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초부(三焦腑)

단방(單方)/3초부

한닥터 2011.07.22 조회 수 718 추천 수 0
◎ 單方 ○ 凡十三種
☞ 단방(單方)/3초부  ○ 모두 13가지이다. 

◈ 黃?補三焦實衛氣是上中下內外三焦之藥也.水煎服之<湯液>
☞ 황기(黃?) ○ 3초를 보하고 위기(衛氣)를 든든하게[實] 한다. 이것은 상초, 중초, 하초의 겉과 속에 생긴 3초병에 쓰는 약인데 물에 달여서 먹는다[탕액]. 

◈ 燕覆子除三焦客熱取熟者食之<本草>
☞ 연복자(燕覆子, 목통열매) ○ 3초에 객열(客熱)이 있는 것을 없앤다. 익은 것을 따서 먹어야 한다[본초]. 

◈ 牛髓平三焦以酒和服<本草>
☞ 우수(牛髓, 소의 골수) ○ 3초를 편안하게 하는데 술에 타서 먹는다[본초]. 

◈ 益智仁安三焦末服丸服?佳<本草>
☞ 익지인(益智仁) ○ 3초를 편안하게 한다. 가루를 내어 먹거나 알약을 만들어 먹어도 다 좋다[본초]. 

◈ 脂麻油下三焦熱毒氣單取飮之<本草>
☞ 지마유(脂麻油, 참기름) ○ 3초에 있는 열독 기운[熱毒氣]을 없앤다. 이것 1가지만 먹는다[본초]. 

◈  瓜通三焦間壅塞氣熟者食之<本草> 첨
☞ 첨과(甛瓜, 참외) ○ 3초에 기운이 막힌 것을 통하게 한다. 익은 것을 먹어야 한다[본초]. 

◈ 人參補上焦元氣煎服末服丸服?佳<湯液>
☞ 인삼(人蔘) ○ 상초의 원기를 보한다. 달여서 먹거나 가루를 내어 먹거나 알약을 만들어 먹어도 다 좋다[탕액]. 

◈ 黃狗肉實下焦煮爛和五味食之<本草>
☞ 황구육(黃狗肉, 누렁개의 고기) ○ 하초를 든든하게 한다. 푹 삶아서 양념을 하여 먹는다[본초]. 

◈ ?肉同?煎食偏令人下焦肥<本草>
☞ 순육(?肉, 메추리고기) ○ 졸인 젖(?)과 같이 달여서 먹는데 주로 하초를 좋아지게 한다[본초]. 

◈ 靑橘治下焦冷氣煎服末服?佳<本草>
☞ 청귤(靑橘, 선귤) ○ 하초에 냉기가 있는 것을 치료한다. 달여서 먹거나 가루를 내어 먹어도 다 좋다[본초]. 

◈ 藕蓮根也.蒸食實下焦<本草>
☞ 우(藕, 연뿌리) ○ 이것을 우(芋)라고도 하는데 쪄서 먹으면 하초가 든든해진다[본초]. 

◈ 猪腸補下焦虛竭煮爛食或作羹食之<本草>
☞ 저장(猪腸, 돼지장) ○ 하초가 허약한 것을 보한다. 푹 삶아서 먹거나 국을 끓여 먹는다[본초]. 

◈ 絲?安下焦作羹食之<本草>
☞ 사순(絲蓴) ○ 하초를 편안하게 한다. 국을 끓여서 먹는다[본초].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나무[木部]] 자광(紫?) 8
[풀(草部)] 상산(常山) 13
[풀(草部)] 관중(貫衆) 13
[돌[石部]] 증청(曾靑) 13
[돌[石部]] 석담(石膽) 14
[풀(草部)] 산막(酸摸) 15
[풀(草部)] 여여(?茹) 15
[나무[木部]] 종려피(棕櫚皮) 15
[풀(草部)] 속수자(續隨子) 16
[풀(草部)] 목적(木賊, 속새) 16
[풀(草部)] 백급(白及 ) 17
[풀(草部)] 등심초(燈心草, 골풀) 17
[풀(草部)] 초호(草蒿, 제비쑥) 18
[나무[木部]] 조등(釣藤, 조구등) 18
[나무[木部]] 원화(?花) 19
[풀(草部)] 마편초(馬鞭草) 20
[돌[石部]] 자황(紫黃) 20
[풀(草部)] 대황(大黃) 21
[나무[木部]] 목별자(木鼈子) 21
[풀(草部)] 사함(蛇含, 사함초) 22
[풀(草部)] 상륙(商陸, 자리공) 22
[풀(草部)] 하고초(夏枯草, 꿀풀) 22
[풀(草部)] 양척촉(羊?? , 철쭉꽃) 23
[풀(草部)] 천남성(天南星) 23
[나무[木部]] 무환자피(無患子皮) 23
[돌[石部]] 염정(鹽精) 23
[나무[木部]] 백랍(白蠟) 24
[돌[石部]] 홍반(紅礬) 24
[돌[石部]] 방해석(方解石, 차돌) 24
[풀(草部)] 정력자(??子, 꽃다지씨)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