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초부(三焦腑)

3초병의 증상[三焦病證]

한닥터 2011.07.22 조회 수 745 추천 수 0
◎ 三焦病證 ○ 三焦病者腹氣滿小腹尤堅不得小便窘急溢則水留卽爲脹 ○ 小腹痛腫不得小便邪在三焦約也.<靈樞> ○ 上焦如霧霧不散則爲喘滿此出而不納也.中焦如??不利則爲留飮留飮不散久爲中滿此上不能納下不能出也.下焦如瀆瀆不利則爲腫滿此上納而下不出也.<海藏> ○ 下焦溢爲水<內經> ○ 三焦爲丙火之府故其發也.爲無根之相火<入門>

☞ 3초병의 증상[三焦病證]

  ○ 3초병(三焦病) 때에는 배에 기운이 가득 차서 아랫배가 몹시 딴딴해지며[堅] 오줌을 누지 못한다. 병이 더 심해져서 오줌을 누지 못하면 물기가 머무르게 되어 배가 불러 오른다. ○ 아랫배가 아프고 부으면서 오줌을 누지 못하는 것은 3초가 사기(邪氣)로 약해졌기 때문이다[영추]. ○ 상초는 안개와 같으므로 안개가 흩어지지 않는 것같이 되면 숨이 몹시 차다[喘滿]. 이것은 상초가 주로 내보내기만 하고 받아들이지는 못하기 때문이다. 중초는 거품과 같으므로 거품이 없어지지 않는 것같이 되면 유음(留飮)이 생긴다. 유음이 오랫동안 흩어지지 않으면 뱃속이 그득해지는데 이것은 중초가 위로 받아들이지도 못하고 아래로 내려 보내지도 못하기 때문이다. 하초는 도랑과 같은데 도랑이 막혀 흐르지 못하는 것처럼 되면 그득하게 붓는다. 이것은 하초가 위로 받아들이기만 하고 아래로 내려 보내지는 못해서이다[해장]. ○ 하초의 작용이 지나치면 부종(浮腫)이 생긴다[내경]. ○ 3초는 병화지부(丙火之府)이다. 그러므로 발동할 때에는 뿌리 없는 상화(相火)가 된다[입문].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혈(血)] 피가 나오는 데 약을 쓰는 방법[治血藥法] 1178
[기침(咳嗽)] 풍한천(風寒喘) 1177
[혈(血)] 음혈(陰血)은 음식물[水穀]에서 생긴다[陰血生於水穀] 1174
[기침(咳嗽)] 화천(火喘) 1174
[서(暑)] 무더운 여름에는 기(氣)를 보해야 한다[夏暑宜補氣] 1172
[기(氣)] 기(氣)는 음식물[穀]에 의해 생긴다[氣生於穀] 1170
[담음(痰飮)] 10가지 담병(痰病)이 있다[痰病有十] 1170
[습(濕)] 화와 열은 습을 생기게 한다[火熱生濕] 1170
[곽란(?亂)] 건곽란을 치료하는 방법[乾?亂治法] 1169
[적취(積聚)] 기울(氣鬱) 1 1166
[진액(津液)] 두루 쓰는 약[通治藥] 1165
[포(胞)] 적백대하(赤白帶下) 1163
[가슴(胸)] 계심통(悸心痛) 1163
[신형(身形)] 배꼽을 단련하는 법[煉臍法] 1162
[꿈(夢)] 정신이 얼떨떨하고 잠이 많은 것[昏沈多睡] 1162
[오줌(小便)] 늙은이와 허약한 사람이 오줌을 잘 누지 못하는 것[老虛人癃閉] 1162
[입과 혀(口舌)] 입맛이 쓴 것[口苦] 1162
[대변(大便)] 습설(濕泄) 1161
[머리(頭)] 풍훈(風暈) 1160
[귀(耳)] 귀가 먹은 것[耳聾] 1159
[옹저(癰疽)] 옹저 때 내탁하는 방법[癰疽內托法] 1159
[담음(痰飮)] 담(痰)에 대한 왕은군의 이론[王隱君痰論] 1158
[충(蟲)] 촌백충(寸白蟲) 1158
[한(寒)] 양명병의 형태와 증상에 쓰는 약[陽明形證用藥] 1158
[전음(前陰)] 한산에 쓰는 약[寒疝藥] 1157
[진액(津液)] 어린이 식은땀[童子盜汗] 1155
[대변(大便)] 활설(滑泄) 1155
[손(手)] 팔다리를 잘 쓰지 못하는 것[四肢不用] 1155
[신형(身形)] 상고시대 사람들이 소박한 데 대하여[論上古天眞] 1154
[채소(菜部)] 길경(桔梗, 도라지) 11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