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줌(小便)

배꼽을 싸매는 법[掩臍法]

한닥터 2011.07.26 조회 수 689 추천 수 0
? 掩臍法轉?一證諸藥不效失救則死以甘遂末水調敷臍下內以甘草節煎湯飮之及藥汁至臍二藥相反?自轉矣小水來如泉涌此救急之良方也.但二藥須兩人各買各處劑之不可一處同買爲妙<鉤玄> ○ 小便閉大田螺生?細封臍上卽通<綱目> ○ 治小便不通麝香半夏末塡臍中上用?白田螺二味?成餠封臍上用布線縛定下用?角烟入陰中自通女人用?角煎湯洗陰戶內<回春> ○ 治小便不通通臍法以白磁甁滿盛水以有字紙七重密封甁口於患人臍內用鹽一捻塡之倒置甁口覆在臍上偃臥如覺冷小便卽通<類聚> ○ 治小便?閉不通宜貼臍膏(方見大便)通關散

☞ 배꼽을 싸매는 법[掩臍法]

  ○ 전포증 때 여러 가지 약이 효과가 없고 치료해야 할 때를 놓치면 죽는다. 이런 때에는 감수가루를 물에 개어 배꼽[臍]에 붙인다. 먹는 약으로는 감초 마디를 달인 물을 쓰는데 마신 다음 약물이 배꼽에까지 가면 2가지 약은 서로 상반되므로 방광(膀胱)은 저절로 제 위치로 돌아오게 된다. 그러면 오줌이 잘 나오는데 이것이 구급치료의 좋은 방법이다. 그러나 이 2가지 약은 두 사람이 각각 다른 곳에서 사야 하고 또 약을 만들 때에도 서로 다른 곳에서 만들어야 한다. 한 곳에서 같이 사지 않는 것이 좋다㈜[구현]. 

[註] 감초와 감수는 약 성질이 서로 반대이므로 같이 쓰면 독성이 세지고 부작용이 나타난다. 이러한 작용을 지나치게 강조한 것이다. 약물을 섞어 쓰지 않으면 부작용은 없다.

○ 오줌을 누지 못하는 데는 큰 우렁이(전라)를 쓰는데 생것을 잘 짓찧어 배꼽에 붙이면 곧 오줌이 나온다[강목]. ○ 오줌이 나오지 않으면 사향과 반하 가루를 배꼽 위에 펴놓고 그 위에 파밑(총백)과 우렁이(전라)를 같이 짓찧어 떡을 만들어 덮은 다음 천으로 싸맨다. 다음 조협(조각)를 태우면서 그 연기가 오줌길[陰中]로 들어가게 하면 오줌이 나온다. 여자는 조협(조각)를 달인 물로 음부[陰戶內]를 씻어야 한다[회춘]. ○ 오줌이 나오지 않는 것을 치료하는 데는 배꼽을 통하게 하는 방법을 쓰는데 그것은 다음과 같다. 흰 사기병에 물을 가득 채운 다음 종이 7겹으로 병아가리를 꼭 막는다. 다음 환자의 배꼽에 소금을 펴놓고 그 위에 병을 거꾸로 세워 놓으면 배꼽에 찬 감이 느껴지면서 오줌이 곧 나온다[유취]. ○ 오줌이 잘 나오지 않거나 막힌 데는 첩제고(貼臍膏, 처방은 대변문에 있다)나 통관산을 쓴다. 

? 通關散治小便不通白礬生白鹽各二錢半右硏勻以紙圈圍臍抄藥在內滴冷水藥上卽通<類聚>
☞ 통관산(通關散) ○ 오줌이 나오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 백반, 흰소금 각각 10g. ○ 위의 약들을 가루낸다. 다음 종이로 배꼽 둘레를 싸 막고[圈圍] 그 안에 약가루를 넣는다. 다음 그 위에 찬물을 한 방울씩 떨구면 곧 오줌이 나온다[유취]. 

관련된 글
  1. 방약합편 HH266 通關散(통관산) by 한닥터
  2. 동의보감 이를 악문 것을 열리게 하는 방법[開?法] by 한닥터
  3. 동의보감 처방집 첩제고(貼臍膏) by 한닥터
  4. 동의보감 처방집 통관산(通關散) by 한닥터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풀(草部)] 진교(秦?) 464
[풀(草部)] 현삼(玄蔘) 562
[풀(草部)] 구맥(瞿麥, 패랭이꽃) 구맥자(瞿麥子, 패랭이꽃씨) 구맥엽(瞿麥葉, 패랭이꽃잎) 529
[풀(草部)] 여실(?實, 타래붓꽃씨) 여화엽(?花葉, 타래붓꽃과 잎) 429
[풀(草部)] 작약(芍藥, 함박꽃뿌리) 654
[풀(草部)] 통초(通草) 통초자(通草子, 통초열매) 통초근(通草根, 통초뿌리) 434
[풀(草部)] 마황(麻黃) 478
[풀(草部)] 당귀(當歸) 823
[풀(草部)] 고삼(苦蔘, 너삼) 고삼실(苦參實, 너삼씨) 608
[풀(草部)] 과루근(瓜蔞根, 하늘타리뿌리) 과루실(瓜蔞實, 하늘타리) 과루인(瓜蔞仁, 하늘타리씨) 과루분(瓜蔞粉, 하늘타리뿌리 가루) 601
[풀(草部)] 갈근(葛根, 칡뿌리) 갈생근(葛生根, 생칡뿌리) 갈곡(葛穀, 칡씨) 갈엽(葛葉, 칡잎) 갈화(葛花, 칡꽃) 갈분(葛粉, 칡가루) 1245
[풀(草部)] 사이(?耳, 도꼬마리) 사이실(?耳實, 도꼬마리열매) 465
[풀(草部)] 백호(白蒿, 다북떡쑥) 405
[풀(草部)] 왕불류행(王不留行, 장구채) 550
[풀(草部)] 인진호(茵陳蒿, 생당쑥) 723
[풀(草部)] 초부 (하) ○ 일백팔십팔종이 있다. 434
[풀(草部)] 경천(景天) 441
[풀(草部)] 지부자(地膚子, 댑싸리씨) 지부엽(地膚葉, 댑싸리잎) 892
[풀(草部)] 사상자(蛇床子, 뱀도랏열매) 621
[풀(草部)] 인동(忍冬, 겨우살이덩굴) 590
[풀(草部)] 난초(蘭草) 412
[풀(草部)] 선화(旋花, 메꽃) 선화근(旋花根, 메뿌리) 444
[풀(草部)] 오미자(五味子) 1074
[풀(草部)] 천근(?根, 꼭두서니뿌리) 531
[풀(草部)] 단삼(丹參) 737
[풀(草部)] 결명자(決明子) 결명엽(決明葉) 707
[풀(草部)] 영실(營實, 찔레나무열매) 영실근(營實根, 찔레나무뿌리) 520
[풀(草部)] 누로(漏蘆, 뻐꾹채) 380
[풀(草部)] 속단(續斷) 390
[풀(草部)] 포황(蒲黃, 부들꽃가루) 향포(香蒲) 4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