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줌(小便)

포비증(?痺證)

한닥터 2011.07.26 조회 수 765 추천 수 0
◎ 脬痺證 ○ 內經曰脬痺者小腹膀胱按之內痛若沃以湯澁于小便上爲淸涕 ○ 夫膀胱者津液之府氣化則能出今風寒濕邪氣客于脬中則氣不能化出故脬滿而水道不通也.足太陽之經從巓入絡腦腦氣下灌出於鼻爲涕也.<綱目> ○ 脬痺卽寒淋之類也.屬風寒濕宜巴戟丸溫腎湯<入門>
 
☞ 포비증(脬痺證)

  ○ 『내경』에는 "포비(脬痺)라는 것은 아랫배와 방광 부위를 누르면 속으로 아픈 것[內痛]이 끓는 물을 퍼붓는 것 같고 오줌이 잘 나오지 않으며 멀건 콧물[淸涕]이 나오는 것이다"고 씌어 있다. ○ 방광은 진액(津液)이 모이는 곳인데 기화(氣化)작용이 되어야 오줌을 내보낸다. 그러나 풍사(風邪), 한사(寒邪), 습사(濕邪)가 방광에 들어오면 기화작용이 제대로 되지 못하기 때문에 그득 차게 되며 오줌길[水道]이 막힌다. 족태양경[足太陽之經]은 정수리[
]에서부터 뇌[絡腦]로 들어가는데 뇌의 기운은 아래로 내려가 코에 가서 콧물이 된다[강목]. ○ 포비는 한림(寒淋)의 종류인데 풍(風), 한(寒), 습(濕) 증에 속한다. 이때에는 파극환이나 온신탕을 써야 한다[입문]. 
 
? 巴戟丸治脬痺小便澁而不通巴戟一兩反桑螵蛸麩炒遠志薑製生乾地黃酒洗山藥附子炮續斷肉蓯蓉酒浸各一兩杜沖炒石斛鹿茸龍骨免絲子酒煮五味子山茱萸官桂各三錢右爲末蜜丸梧子大空心酒下五七十丸<綱目>
☞ 파극환(巴戟丸) ○ 포비(脬痺)로 오줌이 잘 나오지 않거나 막힌 것을 치료한다. ○ 파극 60g, 상표초(밀기울과 함께 복은 것[?炒]), 원지(생강즙에 법제한 것), 생건지황(술에 씻은 것), 산약,부자(싸서 구운 것), 속단, 육종용(술에 담갔던 것) 각각 40g, 두충(볶은 것), 석곡, 녹용, 용골, 토사자(술에 축여 찐 것), 오미자, 산수유, 육계 각각 12g. ○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봉밀에 반죽하여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50-70알씩 빈속에 술로 먹는다[강목]. 
 
? 溫腎湯治脬痺小便不利赤茯苓白朮澤瀉乾薑炮各一錢二分半右剉作一貼空心水煎服<類聚>
☞ 온신탕(溫腎湯) ○ 포비(痺)로 오줌이 잘 나오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 적복령, 백출, 택사, 건강(싸서 구운 것) 각각 4.8g. ○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빈속에 먹는다[유취]. 
 
관련된 글
  1. 동의보감 정(精)이 절로 나가는 것은 허증에 속한다[精滑脫屬虛] by 한닥터
  2. 태암 처방집 固精不脫(고정불탈) 巴戟丸(파극환) by 한닥터
  3. 동의보감 처방집 온신탕(溫腎湯) by 한닥터
  4. 동의보감 처방집 파극환(巴戟丸) by 한닥터
  5. 동의보감 처방집 파극환(巴戟丸) by 한닥터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물고기(魚部)] 어자(魚?, 물고기젖) 573
[물고기(魚部)] 어회(魚膾, 물고기회) 487
[벌레(蟲部)] 벌레부[蟲部] 467
[벌레(蟲部)] 백밀(白蜜, 꿀) 1036
[벌레(蟲部)] 모려(牡蠣) 938
[벌레(蟲部)] 귀갑(龜甲, 남생이 등딱지) 766
[벌레(蟲部)] 별갑(鱉甲, 자라등딱지) 595
[벌레(蟲部)] 대매(?瑁, 대모) 451
[벌레(蟲部)] 석결명(石決明, 전복껍질) 815
[벌레(蟲部)] 해(蟹, 게) 602
[벌레(蟲部)] 상표초(桑??, 사마귀알집) 924
[벌레(蟲部)] 선각(蟬殼, 매미허물) 509
[벌레(蟲部)] 제조(??, 굼벵이) 661
[벌레(蟲部)] 백강잠(白?蠶) 534
[벌레(蟲部)] 원잠아(原蠶蛾, 누에나비 791
[벌레(蟲部)] 연상라(緣桑螺) 419
[벌레(蟲部)] 저계(樗鷄) 726
[벌레(蟲部)] 와우(蝸牛, 달팽이) 536
[벌레(蟲部)] 석룡자(石龍子, 도마뱀) 459
[벌레(蟲部)] 맹충(?蟲, 등에) 501
[벌레(蟲部)] 자패(紫貝) 485
[벌레(蟲部)] 해마(海馬) 508
[벌레(蟲部)] 섬여(蟾?, 두꺼비) 466
[벌레(蟲部)] 하마(蝦?) 418
[벌레(蟲部)] 와(?, 머구리) 404
[벌레(蟲部)] 방합(蚌蛤, 진주조개) 668
[벌레(蟲部)] 하(鰕, 새우) 500
[벌레(蟲部)] 전라(田螺, 우렁이) 430
[벌레(蟲部)] 오사(烏蛇) 387
[벌레(蟲部)] 백화사(白花蛇) 4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