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광부(膀胱腑)

단방(單方)/방광부

한닥터 2011.07.22 조회 수 640 추천 수 0
◎ 單方 ○ 凡十七種
☞ 단방(單方)/방광부  ○ 모두 17가지이다. 

◈ 澤瀉利膀胱熱宣通水道水煎服<本草>
☞ 택사(澤瀉) ○ 방광에 있는 열을 없애고 오줌을 잘 나오게 한다. 물에 달여서 먹는다[본초]. 

◈ 茴香溫膀胱去冷氣或炒爲末點服或煎服<本草>
☞ 회향(茴香) ○ 방광을 따뜻하게 하고 냉기를 없앤다. 볶아서 가루를 내어 물에 타 먹거나 달여 먹는다[본초]. 

◈ 防己去膀胱熱?水煎服之<本草>
☞ 방기(防己) ○ 방광에 있는 열을 없앤다. 썰어서 물에 달여 먹는다[본초]. 

◈ 石韋治膀胱熱滿水煎服之<本草>
☞ 석위(石韋) ○ 방광에 열이 심한 것을 치료한다. 물에 달여서 먹는다[본초]. 

◈ 地膚子主膀胱熱利小便或水煎服或爲末服<本草>
☞ 지부자(地膚子, 댑싸리씨) ○ 방광에 열이 있는 것을 치료하는데 오줌을 잘 나오게 한다. 물에 달여서 먹거나 가루를 내어 먹는다[본초]. 


◈ 瞿麥逐膀胱邪逆通小便水煎服之<本草>
☞ 구맥(瞿麥, 패랭이꽃) ○ 방광에 있는 사기(邪氣)를 몰아내고 오줌을 잘 나가게 한다. 물에 달여서 먹는다[본초]. 

◈ 栢子仁去膀胱冷膿宿水或末服或丸服皆佳<本草>
☞ 백자인(柏子仁) ○ 방광에 있는 찬 고름[冷膿]과 오래된 물[宿水]을 없앤다. 가루를 내어 먹거나 알약을 만들어 먹어도 다 좋다[본초]. 

◈ 威靈仙去膀胱宿膿惡水或末服或煎服<本草>
☞ 위령선(威靈仙) ○ 방광에 오래 된 고름[宿膿]과 궂은 물[惡水]이 있는 것을 없앤다. 가루를 내어 먹거나 달여서 먹는다[본초]. 

◈ 郁李仁治膀胱急痛爲末服或丸服<本草>
☞ 욱리인(郁李仁, 이스라치씨) ○ 방광이 켕기면서[急] 아픈 것을 치료한다. 가루를 내어 먹거나 알약을 만들어 먹는다[본초]. 

◈ 靑橘皮除膀胱留熱停水或煎服或末服<本草>
☞ 청귤피(靑橘皮) ○ 방광에 있는 오래된 열[留熱]과 머물러 있는 물[停水]을 없앤다. 달여서 먹거나 가루를 내어 먹는다[본초]. 

◈ 黃栢瀉膀胱之熱利下竅或煎服或丸服之<本草>
☞ 황백(黃柏) ○ 방광에 있는 열을 없애고 아랫구멍[下竅]을 잘 통하게 한다. 달여서 먹거나 알약을 만들어 먹는다[본초]. 

◈ 烏藥主膀胱腎間冷痛或煎服或爲末點服<本草>
☞ 오약(烏藥) ○ 방광과 신장 사이가 차고 아픈 것을 치료한다. 달여서 먹거나 알약을 만들어 먹는다[본초]. 

◈ 椒目主膀胱急或末服或爲丸服<本草>
☞ 초목(椒目, 산초씨) ○ 방광이 켕기는 것을 치료한다. 가루를 내어 먹거나 알약을 만들어 먹는다[본초]. 

◈ 猪腎通利膀胱又補膀胱水煮幷汁服猪胞尤佳<本草>
☞ 저신(猪腎, 돼지콩팥) ○ 방광을 잘 통하게 하고 보(補)한다. 물에 삶아 국물까지 먹는다. 돼지오줌깨[猪胞]가 더 좋다[본초]. 

◈ 吳茱萸能煖膀胱水煎服之<本草>
☞ 오수유(吳茱萸) ○ 방광을 따뜻하게 한다. 물에 달여서 먹는다[본초]. 

◈ 昆布療膀胱急妨下水氣切四兩入?白三莖煮爛下薑椒鹽末調和服之<本草>
☞ 곤포(昆布, 다시마) ○ 방광이 켕기면서 오줌이 잘 나오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160g을 썰어서 파밑(총백) 3대와 함께 물에 진하게 달인 다음 생강, 산초(천초), 소금가루를 넣어 섞어서 먹는다[본초]. 

◈ 魚膾除膀胱水以薑醋蒜?食之<本草>
☞ 어회(魚膾, 물고기회) ○ 방광의 수기(水氣)를 없앤다. 생강, 식초, 마늘, 부추를 넣어 먹는다[본초].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혈(血)] 피가 나오는 데 약을 쓰는 방법[治血藥法] 1178
[기침(咳嗽)] 풍한천(風寒喘) 1177
[혈(血)] 음혈(陰血)은 음식물[水穀]에서 생긴다[陰血生於水穀] 1174
[기침(咳嗽)] 화천(火喘) 1174
[서(暑)] 무더운 여름에는 기(氣)를 보해야 한다[夏暑宜補氣] 1172
[기(氣)] 기(氣)는 음식물[穀]에 의해 생긴다[氣生於穀] 1170
[담음(痰飮)] 10가지 담병(痰病)이 있다[痰病有十] 1170
[습(濕)] 화와 열은 습을 생기게 한다[火熱生濕] 1170
[곽란(?亂)] 건곽란을 치료하는 방법[乾?亂治法] 1169
[진액(津液)] 두루 쓰는 약[通治藥] 1165
[적취(積聚)] 기울(氣鬱) 1 1165
[신형(身形)] 배꼽을 단련하는 법[煉臍法] 1162
[포(胞)] 적백대하(赤白帶下) 1162
[오줌(小便)] 늙은이와 허약한 사람이 오줌을 잘 누지 못하는 것[老虛人癃閉] 1162
[입과 혀(口舌)] 입맛이 쓴 것[口苦] 1162
[꿈(夢)] 정신이 얼떨떨하고 잠이 많은 것[昏沈多睡] 1161
[대변(大便)] 습설(濕泄) 1161
[가슴(胸)] 계심통(悸心痛) 1161
[머리(頭)] 풍훈(風暈) 1159
[귀(耳)] 귀가 먹은 것[耳聾] 1159
[담음(痰飮)] 담(痰)에 대한 왕은군의 이론[王隱君痰論] 1158
[충(蟲)] 촌백충(寸白蟲) 1158
[한(寒)] 양명병의 형태와 증상에 쓰는 약[陽明形證用藥] 1158
[전음(前陰)] 한산에 쓰는 약[寒疝藥] 1157
[진액(津液)] 어린이 식은땀[童子盜汗] 1155
[대변(大便)] 활설(滑泄) 1155
[손(手)] 팔다리를 잘 쓰지 못하는 것[四肢不用] 1155
[채소(菜部)] 길경(桔梗, 도라지) 1154
[신형(身形)] 상고시대 사람들이 소박한 데 대하여[論上古天眞] 1153
[옹저(癰疽)] 옹저 때 내탁하는 방법[癰疽內托法] 11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