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초부(三焦腑)

3초가 받고 전하는 것[三焦傳受]

한닥터 2011.07.22 조회 수 644 추천 수 0
◎ 三焦傳受 ○ 上焦出於胃上口?咽以上貫膈而布胸中走腋循太陰之分而行還至陽明上至舌下足陽明常與榮俱行於陽二十五度行於陰亦二十五度爲一周而復大會於手太陰命曰衛氣也. ○ 中焦亦?胃中出上焦之後此所受氣者泌糟粕蒸津液化其精微上注於肺脈乃化而爲血以奉生身莫貴於此故獨得行於經隧命曰榮氣 ○ 下焦者別廻腸注於膀胱而?入焉故水穀者常?居於胃中成糟粕而俱下於大腸而成下焦?而俱下濟泌別汁循下焦而?入膀胱焉<靈樞> ○ 上焦如霧者氣下焦如瀆者血也.中焦者氣血之分也.<東垣> ○ 心肺若無上焦何以宗主榮衛脾胃若無中焦何以腐熟水穀肝腎若無下焦何以疎決津液無形而有用主持諸氣三焦者水穀之道路氣之所終始也.<入門>

☞ 3초가 받고 전하는 것[三焦傳受]

  ○ 상초는 위(胃)의 윗구멍[上口]에서 나와 식도[咽]와 나란히 가름막을 뚫고 올라가 가슴 속에서 퍼지고 겨드랑이에서 태음경맥[太陰之分]을 따라가다가 다시 양명(陽明)으로 돌아와서 위로 올라가 혀 밑에 이른다. 족양명(足陽明)은 항상 영(榮)과 함께 양(陽)으로 25번 돌고 음(陰)으로 25번 도는데 다 돌고 나서는 다시 수태음(手太陰)에 모인다. 이것을 위기(衛氣)라고 한다. ○ 중초는 위(胃)의 가운데서부터 상초의 뒤로 나오는데 음식의 기를 받아들이게 하고 찌꺼기는 내려보낸다. 그리고 진액을 훈증[蒸]하여 정미한 것으로 변화시켜서 폐맥으로 올려 보내어 혈(血)이 되게 한다. 혈이 생명을 유지하는 데는 제일 귀중한 것인데 이것이 경맥 속을 따라 도는 것을 영기(榮氣)라고 한다. ○ 하초는 회장(廻腸)에서 갈라져 방광으로 뚫고 들어갔다. 위에서 소화된 음식물의 찌꺼기가 대장으로 내려가면 하초가 물기를 갈라내서 방광으로 보낸다[영추]. ○ 상초는 안개와 같으므로 기(氣)라고 하고 하초는 흐르는 도랑과 같으므로 혈(血)이라고 한다. 중초란 기와 혈이 갈라지는 곳이다[동원]. ○ 심폐(心肺)에 만일 상초가 없으면 어떻게 영위(榮衛)를 주관할 수 있으며 비위(脾胃)에 만일 중초가 없으면 어떻게 음식물을 소화시킬 수 있고 간신(肝腎)에 만일 하초가 없으면 어떻게 진액을 잘 나가게 할 수 있겠는가. 3초는 형체가 없고 작용만 있는데 모든 기를 통솔한다. 3초는 음식물의 길이며 기를 생겨나게도 하고 없어지게도 한다[입문].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언어(言語)] 담이 막히거나 망혈이 되어도 또한 말을 하지 못하게 된다[痰塞亡血赤爲?] 870
[언어(言語)] 맥 보는 법[脈法]/언어 618
[언어(言語)] 정성(鄭聲) 647
[언어(言語)] 말소리가 약한 것[言微] 900
[언어(言語)] 외치는 것[呼] 628
[언어(言語)] 웃음[笑] 705
[언어(言語)] 치료법[治法] 815
[언어(言語)] 노래하는 것[歌] 609
[언어(言語)] 우는 것[哭] 597
[언어(言語)] 신음소리[呻] 691
[언어(言語)] 하품[欠] 741
[언어(言語)] 재채기[?] 793
[언어(言語)] 트림[噫] 711
[언어(言語)] 한숨[太息] 704
[언어(言語)] 몹시 놀라서 말을 못하는 것[大驚不語] 730
[언어(言語)] 중풍으로 말을 못하는 증상[中風不語] 751
[언어(言語)] 부인이 몸풀기 전에 말을 못하는 증과 몸푼 뒤에 말을 못하는 증[婦人産前不語産後不語] 600
[언어(言語)] 어린이가 말을 늦게 하는 것[小兒語遲] 682
[언어(言語)] 말을 하게 하는 방법[言語法] 709
[언어(言語)] 치료할 수 없는 증[不治證]/언어 615
[언어(言語)] 침뜸치료[鍼灸法]/언어 640
[진액(津液)] 몸 안에 있는 진액[身中津液] 1020
[진액(津液)] 신은 액을 주관한다[腎主液] 860
[진액(津液)] 땀은 습열 때문에 나온다[汗因濕熱] 1186
[진액(津液)] 저절로 나는 땀[自汗] 2290
[진액(津液)] 식은땀[盜汗] 1810
[진액(津液)] 어린이 식은땀[童子盜汗] 1155
[진액(津液)] 심한(心汗) 988
[진액(津液)] 손발에서 땀이 나는 것[手足汗] 1337
[진액(津液)] 음낭 부위에서 땀이 나는 것[陰汗] 12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