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초부(三焦腑)

3초병의 증상[三焦病證]

한닥터 2011.07.22 조회 수 745 추천 수 0
◎ 三焦病證 ○ 三焦病者腹氣滿小腹尤堅不得小便窘急溢則水留卽爲脹 ○ 小腹痛腫不得小便邪在三焦約也.<靈樞> ○ 上焦如霧霧不散則爲喘滿此出而不納也.中焦如??不利則爲留飮留飮不散久爲中滿此上不能納下不能出也.下焦如瀆瀆不利則爲腫滿此上納而下不出也.<海藏> ○ 下焦溢爲水<內經> ○ 三焦爲丙火之府故其發也.爲無根之相火<入門>

☞ 3초병의 증상[三焦病證]

  ○ 3초병(三焦病) 때에는 배에 기운이 가득 차서 아랫배가 몹시 딴딴해지며[堅] 오줌을 누지 못한다. 병이 더 심해져서 오줌을 누지 못하면 물기가 머무르게 되어 배가 불러 오른다. ○ 아랫배가 아프고 부으면서 오줌을 누지 못하는 것은 3초가 사기(邪氣)로 약해졌기 때문이다[영추]. ○ 상초는 안개와 같으므로 안개가 흩어지지 않는 것같이 되면 숨이 몹시 차다[喘滿]. 이것은 상초가 주로 내보내기만 하고 받아들이지는 못하기 때문이다. 중초는 거품과 같으므로 거품이 없어지지 않는 것같이 되면 유음(留飮)이 생긴다. 유음이 오랫동안 흩어지지 않으면 뱃속이 그득해지는데 이것은 중초가 위로 받아들이지도 못하고 아래로 내려 보내지도 못하기 때문이다. 하초는 도랑과 같은데 도랑이 막혀 흐르지 못하는 것처럼 되면 그득하게 붓는다. 이것은 하초가 위로 받아들이기만 하고 아래로 내려 보내지는 못해서이다[해장]. ○ 하초의 작용이 지나치면 부종(浮腫)이 생긴다[내경]. ○ 3초는 병화지부(丙火之府)이다. 그러므로 발동할 때에는 뿌리 없는 상화(相火)가 된다[입문].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침구(針灸)] 사법(瀉法)만 있고 보법(補法)은 없는 침법[鍼法有瀉無補] 570
[침구(針灸)] 5탈증에는 침으로 사하지 말아야 한다는 데 대하여[五奪勿用鍼瀉] 427
[침구(針灸)] 침을 놓을 때 역증과 순증을 가려야 한다[用鍼宜審逆順] 489
[침구(針灸)] 침의 보사법[鍼補瀉法] 2297
[침구(針灸)] 침은 반드시 계절과 날씨에 맞추어 놓아야 한다는 데 대하여[用鍼須合天時] 367
[침구(針灸)] 침과 뜸에 견디지 못하는 것[不耐鍼灸] 398
[침구(針灸)] 침과 뜸치료를 같이하지 말아야 한다는 데 대하여[鍼灸不可?施] 491
[침구(針灸)] 몸조리하는 방법[調養法] 414
[침구(針灸)] 뜸자리가 몹시 헌 것을 치료하는 방법[療灸瘡法] 505
[침구(針灸)] 뜸자리를 헐게 하는 방법[發灸瘡法] 425
[침구(針灸)] 뜸의 장수를 결정하는 방법[壯數多少法] 463
[침구(針灸)] 뜸뜨는 방법[灸法] 722
[침구(針灸)] 뜸뜨는 시간[下火灸時法] 1025
[침구(針灸)] 불을 붙이는 방법[取火法] 444
[침구(針灸)] 뜸봉을 만드는 법[作艾炷法] 466
[침구(針灸)] 뜸쑥을 만드는 법[製艾法] 439
[침구(針灸)] 치수를 재는 법[量分寸法] 727
[침구(針灸)] 침혈을 잡는 법[點穴法] 638
[침구(針灸)] 화침법(火鍼法) 650
[침구(針灸)] 침놓는 깊이를 정하는 방법[鍼刺淺深法] 820
[침구(針灸)] 계절에 맞게 침놓는 방법[四時鍼法] 490
[침구(針灸)] 침을 만드는 방법[鍊鍼法] 582
[침구(針灸)] 9가지 침의 적응증[製九鍼法] 608
[풀(草部)] 강황(薑黃) 532
[풀(草部)] 삼릉(三稜) 323
[풀(草部)] 목단(牧丹, 모란뿌리) 414
[풀(草部)] 홍남화(紅藍花, 잇꽃) 홍남묘(紅藍苗, 잇꽃싹) 홍남자(紅藍子, 잇꽃씨) 374
[풀(草部)] 관동화(款冬花) 391
[풀(草部)] 회향(茴香) 424
[풀(草部)] 백부근(白部根) 4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