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줌(小便)

오줌빛을 감별하는 법[辨尿色]

한닥터 2011.07.26 조회 수 813 추천 수 0
◎ 辨尿色 ○ 水液渾濁皆屬於熱 ○ 小便黃者小腹中有熱也. ○ 肝熱病者小便先黃 ○ 足陽明之脈病氣盛則尿色黃<內經> ○ 疸證小便如黃栢汁<仲景> ○ 小便有五色惟赤白色者多赤色多因酒得之白色乃下元虛冷<資生> ○ 下焦無血小便澁數而黃<正傳> ○ 小便不禁赤者有熱白者氣虛<丹心>

☞ 오줌빛을 감별하는 법[辨尿色]

  ○ 오줌이 흐린 것[水液渾濁]은 다 열(熱)증에 속한다. ○ 오줌이 누런[黃] 것은 아랫배[小腹]에 열이 있기 때문이다. ○ 간(肝)에 열이 있으면 오줌이 먼저 누렇게 된다. ○ 족양명경맥[足陽明之脈]에 병이 생겨 기(氣)가 성하면 오줌빛이 누렇게 된다[내경]. ○ 황달 때의 오줌빛은 황경피나무즙[黃柏汁] 같다[중경]. ○ 오줌빛은 5가지가 있으나 벌건 것과 흰 것이 많다. 벌건 것은 술을 많이 마신 데 원인이 있고 흰 것은 하초[下]의 원기(元氣)가 허랭(虛冷)한 데 있다[자생]. ○ 하초(下焦)에 피가 적으면 오줌이 잘 나오지 않으면서 잦고 누렇다[정전]. ○ 오줌이 나오는 것을 참지 못하면서 오줌빛이 벌건[赤] 것은 열이 있기 때문이고 허연[白] 것은 기가 허하기 때문이다[단심].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풀(草部)] 진교(秦?) 464
[풀(草部)] 현삼(玄蔘) 563
[풀(草部)] 구맥(瞿麥, 패랭이꽃) 구맥자(瞿麥子, 패랭이꽃씨) 구맥엽(瞿麥葉, 패랭이꽃잎) 529
[풀(草部)] 여실(?實, 타래붓꽃씨) 여화엽(?花葉, 타래붓꽃과 잎) 429
[풀(草部)] 작약(芍藥, 함박꽃뿌리) 654
[풀(草部)] 통초(通草) 통초자(通草子, 통초열매) 통초근(通草根, 통초뿌리) 434
[풀(草部)] 마황(麻黃) 478
[풀(草部)] 당귀(當歸) 823
[풀(草部)] 고삼(苦蔘, 너삼) 고삼실(苦參實, 너삼씨) 608
[풀(草部)] 과루근(瓜蔞根, 하늘타리뿌리) 과루실(瓜蔞實, 하늘타리) 과루인(瓜蔞仁, 하늘타리씨) 과루분(瓜蔞粉, 하늘타리뿌리 가루) 601
[풀(草部)] 갈근(葛根, 칡뿌리) 갈생근(葛生根, 생칡뿌리) 갈곡(葛穀, 칡씨) 갈엽(葛葉, 칡잎) 갈화(葛花, 칡꽃) 갈분(葛粉, 칡가루) 1245
[풀(草部)] 사이(?耳, 도꼬마리) 사이실(?耳實, 도꼬마리열매) 465
[풀(草部)] 백호(白蒿, 다북떡쑥) 405
[풀(草部)] 왕불류행(王不留行, 장구채) 550
[풀(草部)] 인진호(茵陳蒿, 생당쑥) 723
[풀(草部)] 초부 (하) ○ 일백팔십팔종이 있다. 434
[풀(草部)] 경천(景天) 441
[풀(草部)] 지부자(地膚子, 댑싸리씨) 지부엽(地膚葉, 댑싸리잎) 892
[풀(草部)] 사상자(蛇床子, 뱀도랏열매) 621
[풀(草部)] 인동(忍冬, 겨우살이덩굴) 590
[풀(草部)] 난초(蘭草) 412
[풀(草部)] 선화(旋花, 메꽃) 선화근(旋花根, 메뿌리) 444
[풀(草部)] 오미자(五味子) 1074
[풀(草部)] 천근(?根, 꼭두서니뿌리) 531
[풀(草部)] 단삼(丹參) 737
[풀(草部)] 결명자(決明子) 결명엽(決明葉) 707
[풀(草部)] 영실(營實, 찔레나무열매) 영실근(營實根, 찔레나무뿌리) 520
[풀(草部)] 누로(漏蘆, 뻐꾹채) 380
[풀(草部)] 속단(續斷) 390
[풀(草部)] 포황(蒲黃, 부들꽃가루) 향포(香蒲) 4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