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胞)

자궁에 찬 기운이 들어간 것[寒入血室]

한닥터 2011.07.22 조회 수 862 추천 수 0
◎ 寒入血室 ○ 月經不通?臍寒疝痛其脈沈緊此由寒氣客於血室血凝不行所以作痛宜桂枝桃仁湯
☞ 자궁에 찬 기운이 들어간 것[寒入血室]  ○ 월경이 나오지 않고 배꼽 둘레가 차며 아랫배가 아프고 맥이 침긴(沈緊)한 것은 자궁에 찬 기운이 들어갔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되면 피가 엉켜서 잘 돌지 못하기 때문에 아프다. 이런 데는 계지도인탕을 쓴다. 

? 桂枝桃仁湯 ○ 桂枝赤芍藥生乾地黃酒洗各二錢甘草灸一錢桃仁三十箇右?作一貼入生薑三片棗二枚水煎溫服<丹心> ○ 瑞金散亦良(方見上)
☞ 계지도인탕(桂枝桃仁湯) ○ 계지, 작약, 생건지황(술에 씻은 것) 각각 8g, 감초(볶은 것) 4g, 도인 30알. ○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 대추 2알과 함께 물에 달인 다음 따뜻하게 해서 먹는다[단심]. ○ 서금산(瑞金散, 처방은 위에 있다)도 좋다. 

관련된 글
  1. 기본방 모음 205. 桂枝桃仁湯(계지도인탕) by 한닥터
  2. 방약합편 205. 桂枝桃仁湯(계지도인탕) by 한닥터
  3. 동의보감 처방집 계지도인탕(桂枝桃仁湯) by 한닥터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탕액서례(湯液序例)] 달임약, 가루약, 알약을 만드는 방법[湯散丸法] 861
[진액(津液)] 신은 액을 주관한다[腎主液] 862
[포(胞)] 자궁에 찬 기운이 들어간 것[寒入血室] 862
[한(寒)] 음극사양(陰極似陽) 862
[한(寒)] 상한 때의 비기[傷寒?氣] 862
[한(寒)] 상한병이 나은 뒤의 잡증[傷寒差後雜證] 862
[화(火)] 골증에서 치료할 수 없는 증[骨蒸不治證] 862
[잡방(雜方)] 녹각교와 녹각상을 만드는 방법[煮鹿角膠霜法] 862
[부인(婦人)] 아들인가 딸인가를 알아내는 법[辨男女法] 862
[새(禽部)] 웅작육(雄鵲肉, 수까치고기) 862
[진맥(診脈)] 늙은이와 젊은이의 맥과 남자와 여자의 맥이 다르다[老少男女異脈] 863
[옹저(癰疽)] 옹저에 두루 쓰는약[癰疽通治藥] 863
[부인(婦人)] 해산 후의 치료법[産後治法] 863
[정(精)] 침구법[鍼灸法]/정 864
[맥(脈)] 맥병에 쓰는 약[脈病藥餌] 864
[기(氣)] 기가 끊어진 증후[氣絶候] 865
[비장(脾臟)] 비장의 형태[脾形象] 865
[충(蟲)] 회궐로 충을 토하는 것[蛔厥吐蟲] 865
[배(腹)] 뱃속이 좁아지는 것[腹中窄狹] 865
[담음(痰飮)] 8가지 음병(飮病)이 있다[飮病有八] 866
[황달(黃疸)] 황달을 두루 치료하는 약[黃疸通治藥] 866
[소아(小兒)] 전간(癲癎)/소아 866
[오장육부(五臟六腑)] 의사는 반드시 5장 6부를 알아야 한다[醫當識五臟六腑] 867
[오줌(小便)] 오줌이 만들어지는 경위[小便原委] 867
[풍(風)] 중풍의 허증[中風虛證] 867
[채소(菜部)] 목이(木耳, 나무버섯) 상이(桑耳, 뽕나무버섯) 괴이(槐耳, 홰나무버섯) 마고(?菰, 표고버섯) 석이(石耳) 균자(菌子, 땅버섯) 867
[신(神)] 다섯 가지 맛에서 신이 생긴다[五味生神] 868
[가슴(胸)] 수결흉(水結胸) 868
[습(濕)] 습병에 땀을 몹시 내면 치병이 된다[濕病大汗則成?] 868
[부종(浮腫)] 부종의 형태와 증상[浮腫形證] 8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