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초부(三焦腑)

3초의 형태[三焦形象]

한닥터 2011.07.22 조회 수 670 추천 수 0
◎ 三焦形象 ○ 上焦如霧中焦如?下焦如瀆<靈樞> ○ 上焦主出陽氣溫於皮膚分肉之間若霧露之漑焉故曰上焦如霧 ○ 中焦主變化水穀之味其精微上注於肺化而爲血行於經隧以榮五藏周身故曰中焦如? ○ 下焦主通利?便以時傳下出而不納開通秘塞故曰下焦如瀆<入門> ○ 三焦指腔子而言包含乎腸胃之總司也.胸中?膜之上曰上焦盲膜之下臍之上曰中焦臍之下曰下焦總名曰三焦<正傳>

☞ 3초의 형태[三焦形象]

  ○ 상초(上焦)는 안개와 같고 중초(中焦)는 거품과 같으며 하초(下焦)는 도랑과 같다[영추]. ○ 상초는 주로 양기(陽氣)를 내서 피부와 살 사이를 따뜻하게 하는데 안개나 이슬이 잦어드는 것과 같이하므로 상초를 안개 같다고 한다. ○ 중초(中焦)는 음식물의 맛을 정미(精微)한 기운으로 변화시켜서 위[上]로 폐(肺)에 보내어 혈(血)이 되게 한다. 그리고 그것을 경맥 속으로 돌게 하여 5장과 온몸을 영양[榮]하게 한다. 그러므로 중초를 거품 같다고 한다. ○ 하초(下焦)는 오줌과 대변을 때맞추어 잘 나가게만 하고 들어오지는 못하게 한다. 그리고 막힌 것을 열어서 잘 통하게 한다. 그러므로 하초를 도랑 같다고 한다[입문]. ○ 3초란 몸 속[腔子]을 가리켜 하는 말인데 창자[腸胃]까지 포함하여 맡아 보는 기관[總司]이다. 가슴과 가름막 위를 상초라고 하고 가름막 아래와 배꼽 위를 중초라고 하며 배꼽 아래를 하초라고 하는데 이것을 통틀어 3초(三焦)라고 한다[정전].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과실(果部)] 검인(芡仁, 가시연밥) 678
[과실(果部)] 능인(菱仁, 마름) 530
[과실(果部)] 앵도(櫻桃, 앵두) 앵도엽(櫻桃葉, 앵두나무잎) 동행근(東行根, 동쪽으로 뻗은 앵두나무뿌리) 575
[과실(果部)] 등자피(橙子皮, 등자나무껍질) 765
[과실(果部)] 매실(梅實, 매화열매) 오매(烏梅) 백매(白梅) 매엽(梅葉, 매화나무잎) 1469
[과실(果部)] 모과(木瓜) 모과지엽(木瓜枝葉, 모과나무의 가지와 잎) 모과근(木瓜根) 653
[과실(果部)] 명사(??, 명자) 61
[과실(果部)] 홍시(紅?, 연감) 오시(烏?) 백시(白?, 곶감) 소시(小?, 고욤) 비시(??, 먹감) 702
[과실(果部)] 비파엽(枇杷葉) 비파실(枇杷實, 비파나무열매) 762
[과실(果部)] 여지(?枝, 예지) 여지핵(?枝核, 예지씨) 535
[과실(果部)] 용안(龍眼) 용안핵(龍眼核, 용안씨) 499
[과실(果部)] 유당(乳糖) 사당(沙糖, 사당) 519
[과실(果部)] 도핵인(桃核仁, 복숭아씨) 도화(桃花, 복숭아꽃) 도효(桃梟, 나무에 달린 마른 복숭아) 도모(桃毛, 복숭아털) 도두(桃?, 복숭아나무벌레) 경백피(莖白皮, 복숭아나무속껍질) 도엽(桃葉, 복숭아나무잎) 도교(桃膠, 복숭아나무진) 도실(桃實, 복숭아열매) 1308
[과실(果部)] 행핵인(杏核仁, 살구씨) 행실(杏實, 살구열매) 549
[과실(果部)] 석류(石榴) 석류각(石榴殼, 석류껍질) 석류화(石榴花, 석류꽃) 동행근피(東行根皮) 874
[과실(果部)] 이자(梨子, 배) 이엽(梨葉, 배나무잎) 이수피(梨樹皮, 배나무껍질) 667
[과실(果部)] 임금(林檎, 능금) 동행근(東行根, 동쪽으로 뻗은 능금나무뿌리) 576
[과실(果部)] 이핵인(李核仁, 오얏씨) 이근백피(李根白皮) 이엽(李葉) 이실(李實) 564
[과실(果部)] 호도(胡桃, 당추자) 외청피(外靑皮, 호두의 푸른 겉껍질) 수피(樹皮, 호두나무껍질) 689
[과실(果部)] 미후도(??桃, 다래) 813
[과실(果部)] 해송자(海松子, 잣) 801
[과실(果部)] 내자(柰子) 415
[과실(果部)] 진자(榛子, 개암) 326
[과실(果部)] 은행(銀杏) 637
[과실(果部)] 비자(榧子) 397
[과실(果部)] 산사자(山?子, 찔광이) 643
[과실(果部)] 야자(椰子) 353
[과실(果部)] 무화과(無花果) 580
[채소(菜部)] 채소부[菜部] ○ 모두 122가지이다. 595
[채소(菜部)] 생강(生薑) 건강(乾薑, 마른생강) 백강(白薑) 건생강(乾生薑, 말린 생강) 17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