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부(胃腑)

위의 형태[胃形象]

한닥터 2011.07.22 조회 수 767 추천 수 0
◎ 胃形象 ○ 胃長一尺六寸胃紆曲屈伸之長二尺六寸大一尺五寸徑五寸受水穀三斗五升其中之穀常留二斗水一斗五升<靈樞> ○ 胃重二斤十四兩<難經> ○ 胃爲之市註曰水穀所歸五味皆入如市雜故爲市也.<內經> ○ 胃號太倉俗呼爲?受水穀三斗五升平人日再?一行二升半一日五升七日則三斗五升而水穀盡矣故平人不飮食七日而死者胃中水穀津液俱盡也.<入門>

☞ 위의 형태[胃形象]

  ○ 위는 길이는 1자 6치이고 구부러졌는데 줄었다늘었다 한다. 늘어나면 길이가 2자 6치이다. 크기는 1자 5치, 직경은 5치이다. 음식물은 3말 5되가 들어갈 수 있는데 알곡 2말과 물 1말 5되가 들어갈 수 있다[영추]. ○ 위의 무게는 1,725g이다[난경]. ○ 위는 시장[市]과 같다. 주해에 "위는 음식물이 들어가는 곳인데 5가지 맛이 모두 들어가기 때문에 장거리처럼 복잡하므로 시장과 같다고 한다"고 씌어 있다[내경]. ○ 위를 태창(太倉)이라고도 하는데 민간에서는 밥집[?]이라고 한다. 음식물은 3말 5되를 받아들인다. 보통 사람은 하루 두번씩 대변을 보는데 한번에 2되 5홉씩 하루 5되를 내보낸다. 그러므로 7일 동안에는 먹은 음식물에서 3말 5되는 내보낸다. 때문에 보통 사람이 음식물을 7일 동안 먹지 않으면 죽는데 그것은 위 속에 있던 음식물의 진액이 다 없어지기 때문이다[입문].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대장부(大腸腑)] 대장병의 증상[大腸病證] 937
[대장부(大腸腑)] 대장의 상태가 겉으로 나타난 증후[大腸外候] 855
[대장부(大腸腑)] 대소장에 달린 줄[大小腸連系] 674
[대장부(大腸腑)] 대장의 위치[大腸部位] 1029
[대장부(大腸腑)] 대장의 형태[大腸形象] 622
[소장부(小腸腑)] 단방(單方)/소장부 723
[소장부(小腸腑)] 소장의 기가 끊어지는 증후[小腸絶候] 620
[소장부(小腸腑)] 소장병을 치료하는 법[小腸病治法] 1075
[소장부(小腸腑)] 소장병의 증상[小腸病證] 1080
[소장부(小腸腑)] 소장의 상태가 겉으로 나타난 증후[小腸外候] 761
[소장부(小腸腑)] 소장이 전하고 받는 것[小腸傳受] 742
[소장부(小腸腑)] 소장의 위치[小腸部位] 713
[소장부(小腸腑)] 소장의 형태[小腸形象] 597
[위부(胃腑)] 단방(單方)/위부 894
[위부(胃腑)] 위의 기가 끊어진 증후[胃絶候] 706
[위부(胃腑)] 위병을 치료하는 법[胃病治法] 2577
[위부(胃腑)] 위병의 허증과 실증[胃病虛實] 1255
[위부(胃腑)] 위병의 증상[胃病證] 2283
[위부(胃腑)] 위가 상한 증후[胃傷證] 830
[위부(胃腑)] 위의 상태가 겉으로 나타난 증후[胃外候] 868
[위부(胃腑)] 위가 크고 작은 것[胃腑大小] 667
[위부(胃腑)] 위는 음식물을 받아들이는 곳이다[胃爲水穀之海] 711
[위부(胃腑)] 위의 위치[胃部位] 702
[위부(胃腑)] 위의 형태[胃形象] 767
[담부(膽腑)] 단방(單方)/담부 710
[담부(膽腑)] 담부에 대한 도인법[膽腑導引法] 839
[담부(膽腑)] 담기가 끊어진 증후[膽絶候] 608
[담부(膽腑)] 담병을 치료하는 법[膽病治法] 1054
[담부(膽腑)] 담병의 허증과 실증[膽病虛實] 1020
[담부(膽腑)] 담병의 증상[膽病證] 8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