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변(大便)

오랜 설사가 이질이 된다[久泄成痢]

한닥터 2011.07.29 조회 수 740 추천 수 0
◎ 久泄成痢 ○ 太陰經受濕而爲水泄虛滑身重微滿不知穀味久則傳變而爲膿血痢<機要> ○ 夫痢者皆由榮衛不和腸胃虛弱冷熱之氣乘虛客於腸胃之間泄而爲痢也.<類聚> ○ 飮食不節起居不時損其胃氣則上乘精微之氣反下降是爲?泄久則太陰傳少陰而爲腸?<東垣>

☞ 오랜 설사가 이질이 된다[久泄成痢]

  ○ 태음경(太陰經)이 습사를 받으면 물 같은 설사[水泄]가 힘없이 나가며[澁滑] 몸이 무겁고 약간 그득하면서 밥맛이 없는데 오래되면 농혈리(膿血痢)로 변한다[기요]. ○ 이질은 다 영위(榮衛)가 고르지 못하고[不和] 장위(腸胃)가 허약해서 차거나 열한 기운이 그 허한 틈을 타서 창자[腸胃] 속에 들어가기 때문이다. 이와 같으면 설사가 나다가 이질이 된다[유취]. ○ 음식을 절도없이 먹고 일상생활을 제대로 하지 못하여 위기(胃氣)가 상하면 위로 올라가야 할 정미(精微)한 기운이 오히려 내려가기 때문에 삭지 않은 설사[?泄]를 하게 된다. 이것이 오래되면 태음(太陰)에서 소음(少陰)으로 전해가기 때문에 이질[腸?]이 된다[동원].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소장부(小腸腑)] 소장병의 증상[小腸病證] 1080
[포(胞)] 처녀가 월경이 나오지 않는 것[室女月經不行] 1080
[대변(大便)] 이질을 치료하는 데 반드시 필요한 방법[治痢要訣] 1079
[담음(痰飮)] 담(痰)과 연(涎), 음(飮) 세 가지는 같지 않다[痰涎飮三者不同] 1076
[황달(黃疸)] 황달(黃疸) 치료법 1076
[소장부(小腸腑)] 소장병을 치료하는 법[小腸病治法] 1075
[잔등(背)] 등이 시린 것[背寒] 1075
[풀(草部)] 오미자(五味子) 1074
[간장(肝臟)] 간장에 대한 도인법[肝臟導引法] 1074
[대변(大便)] 늙은이의 변비[老人秘結] 1073
[비장(脾臟)] 비가 상한 증상[脾傷證] 1072
[기(氣)] 기는 가만히 있으면 막힌다[氣逸則滯] 1069
[기(氣)] 폐는 기를 주관한다[肺主氣] 1067
[정(精)] 5장에는 모두 정(精)이 있다[五藏皆有精] 1066
[제상(諸傷)] 뼈가 부러지고 힘줄이 끊어진 것[骨折筋斷傷] 1066
[발(足)] 각기병(脚氣病)의 증상[脚氣病證] 1064
[적취(積聚)] 습울(濕鬱) 1063
[가슴(胸)] 비심통(脾心痛) 1061
[해독(解毒)] 바꽃이나 오두나 천웅이나 부자에 중독된 것[草烏川烏天雄附子毒] 1061
[풀(草部)] 감초(甘草) 감초소(甘草梢, 감초초) 감초절(甘草節, 감초마디) 1060
[신(神)] 신은 온몸을 주관한다[神爲一身之主] 1060
[부인(婦人)] 해산을 안전하게 하는 법[保産] 1060
[정(精)] 단방(單方)/정 1059
[맥(脈)] 27맥 상세설명 1058
[물고기(魚部)] 만려어(鰻?魚, 뱀장어) 1058
[담부(膽腑)] 담병을 치료하는 법[膽病治法] 1055
[오줌(小便)] 여러 가지 임병[諸淋證] 1055
[한(寒)] 감한과 4시상한[感寒及四時傷寒] 1055
[소아(小兒)] 숫구멍이 아물지 않는 것[解?] 1054
[정(精)] 맥 보는 법[脈法]/정 10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