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頭)

습열두통(濕熱頭痛)

한닥터 2011.08.06 조회 수 957 추천 수 0
◎ 濕熱頭痛 ○ 心煩頭痛者病在膈中乃濕熱頭痛也宜淸空膏小淸空膏又用吐法(方見下)

☞ 습열두통(濕熱頭痛)

 ○ 가슴이 답답하면서 머리가 아픈 것은 가슴에 병이 생겼기 때문인데 이것은 습열두통(濕熱頭痛)이라고 한다. 이런 데는 청공고, 소청공고가 좋다. 또는 토하게 하는 방법도 쓴다(처방은 아래에 있다). 

? 淸空膏 ○ 治風濕熱偏正頭痛黃芩三兩內半生半酒炒甘草灸一兩半防風羌活黃連酒炒各一兩柴胡七錢川芎五錢右爲末每二錢茶淸調成膏臨臥抹口內少用白湯送下 ○ 此膏治諸般頭痛皆效惟血虛頭痛從魚尾相連痛者不治[東垣]
☞ 청공고(淸空膏) ○ 풍사(風邪), 습사(濕邪), 열사(熱邪)로 생긴 편두통, 정두통을 치료한다. ○ 황금(절반은 생것, 절반은 술에 축여 볶은 것) 120g, 감초(볶은 것) 60g, 방풍, 강활, 황련(술에 축여 볶은 것) 각각 40g, 시호 28g, 천궁 20g. ○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한번에 8g씩 찻물에 고약처럼 되게 개서 잠잘 무렵에 입 안을 문지른 다음 끓인 물 조금으로 넘긴다. ○ 이 약은 여러 가지 두통에 다 효과가 있지만 혈허(血虛)로 생긴 두통으로 눈초리[魚尾]까지 아픈 데는 효과가 없다[동원]. 

? 小淸空膏 ○ 治同上片芩細切酒拌?乾爲末茶淸調下二錢酒亦可[丹心]
☞ 소청공고(小淸空膏) ○ 위와 같은 증상을 치료한다. ○ 황금(片芩). ○ 위의 약을 잘게 썰어서 술에 버무린 다음 볕에 말려 가루를 낸다. 한번에 8g씩 찻물에 타서 먹거나 술에 타 먹어도 좋다[단심]. 

관련된 글
  1. 방약합편 149. 淸空膏(청공고) by 한닥터
  2. 동의보감 처방집 소청공고(小淸空膏) by 한닥터
  3. 동의보감 처방집 청공고(淸空膏) by 한닥터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내상(內傷)] 내상에는 음식상과 노권상의 2가지 원인이 있다[內傷有飮食傷勞倦傷二因] 1018
[곡식(穀部)] 적소두(赤小豆, 붉은팥) 1019
[담부(膽腑)] 담병의 허증과 실증[膽病虛實] 1020
[진액(津液)] 몸 안에 있는 진액[身中津液] 1021
[습(濕)] 안개와 이슬의 맑고 탁한 사기가 사람에게 침습한다[霧露淸濁之邪中人] 1021
[혈(血)] 망혈증(亡血證)과 탈혈증(脫血證)[亡血脫血證] 1023
[오줌(小便)] 냉림(冷淋) 1023
[대변(大便)] 신설(腎泄) 1023
[귀(耳)] 막힌 것을 열어 주고 기를 통하게 하는 약[透關通氣藥] 1023
[목소리(聲音)] 갑자기 목소리가 나오지 않는 것[卒然無音] 1024
[이빨(牙齒)] 담독으로 이빨이 아픈 것[毒痰痛] 1024
[황달(黃疸)] 달벽 때에는 흙, 숯, 생쌀, 차잎을 먹기 좋아한다[疸癖愛喫土炭生米茶葉] 1024
[옹저(癰疽)] 옹저 때 설사 하는 것[癰疽泄瀉] 1024
[침구(針灸)] 뜸뜨는 시간[下火灸時法] 1025
[침구(針灸)] 8회혈(八會穴) 1028
[담음(痰飮)] 복음(伏飮) 1028
[대장부(大腸腑)] 대장의 위치[大腸部位] 1029
[적취(積聚)] 적취의 원인[積聚之因] 1029
[오줌(小便)] 관격이 되었을 때에는 토하고 설사시켜야 한다[關格宜吐瀉] 1030
[학질(?疾)] 오한이 났다 열이 났다 하는 것이 학질과 비슷한 것[寒熱似?] 1030
[신형(身形)] 늙는 것은 혈기가 부족하기 때문이다[老因血衰] 1033
[가슴(胸)] 신심통(腎心痛) 1033
[눈(眼)] 눈은 간의 상태가 나타나는 구멍이다[目者肝之竅] 1034
[대변(大便)] 비약증(脾約證) 1035
[입과 혀(口舌)] 허화로 입 안이 허는 것[虛火口瘡] 1035
[적취(積聚)] 혈적(血積) 1035
[혈(血)] 혈(血)은 기(氣)와 짝이 된다[血爲氣配] 1036
[습(濕)] 안개와 이슬 기운이 장기가 된다[霧露之氣爲?] 1036
[부인(婦人)] 감기[感寒] 1036
[벌레(蟲部)] 백밀(白蜜, 꿀) 10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