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蟲)

노채충(勞?蟲)의 생김새와 빛깔을 갈라보는 방법[辨?蟲形色]

한닥터 2011.07.25 조회 수 594 추천 수 0
◎ 辨?蟲形色 ○ 取下之後先看蟲色自知輕重盖蟲先食藏府脂膏故其蟲色白次食血肉故其蟲色黃赤次食精髓故其蟲紫色精髓盡故其蟲黑色傳入腎中病人方思死其蟲白色可三十日服補藥其蟲黃赤色可六十日服補藥其蟲紫黑色此疾已極可百二十日服補藥十中可活一二 ○ 一云蟲頭赤食人肉其病可治蟲頭白食人髓其病難治<得效> ○ 蟲嘴靑赤黃色可療黑色與白色乃食精髓不可療也.又云蟲紅色可治?下黑色者難治?下白色者萬不一差<聖效> ○ ?蟲嘴黑則已入腎藏不可治<醫鑑>

☞ 노채충(勞?蟲)의 생김새와 빛깔을 갈라보는 방법[辨?蟲形色]

  ○ 노채충이 나오면 먼저 충의 빛깔을 보고 스스로 병이 경(輕)한가 중(重)한가를 알아내야 한다. 노채충은 먼저 장부(藏府)의 기름(脂膏)을 파먹기 때문에 이때에는 허연 빛을 띤다. 그 다음에는 피와 살을 파먹기 때문에 노채충은 누러면서 벌건 빛을 띤다. 그 다음에는 정수(精髓)를 파먹기 때문에 노채충은 자줏빛을 띤다. 정수가 다 없어지면 노채충은 검은 빛을 띠게 되는데 이것은 병이 신(腎)에 전해 들어간 것으로 곧 죽게 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충이 허연 때에는 30일 동안 보약을 먹어야 하고 충이 누러면서 벌건 때에는 60일 동안 보약을 먹어야 한다. 충이 자줏빛이나 검은 빛을 띠면 병이 이미 극도에 달한 것이기 때문에 120일 동안 보약을 써야 10명 가운데 1-2명을 살릴 수 있다. ○ 또한 충의 대가리가 벌건 것은 살만 파먹은 것이므로 치료할 수 있다. 충의 대가리가 흰 것은 골수[人髓]를 파먹은 것이므로 치료하기 어렵다[득효]. ○ 충의 주둥이가 퍼렇고 벌거면서 누런 빛이 나면 치료할 수 있다. 검거나 흰 것은 정수를 파먹은 것이기 때문에 치료할 수 없다. 또한 충의 벌건 빛을 띠면 치료할 수 있다. 그러나 충의 배 아래가 검으면 치료하기 어렵고 배 아래가 희면 만 명에 1명도 낫게 할 수 없다[성효]. ○ 노채충의 주둥이가 검으면 병이 이미 신(腎)에 들어간 것이므로 치료할 수 없다[의감]. 

[註] 노채충의 생김새와 빛깔에 대한 내용들은 모두 동의임상과는 맞지 않는 과학성이 없는 것이다.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벌레(蟲部)] 벌레부[蟲部] 467
[벌레(蟲部)] 백밀(白蜜, 꿀) 1036
[벌레(蟲部)] 모려(牡蠣) 938
[벌레(蟲部)] 귀갑(龜甲, 남생이 등딱지) 767
[벌레(蟲部)] 별갑(鱉甲, 자라등딱지) 595
[벌레(蟲部)] 대매(?瑁, 대모) 451
[벌레(蟲部)] 석결명(石決明, 전복껍질) 815
[벌레(蟲部)] 해(蟹, 게) 602
[벌레(蟲部)] 상표초(桑??, 사마귀알집) 924
[벌레(蟲部)] 선각(蟬殼, 매미허물) 509
[벌레(蟲部)] 제조(??, 굼벵이) 661
[벌레(蟲部)] 백강잠(白?蠶) 534
[벌레(蟲部)] 원잠아(原蠶蛾, 누에나비 791
[벌레(蟲部)] 연상라(緣桑螺) 419
[벌레(蟲部)] 저계(樗鷄) 726
[벌레(蟲部)] 와우(蝸牛, 달팽이) 536
[벌레(蟲部)] 석룡자(石龍子, 도마뱀) 459
[벌레(蟲部)] 맹충(?蟲, 등에) 501
[벌레(蟲部)] 자패(紫貝) 485
[벌레(蟲部)] 해마(海馬) 508
[벌레(蟲部)] 섬여(蟾?, 두꺼비) 466
[벌레(蟲部)] 하마(蝦?) 418
[벌레(蟲部)] 와(?, 머구리) 404
[벌레(蟲部)] 방합(蚌蛤, 진주조개) 668
[벌레(蟲部)] 하(鰕, 새우) 500
[벌레(蟲部)] 전라(田螺, 우렁이) 430
[벌레(蟲部)] 오사(烏蛇) 387
[벌레(蟲部)] 백화사(白花蛇) 463
[벌레(蟲部)] 사태(蛇?, 뱀허물) 407
[벌레(蟲部)] 복사담(?蛇膽, 살모사쓸개) 4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