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장부(小腸腑)

단방(單方)/소장부

한닥터 2011.07.22 조회 수 723 추천 수 0
◎ 單方 凡九種
☞ 단방(單方)/소장부  ○ 모두 9가지이다. 

◈ 澤瀉通小腸利小便水煎服之<本草>
☞ 택사(澤瀉) ○ 소장을 잘 통하게 하고 오줌을 잘 나오게 하는데 물에 달여서 먹는다[본초]. 

◈ 木通通小腸下水水煎服之<本草>
☞ 목통(木通) ○ 소장을 잘 통하게 하고 오줌은 잘 나오게 하는데 물에 달여서 먹는다[본초]. 

◈ 瞿麥通心經利小腸爲最要水煎服之<本草>
☞ 구맥(瞿麥, 패랭이꽃) ○ 심경(心經)을 잘 통하게 하고 오줌을 잘 나오게 하는 데는 제일 좋은 약이다. 물에 달여서 먹는다[본초]. 

◈ 連翹通小腸水煎服之<本草>
☞ 연교(連翹) ○ 소장을 잘 통하게 하는데 물에 달여서 먹는다. 

◈ 茯神治小腸不利水煎服或末服<本草>
☞ 복신(茯神) ○ 오줌이 잘 나오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물에 달여서 먹거나 가루를 내어 먹는다[본초]. 

◈ 黑豆煮汁飮除腸中淋露又治腸痛熬浸酒飮之<本草>
☞ 흑두(黑豆, 검은콩) ○ 물에 삶아서 그 물을 마시면 장(腸) 속에 머물러 있던 물기가 없어진다. 장이 아픈 것을 치료할 때에는 볶아서[熬] 술에 담갔다가 달여서 먹어야 한다[본초]. 

◈ 梔子療小腸熱水煎服之<本草>
☞ 치자(梔子, 산치자) ○ 소장에 열이 있는 것을 치료하는데 물에 달여서 먹는다[본초]. 

◈ 冬瓜汁利小腸可飮之<本草>
☞ 동과즙(冬瓜汁, 동아즙) ○ 오줌을 잘 나오게 하려고 할 때에 마시면 좋다[본초]. 

◈ 煮葵汁滑小腸作羹作茹食之<本草>
☞ 자규즙(煮葵汁, 아욱 달인 즙) ○ 소장을 잘 통하게 한다. 국을 끓이는데 넣어 먹거나 나물에 쳐서 먹는다[본초].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대장부(大腸腑)] 대장병의 증상[大腸病證] 937
[대장부(大腸腑)] 대장의 상태가 겉으로 나타난 증후[大腸外候] 855
[대장부(大腸腑)] 대소장에 달린 줄[大小腸連系] 674
[대장부(大腸腑)] 대장의 위치[大腸部位] 1029
[대장부(大腸腑)] 대장의 형태[大腸形象] 622
[소장부(小腸腑)] 단방(單方)/소장부 723
[소장부(小腸腑)] 소장의 기가 끊어지는 증후[小腸絶候] 620
[소장부(小腸腑)] 소장병을 치료하는 법[小腸病治法] 1075
[소장부(小腸腑)] 소장병의 증상[小腸病證] 1080
[소장부(小腸腑)] 소장의 상태가 겉으로 나타난 증후[小腸外候] 761
[소장부(小腸腑)] 소장이 전하고 받는 것[小腸傳受] 742
[소장부(小腸腑)] 소장의 위치[小腸部位] 713
[소장부(小腸腑)] 소장의 형태[小腸形象] 597
[위부(胃腑)] 단방(單方)/위부 894
[위부(胃腑)] 위의 기가 끊어진 증후[胃絶候] 706
[위부(胃腑)] 위병을 치료하는 법[胃病治法] 2577
[위부(胃腑)] 위병의 허증과 실증[胃病虛實] 1255
[위부(胃腑)] 위병의 증상[胃病證] 2283
[위부(胃腑)] 위가 상한 증후[胃傷證] 830
[위부(胃腑)] 위의 상태가 겉으로 나타난 증후[胃外候] 868
[위부(胃腑)] 위가 크고 작은 것[胃腑大小] 667
[위부(胃腑)] 위는 음식물을 받아들이는 곳이다[胃爲水穀之海] 711
[위부(胃腑)] 위의 위치[胃部位] 702
[위부(胃腑)] 위의 형태[胃形象] 767
[담부(膽腑)] 단방(單方)/담부 710
[담부(膽腑)] 담부에 대한 도인법[膽腑導引法] 839
[담부(膽腑)] 담기가 끊어진 증후[膽絶候] 608
[담부(膽腑)] 담병을 치료하는 법[膽病治法] 1054
[담부(膽腑)] 담병의 허증과 실증[膽病虛實] 1020
[담부(膽腑)] 담병의 증상[膽病證] 8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