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초부(三焦腑)

3초의 형태[三焦形象]

한닥터 2011.07.22 조회 수 670 추천 수 0
◎ 三焦形象 ○ 上焦如霧中焦如?下焦如瀆<靈樞> ○ 上焦主出陽氣溫於皮膚分肉之間若霧露之漑焉故曰上焦如霧 ○ 中焦主變化水穀之味其精微上注於肺化而爲血行於經隧以榮五藏周身故曰中焦如? ○ 下焦主通利?便以時傳下出而不納開通秘塞故曰下焦如瀆<入門> ○ 三焦指腔子而言包含乎腸胃之總司也.胸中?膜之上曰上焦盲膜之下臍之上曰中焦臍之下曰下焦總名曰三焦<正傳>

☞ 3초의 형태[三焦形象]

  ○ 상초(上焦)는 안개와 같고 중초(中焦)는 거품과 같으며 하초(下焦)는 도랑과 같다[영추]. ○ 상초는 주로 양기(陽氣)를 내서 피부와 살 사이를 따뜻하게 하는데 안개나 이슬이 잦어드는 것과 같이하므로 상초를 안개 같다고 한다. ○ 중초(中焦)는 음식물의 맛을 정미(精微)한 기운으로 변화시켜서 위[上]로 폐(肺)에 보내어 혈(血)이 되게 한다. 그리고 그것을 경맥 속으로 돌게 하여 5장과 온몸을 영양[榮]하게 한다. 그러므로 중초를 거품 같다고 한다. ○ 하초(下焦)는 오줌과 대변을 때맞추어 잘 나가게만 하고 들어오지는 못하게 한다. 그리고 막힌 것을 열어서 잘 통하게 한다. 그러므로 하초를 도랑 같다고 한다[입문]. ○ 3초란 몸 속[腔子]을 가리켜 하는 말인데 창자[腸胃]까지 포함하여 맡아 보는 기관[總司]이다. 가슴과 가름막 위를 상초라고 하고 가름막 아래와 배꼽 위를 중초라고 하며 배꼽 아래를 하초라고 하는데 이것을 통틀어 3초(三焦)라고 한다[정전].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짐승(獸部)] 해달(海獺, 바다수달) 671
[과실(果部)] 율자(栗子, 밤) 율피(栗皮, 밤껍질) 율모각(栗毛殼, 밤송이) 율설(栗楔, 밤의 가운데 톨) 671
[삼초부(三焦腑)] 3초의 형태[三焦形象] 670
[잔등(背)] 귀배(龜背) 670
[피부(皮)] 풍한의 사기는 먼저 피모로 들어온다[風寒之邪先入皮毛] 670
[한(寒)] 상한 때에 머리가 아픈 것, 몸이 아픈 것, 온몸의 뼈마디가 아픈 것[傷寒頭痛身疼百節痛] 670
[탕액서례(湯液序例)] 여러 경락으로 인경하는 약[諸經引藥] 670
[대변(大便)] 역리(疫痢) 669
[채소(菜部)] 송이(松耳, 송이버섯) 669
[잡방(雜方)] 질투하는 것을 없어지게 하는 방법[去妬方] 668
[부인(婦人)] 자림(子淋) 668
[벌레(蟲部)] 방합(蚌蛤, 진주조개) 668
[위부(胃腑)] 위가 크고 작은 것[胃腑大小] 667
[포(胞)] 맥 보는 법[脈法]/포 667
[기침(咳嗽)] 주수(酒嗽) 667
[부종(浮腫)] 산전산후에 생기는 부종[婦人産前後浮腫] 667
[과실(果部)] 이자(梨子, 배) 이엽(梨葉, 배나무잎) 이수피(梨樹皮, 배나무껍질) 667
[오줌(小便)] 맥 보는 법[脈法]/오줌 666
[배꼽(臍)] 배꼽 아래에 단전이 있다[臍下有丹田] 666
[한(寒)] 상한동계(傷寒動悸) 666
[온역(瘟疫)] 대두온증(大頭瘟證) 666
[부인(婦人)] 아이를 낳게 하는 데는 쉽게 낳게 하는 약을 쓰는 것이 좋다[催生宜用滑利藥] 666
[나무[木部]] 계피(桂皮) 계심(桂心) 육계(肉桂) 계지(桂枝) 유계(柳桂) 666
[맥(脈)] 촌(寸), 관(關), 척(尺)의 합(合)한 길이는 1치 9푼이다[寸關尺合一寸九分] 665
[한(寒)] 소음병 때의 사역증에는 2가지가 있다[少陰四逆證有二] 665
[진액(津液)] 땀이 나지 않는 것[無汗] 664
[눈(眼)] 늙은이의 눈이 잘 보이지 않는 것[老人眼昏] 664
[부인(婦人)] 태반이 나오지 않는 것[胞衣不下] 664
[물(水部)] 벽해수(碧海水, 짠 바닷물) 664
[채소(菜部)] 목두채(木頭菜, 두릅나물) 6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