]. 

◈ 狗陰莖補腎主陰?不起令强熱大灸爲末服或入丸藥<本草>
☞ 구음경(狗陰莖, 개의 음경) ○ 신을 보하는데 음위증(陰?證)으로 음경이 일어나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센 불에 구워서 가루내어 먹거나 알약 만드는 데 넣어 쓴다[본초]. 

◈ 牛腎補腎可常食之<本草>
☞ 우신(牛腎, 소의 콩팥) ○ 신을 보하는데 늘 먹어야 좋다[본초]. 

◈ 栗補腎腎病宜食宜?常食之<本草>
☞ 율(栗, 밤) ○ 신을 보한다. 신병(腎病)에는 구워서 늘 먹어야 좋다[본초]. 

◈ 黑豆入鹽煮能補腎宜常食之<食療>
☞ 흑두(黑豆, 검정콩) ○ 소금과 함께 넣어 삶은 것은 신을 잘 보한다. 늘 먹어야 좋다[식료].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혈(血)] 내상이 되면 피를 흘리게 된다[內傷失血] 761
[혈(血)] 피를 흘리는 여러 가지 증상[失血諸證] 794
[혈(血)] 핏빛을 보고 갓 생긴 것과 오래된 것을 갈라내는 방법[辨血色新舊] 737
[혈(血)] 축혈증(蓄血證) 1400
[혈(血)] 혈병(血病)의 길흉(吉凶)[血病吉凶] 804
[혈(血)] 망혈증(亡血證)과 탈혈증(脫血證)[亡血脫血證] 1023
[혈(血)] 코피[?血] 1425
[혈(血)] 코피를 멈추는 방법[止?法] 1375
[혈(血)] 구혈(嘔血)과 토혈(吐血) 2318
[혈(血)] 박궐증(薄厥證) 843
[혈(血)] 피오줌[尿血] 1487
[혈(血)] 피똥[便血] 1916
[혈(血)] 장벽증(腸癖證) 792
[혈(血)] 잇몸에서 피가 나오는 것[齒?] 1392
[혈(血)] 혈한(血汗)/혈 973
[혈(血)] 9규에서 피가 나오는 것[九竅出血] 1038
[혈(血)] 외상(다친 상처)으로 피가 나오는 것[傷損失血] 724
[혈(血)] 피를 흘린 뒤의 어지럼증[失血眩暈] 1394
[혈(血)] 검은 약[黑藥]은 피를 멎게 한다[黑藥止血] 900
[혈(血)] 꺼려야 할 것[禁忌]/혈 681
[혈(血)] 피가 나오는 데 약을 쓰는 방법[治血藥法] 1178
[혈(血)] 혈병(血病)에 두루 쓰는 약[通治血病藥餌] 1417
[혈(血)] 단방(單方)/혈 906
[혈(血)] 침뜸치료[鍼灸法]/혈 588
[꿈(夢)] 정신이 꿈이 된다[魂魄爲夢] 1000
[꿈(夢)] 음사는 꿈을 꾸게 한다[淫邪發夢] 898
[꿈(夢)] 5장이 허하거나 실하면 꿈을 꾼다[五藏虛實爲夢] 853
[꿈(夢)] 양기(陽氣)가 드나드는[出入] 데 따라 자거나 깨어난다[陽氣之出入爲寤寐] 824
[꿈(夢)] 정신이 얼떨떨하고 잠이 많은 것[昏沈多睡] 1161
[꿈(夢)] 허번(虛煩)으로 잠을 자지 못하는 것[虛煩不睡] 21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