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줌(小便)

오줌빛을 감별하는 법[辨尿色]

한닥터 2011.07.26 조회 수 813 추천 수 0
◎ 辨尿色 ○ 水液渾濁皆屬於熱 ○ 小便黃者小腹中有熱也. ○ 肝熱病者小便先黃 ○ 足陽明之脈病氣盛則尿色黃<內經> ○ 疸證小便如黃栢汁<仲景> ○ 小便有五色惟赤白色者多赤色多因酒得之白色乃下元虛冷<資生> ○ 下焦無血小便澁數而黃<正傳> ○ 小便不禁赤者有熱白者氣虛<丹心>

☞ 오줌빛을 감별하는 법[辨尿色]

  ○ 오줌이 흐린 것[水液渾濁]은 다 열(熱)증에 속한다. ○ 오줌이 누런[黃] 것은 아랫배[小腹]에 열이 있기 때문이다. ○ 간(肝)에 열이 있으면 오줌이 먼저 누렇게 된다. ○ 족양명경맥[足陽明之脈]에 병이 생겨 기(氣)가 성하면 오줌빛이 누렇게 된다[내경]. ○ 황달 때의 오줌빛은 황경피나무즙[黃柏汁] 같다[중경]. ○ 오줌빛은 5가지가 있으나 벌건 것과 흰 것이 많다. 벌건 것은 술을 많이 마신 데 원인이 있고 흰 것은 하초[下]의 원기(元氣)가 허랭(虛冷)한 데 있다[자생]. ○ 하초(下焦)에 피가 적으면 오줌이 잘 나오지 않으면서 잦고 누렇다[정전]. ○ 오줌이 나오는 것을 참지 못하면서 오줌빛이 벌건[赤] 것은 열이 있기 때문이고 허연[白] 것은 기가 허하기 때문이다[단심].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기(氣)] 기(氣)로부터 여러 가지 병이 생긴다[氣爲諸病] 1110
[짐승(獸部)] 우유(牛乳) 양유(羊乳) 마유(馬乳) 낙(酪, 타락) 수(?, 졸인 젖) 제호(醍?) 1110
[허리(腰)] 요통을 두루 치료한다[腰痛通治] 1111
[한(寒)] 상한이증(傷寒裏證) 1111
[담음(痰飮)] 현음(懸飮) 1112
[옹저(癰疽)] 옹저에 구멍을 내어 고름을 빼내는 방법[癰疽作穴出膿法] 1112
[머리(頭)] 열궐두통(熱厥頭痛) 1114
[담음(痰飮)] 담음유주증[痰飮流注證] 1115
[한(寒)] 양명병에는 3가지가 있다[陽明病有三] 1116
[대변(大便)] 설사증에는 5가지가 있다[泄證有五] 1117
[기(氣)] 기가 부족하면 병이 생긴다[氣不足生病] 1118
[맥(脈)] 인영맥(人迎脈)과 기구맥(氣口脈) 1118
[부인(婦人)] 오조(惡阻) 1118
[옹저(癰疽)] 옹저 때 고름을 빼내고 새살이 살아나게 하는 방법[癰疽排膿生肌法] 1119
[혈(血)] 열에 혈이 상한다[熱能傷血] 1120
[목구멍(咽喉)] 목구멍이 아픈 것[咽喉痛]/인후 1123
[오줌(小便)] 여러 가지 임병[諸淋]을 두루 치료하는 것[通治] 1124
[옆구리(脇)] 협통에도 허증과 실증이 있다[脇痛有虛實] 1124
[기침(咳嗽)] 담천(痰喘) 1124
[대변(大便)] 구설(久泄) 1126
[피부(皮)] 전풍(?風), 역양풍(?瘍風), 백철(白?) 1126
[부인(婦人)] 골반이 벌어지지 않아서 생긴 난산[交骨不開難産] 1126
[대변(大便)] 한설(寒泄) 1127
[신(神)] 맥 보는 법[脈法]/신 1128
[포(胞)] 월경이 끊어졌다가 다시 나오는 것[經斷復行] 1131
[소아(小兒)] 허열(虛熱) 1132
[전음(前陰)] 한쪽 고환이 커져서 내려 처진 것[陰卵偏墜] 1134
[적취(積聚)] 징가와 현벽의 증상과 치료[?癖證治] 1134
[적취(積聚)] 장담, 석가, 혈고의 증상과 치료[腸覃石 血蠱證治] 1134
[이빨(牙齒)] 이빨에 있는 벌레를 나오게 하고 죽이는 방법[出牙蟲殺蟲法] 11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