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胞)

맥 보는 법[脈法]/포

한닥터 2011.07.22 조회 수 667 추천 수 0
◎ 脈法 ○ 脈微血氣俱虛年少者亡血也.乳子下利爲可否者此爲居經三月一來 ○ 少陰脈微而遲微則無精遲則陰中寒澁則血不來此爲居經三月一來<脈經> ○ 婦人漏下赤白日下血數升脈急疾者死遲者生 ○ 婦人漏下赤白不止脈小虛滑者生大緊實數者死<脈經> ○ 寸關調如故而尺脈絶不至者月水不利 ○ 尺脈來而斷絶者月水不利 ○ 肝脈?主月水不利 ○ 尺脈滑血氣實也.婦人經脈不利 ○ 脈來至狀如琴絃若小腹痛主月水不利孔竅生瘡<脈經> ○ 帶下之脈宜遲滑忌浮虛<醫鑑>

☞ 맥 보는 법[脈法]/포

  ○ 맥이 미(微)한 것은 혈기(血氣)가 다 허한 것인데 나이가 젊은 사람이 이런 것은 피를 잃은 것이다. 젖먹이 어린이들이 설사할 때 이런 맥이 나타난다. 거경(居經)이 되었을 때에는 이런 맥이 나타나지 않는다. 이때에는 월경이 3달에 한번씩 나온다. ○ 소음맥(少陰脈)이 미(微)하거나 지(遲)하다면 미한 것은 정(精)이 없는 것이고 지한 것은 음부 속이 찬[寒] 것이다. 맥이 삽(澁)한 것은 월경이 나오지 않다가 거경이 된 것인데 이때에는 월경이 3달에 한번씩 나온다[맥경]. ○ 부인이 벌겋고 흰이슬이 흐르고 날마다 하혈을 2홉 정도씩 할 때에 맥이 몹시 빠르면 죽고 지하면 산다. ○ 부인이 벌겋고 흰이슬이 계속 나올 때에 맥이 소(小), 허(虛), 활(滑)하면 살고 대(大), 긴(緊), 실(實), 삭(數)하면 죽는다[맥경]. ○ 촌관맥(寸關脈)은 평상시와 같이 고르로운데[調] 오직 척맥(尺脈)만이 끊어져서 뛰지 않는 것은 월경이 고르롭지 못한[不利] 것이다. ○ 척맥이 뛰다가 끊어지는 것도 월경이 고르롭지 못한 것이다. ○ 간맥(肝脈)이 침(沈)한 것도 월경이 고르롭지 못한 것이다. ○ 척맥이 활(滑)한 것은 혈기가 실(實)한 것인데 부인이면 월경[經脈]이 고르롭지 못한[不利] 것이다. ○ 맥이 뛰는 모양이 거문고줄 같으면서 아랫배가 아픈 것은 주로 월경[月水]이 고르롭지 못하고[不利] 음부에 헌데가 생긴 것이다[맥경]. ○ 이슬[帶下]이 있을 때 맥이 지활(遲滑)하면 좋고 부허(浮虛)하면 좋지 못하다[의감].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침구(針灸)] 사법(瀉法)만 있고 보법(補法)은 없는 침법[鍼法有瀉無補] 570
[침구(針灸)] 5탈증에는 침으로 사하지 말아야 한다는 데 대하여[五奪勿用鍼瀉] 427
[침구(針灸)] 침을 놓을 때 역증과 순증을 가려야 한다[用鍼宜審逆順] 489
[침구(針灸)] 침의 보사법[鍼補瀉法] 2298
[침구(針灸)] 침은 반드시 계절과 날씨에 맞추어 놓아야 한다는 데 대하여[用鍼須合天時] 367
[침구(針灸)] 침과 뜸에 견디지 못하는 것[不耐鍼灸] 398
[침구(針灸)] 침과 뜸치료를 같이하지 말아야 한다는 데 대하여[鍼灸不可?施] 491
[침구(針灸)] 몸조리하는 방법[調養法] 414
[침구(針灸)] 뜸자리가 몹시 헌 것을 치료하는 방법[療灸瘡法] 505
[침구(針灸)] 뜸자리를 헐게 하는 방법[發灸瘡法] 425
[침구(針灸)] 뜸의 장수를 결정하는 방법[壯數多少法] 463
[침구(針灸)] 뜸뜨는 방법[灸法] 722
[침구(針灸)] 뜸뜨는 시간[下火灸時法] 1025
[침구(針灸)] 불을 붙이는 방법[取火法] 444
[침구(針灸)] 뜸봉을 만드는 법[作艾炷法] 466
[침구(針灸)] 뜸쑥을 만드는 법[製艾法] 439
[침구(針灸)] 치수를 재는 법[量分寸法] 727
[침구(針灸)] 침혈을 잡는 법[點穴法] 638
[침구(針灸)] 화침법(火鍼法) 650
[침구(針灸)] 침놓는 깊이를 정하는 방법[鍼刺淺深法] 820
[침구(針灸)] 계절에 맞게 침놓는 방법[四時鍼法] 490
[침구(針灸)] 침을 만드는 방법[鍊鍼法] 582
[침구(針灸)] 9가지 침의 적응증[製九鍼法] 608
[풀(草部)] 강황(薑黃) 532
[풀(草部)] 삼릉(三稜) 323
[풀(草部)] 목단(牧丹, 모란뿌리) 414
[풀(草部)] 홍남화(紅藍花, 잇꽃) 홍남묘(紅藍苗, 잇꽃싹) 홍남자(紅藍子, 잇꽃씨) 374
[풀(草部)] 관동화(款冬花) 391
[풀(草部)] 회향(茴香) 424
[풀(草部)] 백부근(白部根) 4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