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胞)

적백대하(赤白帶下)

한닥터 2011.07.22 조회 수 1162 추천 수 0
◎ 赤白帶下 ○ 脾傳之腎病名曰疝?小腹寃熱而痛出白一名曰蠱註曰出白者?出白液也.盖白帶白濁之類也.<內經> ○ 任脈爲病女子帶下?聚註曰任脈自胞上過帶脈貫於臍上故爲帶下帶脈起于季肋章門(穴名)似束帶狀今濕熱寃結不散故爲病也.寃者結也.屈也.屈滯而病熱不散也. ○ 赤者熱入小腸白者熱入大腸原其本皆濕熱結于脈故津液涌溢是爲赤白帶下臍下痛陰中綿綿而下也.<保命> ○ 小腹寃熱結於任脈自胞上而過帶脈出於大小腸之分?出白液淋瀝以下故曰帶下與赤白濁一般但不痛耳<入門> ○ 婦人帶下是第一等病令人不産育宜急治之扁鵲過邯鄲聞貴婦人所以專爲帶下醫也.<綱目> ○ 婦人帶下脈浮惡寒漏下者不治<脈經>

☞ 적백대하(赤白帶下)

  ○ 비병(脾病)이 신(腎)에 전해가서[傳之] 생긴 병을 산가(疝?)라고 한다. 아랫배[小腹]에 열이 몰려서 아프고 흰 것이 나오는 것을 고(蠱)라고 한다. 주해에 "흰 것이 나온다는 것은 오줌으로 뿌연 것이 나온다는 것이다"고 씌어 있는데 이것은 흰이슬[白帶]과 뿌연 오줌[白濁]을 말하는 것이다[내경]. ○ 여자가 임맥(任脈)이 병들면 이슬이 흐르고 징가(??)나 적취(積聚)가 생긴다. 주해에는 "임맥이 자궁으로부터 위로 올라가 대맥(帶脈)을 지나서 배꼽 위로 갔기 때문에 이슬이 나온다"고 씌어 있다. 대맥은 계륵[季肋]부의 장문(章門, 혈이름)에서 시작되는데 띠를 묶은 모양과 같다. 습열이 원결(寃結)되어 흩어지지 않으면 병이 생긴다. 원(寃)이라는 것은 맺히고[結] 눌린다[屈]는 것이다. 눌리고 맺혀서 병이 생기면 열이 잘 내리지 않는다. ○ 벌건 이슬이 흐르는 것은 열이 소장에 들어갔기 때문이고 흰이슬이 흐르는 것은 열이 대장에 들어갔기 때문이다. 이 원인은 다 습열이 임맥(任脈)과 대맥(帶脈)에 뭉쳐서 진액이 넘쳐나는 데 있다. 그러므로 벌겋거나 흰이슬이 생기고 배꼽 아래가 아프며 자궁으로 이슬이 찔금찔금 나온다[보명]. ○ 아랫배[小腹]의 열이 임맥으로 심하게 몰리면 그것이 자궁으로부터 대맥을 지나서 올라가 대소장으로 들어가게 되기 때문에 뿌연 오줌이 조금씩 나오게 된다. 이와 같이 벌건 이슬과 뿌연 오줌이 나오게 되는 원인은 하나인데 오직 아프지 않은 것이 다를 뿐이다[입문]. ○ 이슬이 흐르는 것이 부인에게서 첫째 가는 병으로 되는 것은 이 병이 있으면 자식을 낳아 기를 수 없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빨리 치료하여야 한다. 편작(扁鵲)이 한단(邯鄲)이라는 곳을 지나다가 "부인을 소중히 여기려면 이슬을 치료하는 의사가 되어야 한다"는 말을 들었다[강목]. ○ 부인이 이슬이 흐르고 맥이 부(浮)하며 오한이 나면서 피가 조금씩 나오는 것은 치료하지 못한다[맥경].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충(蟲)] 노채인가를 시험해 보는 방법[驗?法] 581
[충(蟲)] 노채충(勞?蟲) 1538
[충(蟲)] 치통에 충이 있다[齒痛有蟲] 567
[충(蟲)] 모든 헌데에는 충이 있다[諸瘡有蟲] 506
[충(蟲)] 치루에 충이 있다[痔瘻有蟲] 551
[충(蟲)] 소갈에 충이 있다[消渴有蟲] 491
[충(蟲)] 호혹충(狐惑蟲) 535
[충(蟲)] 응성충증[應聲蟲] 504
[충(蟲)] 촌백충(寸白蟲) 1158
[충(蟲)] 주충으로 가슴앓이가 생긴 것[酒蟲心痛] 632
[충(蟲)] 위를 따뜻하게 해서 회충증을 안정시킨다[溫胃安蟲] 679
[충(蟲)] 회궐로 충을 토하는 것[蛔厥吐蟲] 865
[충(蟲)] 여러 가지 물질이 충으로 변한다[諸物變蟲] 659
[충(蟲)] 충증 때 겉으로 나타나는 증후[蟲外候] 547
[충(蟲)] 맥 보는 법[脈法]/충 534
[충(蟲)] 습열로 충이 생긴다[濕熱生蟲] 842
[충(蟲)] 5장충(五臟蟲) 526
[충(蟲)] 9가지 충[九蟲] 552
[충(蟲)] 3시충(三尸蟲) 653
[포(胞)] 침뜸치료[針灸法]/포 612
[포(胞)] 단방(單方)/포 768
[포(胞)] 월경이 끊어졌다가 다시 나오는 것[經斷復行] 1131
[포(胞)] 자궁에 열이 들어간 것[熱入血室] 1298
[포(胞)] 자궁에 찬 기운이 들어간 것[寒入血室] 862
[포(胞)] 5가지 빛깔의 이슬[五色帶下] 979
[포(胞)] 대하를 치료하는 방법[帶下治法] 1465
[포(胞)] 적백대하(赤白帶下) 1162
[포(胞)] 붕루를 치료하는 방법[崩漏治法] 1 2606
[포(胞)] 혈붕과 혈루[血崩血漏] 872
[포(胞)] 혈고(血枯) 12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