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변(大便)

오랜 설사가 이질이 된다[久泄成痢]

한닥터 2011.07.29 조회 수 740 추천 수 0
◎ 久泄成痢 ○ 太陰經受濕而爲水泄虛滑身重微滿不知穀味久則傳變而爲膿血痢<機要> ○ 夫痢者皆由榮衛不和腸胃虛弱冷熱之氣乘虛客於腸胃之間泄而爲痢也.<類聚> ○ 飮食不節起居不時損其胃氣則上乘精微之氣反下降是爲?泄久則太陰傳少陰而爲腸?<東垣>

☞ 오랜 설사가 이질이 된다[久泄成痢]

  ○ 태음경(太陰經)이 습사를 받으면 물 같은 설사[水泄]가 힘없이 나가며[澁滑] 몸이 무겁고 약간 그득하면서 밥맛이 없는데 오래되면 농혈리(膿血痢)로 변한다[기요]. ○ 이질은 다 영위(榮衛)가 고르지 못하고[不和] 장위(腸胃)가 허약해서 차거나 열한 기운이 그 허한 틈을 타서 창자[腸胃] 속에 들어가기 때문이다. 이와 같으면 설사가 나다가 이질이 된다[유취]. ○ 음식을 절도없이 먹고 일상생활을 제대로 하지 못하여 위기(胃氣)가 상하면 위로 올라가야 할 정미(精微)한 기운이 오히려 내려가기 때문에 삭지 않은 설사[?泄]를 하게 된다. 이것이 오래되면 태음(太陰)에서 소음(少陰)으로 전해가기 때문에 이질[腸?]이 된다[동원].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비장(脾臟)] 비기가 끊어진 증후[脾絶候] 788
[비장(脾臟)] 비장을 수양하는 법[脾臟修養法] 856
[비장(脾臟)] 비장에 대한 비장도인법[脾臟導引法] 859
[비장(脾臟)] 단방(單方)/비장 958
[폐장(肺臟)] 폐장의 형태[肺形象] 804
[폐장(肺臟)] 폐의 위치[肺部位] 1883
[폐장(肺臟)] 폐가 주관하는 날짜[肺主時日] 683
[폐장(肺臟)] 폐에 속한 것들[肺屬物類] 801
[폐장(肺臟)] 폐장이 크고 작은 것[肺臟大小] 643
[폐장(肺臟)] 폐가 상한 증상[肺傷證] 907
[폐장(肺臟)] 폐병의 증상[肺病證] 1297
[폐장(肺臟)] 폐병의 허증과 실증[肺病虛實] 1040
[폐장(肺臟)] 폐병이 경해지고 중해지는 것[肺病間甚] 780
[폐장(肺臟)] 폐병을 치료하는 법[肺病治法] 1 1435
[폐장(肺臟)] 폐의 기가 끊어진 증후[肺絶候] 696
[폐장(肺臟)] 폐를 수양하는 법[肺臟修養法] 690
[폐장(肺臟)] 단방(單方)/폐장 855
[신장(腎臟)] 신장의 형태[腎形象] 798
[신장(腎臟)] 신장은 2개가 있다[腎臟有二] 708
[신장(腎臟)] 신장의 위치[腎部位] 1245
[신장(腎臟)] 신장이 주관하는 날짜[腎主時日] 672
[신장(腎臟)] 신장에 속한 것들[腎屬物類] 2950
[신장(腎臟)] 신장이 크고 작은 것[腎臟大小] 710
[신장(腎臟)] 신장이 상한 증상[腎傷證] 1192
[신장(腎臟)] 신병의 증상[腎病證] 19692
[신장(腎臟)] 신병의 허증과 실증[腎病虛實] 5526
[신장(腎臟)] 신병이 경해지고 중해지는 것[腎病間甚] 739
[신장(腎臟)] 신병을 치료하는 방법[腎病治法] 2220
[신장(腎臟)] 두 장기의 부는 하나다[兩臟同一腑] 652
[신장(腎臟)] 신기가 끊어진 증후[腎絶候] 7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