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변(大便)

이질 때 항문이 아픈 것[痢疾大孔痛]

한닥터 2011.07.29 조회 수 814 추천 수 0
◎ 痢疾大孔痛 ○ 下痢大孔痛因熱流于下用木香檳?芩連加炒乾薑煎服<綱目> ○ 下痢大孔痛宜溫煖之<仲景> ○ 下痢大孔痛一曰溫之一曰淸之如久病身冷脈沈小宜溫之如暴病身熱脈浮洪宜淸之<丹心> ○ 作痛熱流於下也.<醫鑑> ○ 下痢大便不禁大孔開如空洞用?椒末爛?塞穀道中倂服酸澁固腸之劑如御米殼訶子皮之類收之<綱目> ○ 下痢大孔痛此大虛也.瓦片圓如銅錢大燒紅投童尿中急取令乾紙?安痛處以人參當歸陳皮濃煎飮之<綱目> ○ 又灸枳實?之炒鹽?之又熟艾黃蠟訶子燒烟熏之妙<綱目>

☞ 이질 때 항문이 아픈 것[痢疾大孔痛]

  ○ 이질[下痢] 때 항문이 아픈[大孔痛] 것은 열이 하초(下焦)로 내려간 것이다. 이때에는 목향, 빈랑, 황금, 황련에 볶은 건강을 넣고 달여 먹어야 한다[강목]. ○ 이질 때 항문이 아프면 따뜻하게 하는 것이 좋다[중경]. ○ 이질 때 항문이 아프면 하루는 따뜻하게 하고 하루는 시원하게 해야 한다. 만약 오랜 이질[久病]로 몸이 차고 맥이 침소(沈小)하면 따뜻하게 하는 것이 좋고 갑자기 생긴 이질[暴病]로 몸에 열이 나고 맥이 부홍(浮洪)하면 시원하게 하는 것이 좋다[단심]. ○ 항문이 아픈 것은 열이 하초에 내려갔기 때문이다[의감]. ○ 이질 때 대변이 나가는 것을 참지 못하고 항문이 벌어져 있는 것같이 된 데는 파와 후추(호초)를 짓찧어 항문에 꽂고 겸하여 맛이 시고 떫은[酸澁] 약으로 대장을 막히게[固腸] 해야 한다. 그러므로 앵속각, 가자피 등으로 수렴시킨다[강목]. ○ 이질 때 항문이 아픈 것은 몹시 허하기 때문인데 이때에는 동전만한 기와조각을 벌겋게 달구어 동변[童尿]에 담갔다가 바로 마른 종이에 싸서 아픈 곳에 붙이면 된다. 그리고 인삼, 당귀, 陳皮을 진하게 달여 먹어야 한다[강목]. ○ 또한 지실을 볶아서 찜질하거나[?之] 소금을 볶아서 찜질한다. 그리고 약쑥잎, 황랍, 가자를 태우면서 그 연기를 쏘여도[熏之] 좋다[강목].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비장(脾臟)] 비기가 끊어진 증후[脾絶候] 788
[비장(脾臟)] 비장을 수양하는 법[脾臟修養法] 856
[비장(脾臟)] 비장에 대한 비장도인법[脾臟導引法] 859
[비장(脾臟)] 단방(單方)/비장 958
[폐장(肺臟)] 폐장의 형태[肺形象] 804
[폐장(肺臟)] 폐의 위치[肺部位] 1883
[폐장(肺臟)] 폐가 주관하는 날짜[肺主時日] 683
[폐장(肺臟)] 폐에 속한 것들[肺屬物類] 801
[폐장(肺臟)] 폐장이 크고 작은 것[肺臟大小] 643
[폐장(肺臟)] 폐가 상한 증상[肺傷證] 907
[폐장(肺臟)] 폐병의 증상[肺病證] 1297
[폐장(肺臟)] 폐병의 허증과 실증[肺病虛實] 1040
[폐장(肺臟)] 폐병이 경해지고 중해지는 것[肺病間甚] 780
[폐장(肺臟)] 폐병을 치료하는 법[肺病治法] 1 1435
[폐장(肺臟)] 폐의 기가 끊어진 증후[肺絶候] 696
[폐장(肺臟)] 폐를 수양하는 법[肺臟修養法] 690
[폐장(肺臟)] 단방(單方)/폐장 855
[신장(腎臟)] 신장의 형태[腎形象] 798
[신장(腎臟)] 신장은 2개가 있다[腎臟有二] 708
[신장(腎臟)] 신장의 위치[腎部位] 1245
[신장(腎臟)] 신장이 주관하는 날짜[腎主時日] 672
[신장(腎臟)] 신장에 속한 것들[腎屬物類] 2950
[신장(腎臟)] 신장이 크고 작은 것[腎臟大小] 710
[신장(腎臟)] 신장이 상한 증상[腎傷證] 1192
[신장(腎臟)] 신병의 증상[腎病證] 19692
[신장(腎臟)] 신병의 허증과 실증[腎病虛實] 5526
[신장(腎臟)] 신병이 경해지고 중해지는 것[腎病間甚] 739
[신장(腎臟)] 신병을 치료하는 방법[腎病治法] 2220
[신장(腎臟)] 두 장기의 부는 하나다[兩臟同一腑] 652
[신장(腎臟)] 신기가 끊어진 증후[腎絶候] 7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