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줌(小便)

오줌이 만들어지는 경위[小便原委]

한닥터 2011.07.26 조회 수 867 추천 수 0
◎ 小便原委 ○ 靈樞曰水穀者常幷居胃中成糟粕而俱下于大腸而成下焦?而俱下濟泌別汁循下焦而?入膀胱焉 ○ 內經註曰水液自廻腸泌別汁?入膀胱之中胞氣化之而爲尿以泄出也. ○ 難經註曰水穀自小腸盛受於?門以分別也.其水則?灌入於膀胱上口而爲?便詳此三說則小便卽泌別之水液?入膀胱以出者也.內經曰飮入於胃遊溢精氣上輸於脾脾氣散精上歸於肺通調水道下輸膀胱則小便又似水飮精微之氣上升脾肺運化而後成者也.夫?尿者水也.水之下流其性則然也.飮入於胃其精氣雖上升其本體固不能上升則豈可謂小便獨爲氣化所成哉內經曰膀胱者津液藏焉氣化則能出矣且水者氣之子氣者水之母氣行則水行氣滯則水滯或者謂小便純由泌別不由運化盖不明此理故也. <東垣>

☞ 오줌이 만들어지는 경위[小便原委]

  ○ 『영추(靈樞)』에는 "음식물은 늘 위(胃)에서 소화되어 대장으로 내려가면서 하초(下焦)의 작용을 받는데 이때에 여과되어 하초에 있는 방광으로 스며들어간 즙이 오줌이다"고 씌어 있다. ○ 『내경(內經)』의 주해에는 "대장의 수액(水液)이 여과되어 조금씩 방광으로 스며들어가서 포(胞)의 기화(氣化)작용을 받아 오줌이 되어 나간다"고 씌어 있다. ○ 『난경(難經)』의 주해에는 "음식물이 소화되어 소장으로 내려왔다가 난문(蘭門)에서 수분이 따로 갈라져 방광으로 스며들어가서 오줌이 된다"고 씌어 있다. 『내경』에는 "음식이 위(胃)에서 소화되어 정기(精氣)가 위[上]로 올라가 비(脾)로 간다. 그런데 비기는 그 정기를 펴서 위[上]에 있는 폐에 올려보내고 또한 수분이 돌아가는 길을 잘 통하게 하고 고르롭게[調] 되게 하여 수분을 방광으로 내려가게 한다"고 씌어 있다. ○ 오줌은 물과 같은데 음식물의 정미(精微)한 기가 위[上]로 올라가 비(脾)와 폐(肺)로 가서 작용을 한 뒤에 오줌이 된다. 오줌은 물과 같은데 물은 아래로 흐르는 성질을 가지고 있다. 음식이 위(胃)에 들어가면 비록 정기는 위[上]로 올라가지만 그 본체는 잘 올라가지 못한다. 그런데 어떻게 오줌이 단지 기의 작용[氣化]에 의해서만 생긴다고 할 수 있겠는가. 『내경』에 "방광은 진액(津液)을 저장하는 곳이며 오줌은 기의 작용에 따라 나간다. 물은 기의 아들격[氣之子]이고 기는 물의 어머니격이므로 기가 가면 물도 가고 기가 막히면 물도 막힌다"고 씌어 있다. 어떤 사람들은 "오줌이란 순수 수액[泌]에서 짜낸 것이지 음식이 소화되어 생긴 것은 아니다"고 하는데 이것은 그 원리를 똑똑이 모르기 때문이다[동원].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담음(痰飮)] 담음(痰飮) 1211
[담음(痰飮)] 일음(溢飮) 986
[담음(痰飮)] 현음(懸飮) 1112
[담음(痰飮)] 지음(支飮) 1094
[담음(痰飮)] 복음(伏飮) 1028
[담음(痰飮)] 10가지 담병(痰病)이 있다[痰病有十] 1170
[담음(痰飮)] 풍담(風痰) 2055
[담음(痰飮)] 한담(寒痰) 956
[담음(痰飮)] 습담(濕痰) 1428
[담음(痰飮)] 열담(熱痰) 2227
[담음(痰飮)] 울담(鬱痰) 1453
[담음(痰飮)] 기담(氣痰) 1528
[담음(痰飮)] 식담(食痰) 1493
[담음(痰飮)] 주담(酒痰) 1106
[담음(痰飮)] 경담(驚痰) 872
[담음(痰飮)] 맥 보는 법[脈法]/담음 764
[담음(痰飮)] 담음병 때 겉으로 나타나는 증상[痰飮外證] 1683
[담음(痰飮)] 담음으로 생기는 여러 가지 병[痰飮諸病] 994
[담음(痰飮)] 가래의 빛을 갈라본 것[辨痰色] 858
[담음(痰飮)] 담음유주증[痰飮流注證] 1115
[담음(痰飮)] 담병에는 사수증 같은 것이 있다는 것[痰病有似邪崇] 837
[담음(痰飮)] 담궐(痰厥) 1237
[담음(痰飮)] 담괴(痰塊) 1313
[담음(痰飮)] 가래침을 자주 뱉는 것[喜唾痰] 2018
[담음(痰飮)] 담이 뭉친 것[痰結] 700
[담음(痰飮)] 담병으로는 갑자기 죽지 않는다[痰病不卒死] 569
[담음(痰飮)] 담병 때 치료하기 어려운 증상[痰病難治證] 581
[담음(痰飮)] 담음을 토하게 하는 방법[痰飮吐法] 824
[담음(痰飮)] 담음을 치료하는 방법[痰飮治法] 2714
[담음(痰飮)] 담음에 두루 쓰는 약[痰飮通治藥] 17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