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蟲)

위를 따뜻하게 해서 회충증을 안정시킨다[溫胃安蟲]

한닥터 2011.07.25 조회 수 679 추천 수 0
◎ 溫胃安蟲 ○ 一女患惡心吐蟲累治不差每用殺蟲藥則吐愈多孫兆診之曰六脈皆細非蟲脈也.乃藏寒而蟲不安因而吐出復用殺蟲藥蟲爲藥所苦不能自安所以吐愈多也.取硫黃附子?各一兩爲末米糊和丸麻子大米飮下三十丸遂不吐後不復作<綱目>

☞ 위를 따뜻하게 해서 회충증을 안정시킨다[溫胃安蟲]

  ○ 어떤 여자가 메스꺼워하다가는 회충을 토하곤 하였다. 그래서 여러 번 치료하였으나 낫지 않았다. 그리고 회충을 죽이는 약을 쓸 때마다 매번 더 심하게 토했다. 손조(孫兆)가 진찰하고 나서 "6맥이 다 세(細)하니 충증맥은 아니다. 이것은 장(藏)이 차서[寒] 회충이 불안해 하기 때문에 토하는 것이다. 그런데 또 회충을 죽이는 약까지 쓰니 회충이 요동을 치면서 안정하지 못하기 때문에 토하는 것이 더 심해진다"고 하면서 유황과 부자(싸서 구운 것) 각각 40g을 가루를 내어 쌀풀(米糊)에 반죽한 다음 삼씨만하게 알약을 만들어 한번에 30알씩 미음으로 먹었는데 토하지도 않고 그 후에 다시 발작하지도 않았다[강목].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벌레(蟲部)] 토도사(土桃蛇) 290
[벌레(蟲部)] 지주(蜘蛛, 말거미) 357
[벌레(蟲部)] 구인(?蚓, 지렁이) 437
[벌레(蟲部)] 오공(蜈蚣, 지네) 594
[벌레(蟲部)] 합개(蛤?, 도마뱀) 360
[벌레(蟲部)] 수질(水蛭, 거머리) 377
[벌레(蟲部)] 반묘(斑猫) 1440
[벌레(蟲部)] 작옹(雀瓮, 쐐기벌레집) 348
[벌레(蟲部)] 강랑(??, 말똥구리) 333
[벌레(蟲部)] 오령지(五靈脂) 761
[벌레(蟲部)] 갈(蝎, 전갈) 348
[벌레(蟲部)] 누고(??, 도루래) 410
[벌레(蟲部)] 천산갑(穿山甲) 335
[벌레(蟲部)] 청령(??, 잠자리) 401
[벌레(蟲部)] 형화(螢火, 반딧불) 348
[벌레(蟲部)] 서부(鼠婦) 343
[벌레(蟲部)] 의어(衣魚, 옷좀) 406
[벌레(蟲部)] 슬자(蝨子, 이) 345
[벌레(蟲部)] 활사(活師, 올챙이) 340
[벌레(蟲部)] 회충(?蟲) 365
[벌레(蟲部)] 고충(蠱蟲) 359
[과실(果部)] 연실(蓮實, 연밥) 우즙(藕汁, 연근을 짜낸 물) 하엽(荷葉, 연잎) 연화(蓮花, 연꽃) 연의(蓮薏, 연실의 심) 775
[과실(果部)] 귤피(橘皮, 귤껍질) 귤육(橘肉, 귤의 속살) 귤낭상근막(橘囊上筋膜, 귤의 속살에 붙은 실 같은 층) 귤핵(橘核, 귤씨) 874
[과실(果部)] 청귤피(靑橘皮, 선귤껍질) 청귤엽(靑橘葉, 귤잎) 698
[과실(果部)] 유자(柚子) 759
[과실(果部)] 유감자(乳柑子) 528
[과실(果部)] 대조(大棗, 대추) 생조(生棗, 생대추) 핵중인(核中仁, 대추씨) 조엽(棗葉, 대추나무잎) 778
[과실(果部)] 포도(葡萄) 포도근(葡萄根, 포도나무뿌리) 영욱(??, 머루) 653
[과실(果部)] 율자(栗子, 밤) 율피(栗皮, 밤껍질) 율모각(栗毛殼, 밤송이) 율설(栗楔, 밤의 가운데 톨) 672
[과실(果部)] 복분자(覆盆子, 나무딸기) 봉류(蓬?, 멍덕딸기) 8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