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胞)

포의 위치[胞部位]

한닥터 2011.07.22 조회 수 612 추천 수 0
◎ 胞部位 ○ 婦人胎之所居名曰子宮亦曰胞門<東垣> ○ 胞一名丹田一名關元(穴名)在臍下三寸方圓四寸着脊梁兩腎間中央赤是也.左靑右白上黃下黑三寸法三光四寸法四時五色法五行兩腎間名大海而貯其血氣亦名大中極言取人身之上下四向最爲中也.<資生> ○ 胞一名子宮胞有寒則無子<仲景>

☞ 포의 위치[胞部位]

  ○ 태아가 들어 있는 곳을 자궁(子宮)이라고도 하고 포문(胞門)이라고도 한다[동원]. ○ 포를 단전(丹田)이라고도 하고 관원(關元, 혈이름)이라고도 하는데 배꼽에서 아래로 3치 되는 곳에 있다. 그 둘레는 4치이다. 등뼈를 중심으로 양쪽 신장 사이에 붙어 있는데 가운데는 붉은 빛이며 왼쪽은 푸른 빛이고 오른쪽은 흰빛이며 위는 누런 빛이고 아래는 검은 빛이다. 3치는 삼광(三光)㈜을 본받은 것이고 4치는 4철을 본받은 것이며 5가지 빛은 5행을 본받은 것이다. 

[註] 삼광(三光) : 해, 달, 별의 3가지 빛을 말한다.

○ 양쪽 신장 사이를 대해(大海)라고 하는데 여기에 혈기(血氣)가 저장된다. 이곳을 대중극(大中極)이라고도 하는데 그것은 몸의 위아래와 4방에서 제일 중심에 있다는 말이다[자생]. ○ 포를 자궁이라고 한다. 그러므로 포에 찬 기운이 있으면 아이를 낳지 못한다[중경].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포(胞)] 피가 엉켜서 가가 된 것[血結成?] 1182
[포(胞)] 처녀가 월경이 나오지 않는 것[室女月經不行] 1080
[포(胞)] 월경을 잘 통하게 하는 치료법[通血治法] 9094
[포(胞)] 월경이 중단된 것[血閉] 5532
[포(胞)] 월경을 고르롭게 하는 치료법[調血治法] 1581
[포(胞)] 월경빛을 좋아지게 하는 치료법[和血治法] 1308
[포(胞)] 월경의 형태와 빛깔[月候形色] 769
[포(胞)] 월경하는 것이 차이가 있다[經行有異] 695
[포(胞)] 맥 보는 법[脈法]/포 667
[포(胞)] 포는 혈실이다[胞爲血室] 682
[포(胞)] 포의 위치[胞部位] 612
[포(胞)] 포의 형태[胞形象] 684
[삼초부(三焦腑)] 단방(單方)/3초부 718
[삼초부(三焦腑)] 3초병을 치료하는 방법[三焦病治法] 885
[삼초부(三焦腑)] 3초병의 증상[三焦病證] 744
[삼초부(三焦腑)] 3초의 상태가 겉으로 나타난 증후[三焦外候] 734
[삼초부(三焦腑)] 3초가 받고 전하는 것[三焦傳受] 644
[삼초부(三焦腑)] 3초의 위치[三焦部位] 606
[삼초부(三焦腑)] 3초의 형태[三焦形象] 670
[방광부(膀胱腑)] 단방(單方)/방광부 640
[방광부(膀胱腑)] 방광의 기가 끊어진 증후[膀胱絶候] 638
[방광부(膀胱腑)] 방광병을 치료하는 법[膀胱病治法] 1428
[방광부(膀胱腑)] 방광병의 증상[膀胱病證] 907
[방광부(膀胱腑)] 방광의 상태가 겉으로 나타난 증후[膀胱外候] 889
[방광부(膀胱腑)] 방광이 전하고 받는 것[膀胱傳受] 709
[방광부(膀胱腑)] 방광의 위치[膀胱部位] 1480
[방광부(膀胱腑)] 방광의 형태[膀胱形象] 753
[대장부(大腸腑)] 단방(單方)/대장부 713
[대장부(大腸腑)] 대장의 기운이 끊어지는 증후[大腸絶候] 722
[대장부(大腸腑)] 대장병을 치료하는 법[大腸病治法] 9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