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頭)

머리에는 9개의 궁이 있다[頭有九宮]

한닥터 2011.08.06 조회 수 740 추천 수 0
◎ 頭有九宮 ○ 頭有九宮腦有九辨一曰雙丹宮二曰明堂宮三曰泥丸宮四曰流珠宮五曰大帝宮六曰天庭宮七曰極眞宮八曰玄丹宮九曰太皇宮各有神以主之謂之元首九宮眞人也[黃庭] ○ 問泥丸宮正在何處答曰頭有九宮中曰泥丸九宮羅列七竅應透泥丸之宮魂魄之穴也[正理]

☞ 머리에는 9개의 궁이 있다[頭有九宮]

 ○ 머리에는 9개의 궁이 있고 뇌에는 9개의 부문[九辨]이 있다. 첫째는 쌍단궁(雙丹宮)이고 둘째는 명당궁(明堂宮)이며 셋째는 이환궁(泥丸宮)이다. 넷째는 유주궁(流珠宮)이고 다섯째는 대제궁(大帝宮)이며 여섯째는 천정궁(天庭宮)이다. 일곱째는 극진궁(極眞宮)이고 여덟째는 현단궁(玄丹宮)이며 아홉째는 태황궁(太皇宮)이다. 이것들은 다 신이 주관하는데 신을 원수구궁진(元首九宮眞)이라고 한다[황정]. ○ 이환궁이 어디에 있는가고 물으니 머리에는 9개의 궁이 있는데 가운데 것을 이환궁이라고 한다고 하였다. 그리고 9개의 궁은 제각기 자리가 있는데 7규(七竅)와 통해 있고 이환궁에는 혼백이 나드는 구멍이 있다고 하였다[정리].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신장(腎臟)] 신장을 수양하는 법[腎臟修養法] 764
[신장(腎臟)] 신장에 대한 도인법[腎臟導引法] 915
[신장(腎臟)] 단방(單方)/신장 955
[담부(膽腑)] 담의 형태[膽形象] 693
[담부(膽腑)] 담의 위치[膽部位] 1016
[담부(膽腑)] 담은 결단하는 것을 주관한다[膽主決斷] 732
[담부(膽腑)] 담병의 증상[膽病證] 887
[담부(膽腑)] 담병의 허증과 실증[膽病虛實] 1020
[담부(膽腑)] 담병을 치료하는 법[膽病治法] 1055
[담부(膽腑)] 담기가 끊어진 증후[膽絶候] 609
[담부(膽腑)] 담부에 대한 도인법[膽腑導引法] 839
[담부(膽腑)] 단방(單方)/담부 710
[위부(胃腑)] 위의 형태[胃形象] 767
[위부(胃腑)] 위의 위치[胃部位] 702
[위부(胃腑)] 위는 음식물을 받아들이는 곳이다[胃爲水穀之海] 711
[위부(胃腑)] 위가 크고 작은 것[胃腑大小] 667
[위부(胃腑)] 위의 상태가 겉으로 나타난 증후[胃外候] 868
[위부(胃腑)] 위가 상한 증후[胃傷證] 830
[위부(胃腑)] 위병의 증상[胃病證] 2284
[위부(胃腑)] 위병의 허증과 실증[胃病虛實] 1255
[위부(胃腑)] 위병을 치료하는 법[胃病治法] 2579
[위부(胃腑)] 위의 기가 끊어진 증후[胃絶候] 706
[위부(胃腑)] 단방(單方)/위부 894
[소장부(小腸腑)] 소장의 형태[小腸形象] 597
[소장부(小腸腑)] 소장의 위치[小腸部位] 713
[소장부(小腸腑)] 소장이 전하고 받는 것[小腸傳受] 742
[소장부(小腸腑)] 소장의 상태가 겉으로 나타난 증후[小腸外候] 761
[소장부(小腸腑)] 소장병의 증상[小腸病證] 1080
[소장부(小腸腑)] 소장병을 치료하는 법[小腸病治法] 1075
[소장부(小腸腑)] 소장의 기가 끊어지는 증후[小腸絶候] 6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