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장부(小腸腑)

소장의 위치[小腸部位]

한닥터 2011.07.22 조회 수 713 추천 수 0
◎ 小腸部位 ○ 小腸後附脊當臍左環廻周葉積而下<靈樞> ○ 胃之下口卽小腸上口名曰幽門臍上一寸水分穴卽小腸下口也.<入門> ○ 關元一穴在臍下三寸小腸之募也.在背則小腸兪在脊十八 下兩傍此小腸部位也.<銅人>

☞ 소장의 위치[小腸部位]

  ○ 소장은 뒤로 등뼈[脊]에 닿아 있고 배꼽을 중심으로 하여 왼쪽으로 첩첩이 돌아 아래로 내려갔다[영추]. ○ 위(胃)의 아래끝이 바로 소장의 위끝에 해당되는데 이곳을 유문(幽門)이라고 한다. 배꼽에서 위로 1치 되는 곳이 수분혈(水分穴)인데 여기가 소장의 아래끝에 해당된다[입문]. ○ 관원혈(關元穴)은 배꼽에서 아래로 3치 되는 곳에 있는데 소장의 모혈[募]이다. 잔등[背]에는 소장수(小腸兪)가 있는데 장골후상극의 아래에 있는 우묵한 곳[脊十八椎下兩傍]이다. 이것이 소장에 해당한 부위이다[동인].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오줌(小便)] 기림(氣淋) 1210
[허로(虛勞)] 허로병의 원인[虛勞病源] 1210
[풍(風)] 중풍 때에는 기를 고르게 하는 것이 좋다[中風宜調氣] 1209
[입과 혀(口舌)] 혓바늘이 돋는 것[舌生芒刺] 1208
[혈(血)] 혈(血)은 영(榮)이 된다[血爲榮] 1206
[포(胞)] 혈고(血枯) 1205
[풍(風)] 조섭하여 치료하거나 예방하여야 한다[調治預防] 1205
[코(鼻)] 코가 메는 것[鼻塞] 1204
[허리(腰)] 습열로 허리가 아픈 것[濕熱腰痛] 1202
[옆구리(脇)] 기울로 옆구리가 아픈 것[氣鬱脇痛] 1 1202
[소아(小兒)] 신은 허한 것을 주관한다[腎主虛] 1201
[신형(身形)] 계절에 맞춰 사는 법[四時節宣] 1200
[부종(浮腫)] 부종치료에 두루 쓰는 약[浮腫通治藥] 1199
[피부(皮)] 색택증(索澤證) 1196
[화(火)] 하초열(下焦熱) 1194
[짐승(獸部)] 녹용(鹿茸) 녹각(鹿角) 녹골(鹿骨) 녹수(鹿髓) 녹혈(鹿血) 녹육(鹿肉) 1193
[간장(肝臟)] 간병의 허증과 실증[肝病虛實] 1192
[신장(腎臟)] 신장이 상한 증상[腎傷證] 1192
[젖(乳)] 젖멍울[結核]이 오래되면 유암이 된다[結核久成於?巖] 1192
[학질(?疾)] 학질은 낮에 발작하는 것과 밤에 발작하는 것을 반드시 갈라서 치료해야 한다[?晝發夜發宜分治] 1191
[진액(津液)] 땀은 습열 때문에 나온다[汗因濕熱] 1187
[피부(皮)] 단독(丹毒)/피부 1186
[간장(肝臟)] 간에 속한 것들[肝屬物類] 1184
[머리(頭)] 궐역두통(厥逆頭痛) 1183
[눈(眼)] 눈병 때 두루 쓰는 약[通治眼病藥] 1183
[포(胞)] 피가 엉켜서 가가 된 것[血結成?] 1182
[정(精)] 음식물로 정을 보한다[補精以味] 1181
[대변(大便)] 여러 가지 설사증[泄瀉諸證] 1180
[제창(諸瘡)] 영류(?瘤) 1179
[부인(婦人)] 부인의 잡병[婦人雜病] 11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