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변(大便)

대변이 만들어지는 경위[大便原委]

한닥터 2011.07.29 조회 수 858 추천 수 0
◎ 大便原委  ○ 難經曰大腸小腸會爲?門盖胃中水穀腐熟自胃下口傳入於小腸上口自小腸下口泌別淸濁水液入膀胱爲?尿滓穢入大腸爲大便由?門而分別關?分隔故名爲?門也.<綱目> ○ 內經曰大腸者傳導之官化物出焉註曰化物謂大便也.

☞ 대변이 만들어지는 경위[大便原委]

  ○ 『난경(難經)』에 "대장과 소장이 이어지는 곳을 난문(?門)이라고 한다. 음식은 위(胃)에서 소화되어 위(胃)의 아랫구멍[下口]으로 나가 소장[小腸上口]으로 들어간다. 그리고 소장의 아랫부분[下口]에서 맑고 흐린 것이 갈라져서 수액(水液)은 방광에 들어가서 오줌이 되고 찌꺼기[滓穢]는 대장으로 들어가서 대변이 된다. 이와 같이 난문에서 갈라지는데 여기가 관(關)문의 난간[隔]처럼 되어 있다고 하여 난문이라고 한다"고 씌어 있다[강목]. ○ 『내경』에 "대장은 전도지관(傳導之官)으로서 소화된 것을 내보낸다"고 씌어 있다. 주해에는 "소화된 찌꺼기[化物]가 대변이다"고 씌어 있다.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풀(草部)] 목향(木香) 504
[풀(草部)] 서여(薯?, 마) 507
[풀(草部)] 택사(澤瀉) 486
[풀(草部)] 원지(遠志) 629
[풀(草部)] 용담(龍膽) 537
[풀(草部)] 세신(細辛) 539
[풀(草部)] 석곡(石斛) 520
[풀(草部)] 파극천(巴戟天) 690
[풀(草部)] 적전(赤箭) 488
[풀(草部)] 암려자(菴?子) 681
[풀(草部)] 석명자(?蓂子) 626
[풀(草部)] 권백(卷栢, 부처손) 567
[풀(草部)] 남등근(藍藤根) 386
[풀(草部)] 남실(藍實, 쪽씨) 남엽즙(藍葉汁, 쪽잎즙) 남전(藍澱) 435
[풀(草部)] 궁궁(芎?, 궁궁이) 미무(?蕪, 궁궁이싹) 476
[풀(草部)] 황련(黃連) 435
[풀(草部)] 낙석(絡石, 담쟁이덩굴) 벽려(??) 544
[풀(草部)] 백질려(白?藜, 남가새열매) 552
[풀(草部)] 황기(黃?, 단너삼) 632
[풀(草部)] 육종용(肉?蓉) 482
[풀(草部)] 방풍(防風) 방풍엽(防風葉, 방풍잎) 방풍화(防風花, 방풍꽃) 방풍자(防風子, 방풍씨) 621
[풀(草部)] 포황(蒲黃, 부들꽃가루) 향포(香蒲) 467
[풀(草部)] 속단(續斷) 390
[풀(草部)] 누로(漏蘆, 뻐꾹채) 380
[풀(草部)] 영실(營實, 찔레나무열매) 영실근(營實根, 찔레나무뿌리) 520
[풀(草部)] 결명자(決明子) 결명엽(決明葉) 707
[풀(草部)] 단삼(丹參) 737
[풀(草部)] 천근(?根, 꼭두서니뿌리) 531
[풀(草部)] 오미자(五味子) 1074
[풀(草部)] 선화(旋花, 메꽃) 선화근(旋花根, 메뿌리) 4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