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頭)

뇌풍증(腦風證)

한닥터 2011.08.06 조회 수 859 추천 수 0
◎ 腦風證 ○ 風氣循風府(穴名)而上則爲腦風[內經] ○ 其證項背怯寒腦戶(穴名)極冷神聖散太陽丹[河間]

☞ 뇌풍증(腦風證)

 ○ 바람 기운[風氣]이 풍부혈(風府穴)로 해서 위로 올라가면 뇌풍(腦風)이 된다[내경]. ○ 그 증상은 목덜미와 잔등이 오싹오싹하고 뇌호혈(腦戶穴) 부위가 몹시 차다. 이런 데는 신성산이나 태양단이 좋다[하간]. 

? 神聖散 ○ 治腦風麻黃細辛葛根半生半炒藿香葉各等分右爲末每取二錢荊芥薄荷酒調下[河間]
☞ 신성산(神聖散) ○ 뇌풍(腦風)을 치료한다. ○ 마황, 세신, 갈근(절반은 생것, 절반은 볶은 것), 곽향잎 각각 같은 양. ○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한번에 8g씩 형개 박하술에 타서 먹는다[하간]. 

? 太陽丹 ○ 腦寒之病皆因邪攻於上焦令人頭痛晝夜不寧此藥主之石膏二兩川芎川烏?白芷甘草各一兩龍腦二錢右爲末煉蜜同?糊和勻每一兩作十八丸黃丹爲衣每取二三丸食後以?茶煎湯嚼下[得效]
☞ 태양단(太陽丹) ○ 뇌한병[腦寒之病]은 모두 사기가 상초(上焦)에 침범해서 생기는데 이런 병일 때에는 머리가 아프고 밤낮으로 편안치 않다. 이것을 치료한다. ○ 석고 80g, 천궁, 오두(싸서 구운 것), 백지, 감초 각각 40g, 용뇌 8g. ○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졸인 봉밀과 밀가루풀을 섞은 데 넣고 반죽해서 40g으로 18알씩 만든 다음 겉에 황단을 입힌다. 한번에 2-3알씩 파 또는 차를 달인 물로 끼니 뒤에 씹어 먹는다[득효].
관련된 글
  1. 동의보감 처방집 태양단(太陽丹) by 한닥터
  2. 동의보감 처방집 신성산(神聖散) by 한닥터 *1

1개의 댓글

Profile
웅이아빠
2016.09.01

신성산 갈근이 아니고 전갈말린 건갈

제목 조회 수
[담부(膽腑)] 담병의 허증과 실증[膽病虛實] 1020
[담부(膽腑)] 담병을 치료하는 법[膽病治法] 1055
[담부(膽腑)] 담기가 끊어진 증후[膽絶候] 609
[담부(膽腑)] 담부에 대한 도인법[膽腑導引法] 839
[담부(膽腑)] 단방(單方)/담부 710
[위부(胃腑)] 위의 형태[胃形象] 767
[위부(胃腑)] 위의 위치[胃部位] 702
[위부(胃腑)] 위는 음식물을 받아들이는 곳이다[胃爲水穀之海] 711
[위부(胃腑)] 위가 크고 작은 것[胃腑大小] 667
[위부(胃腑)] 위의 상태가 겉으로 나타난 증후[胃外候] 868
[위부(胃腑)] 위가 상한 증후[胃傷證] 830
[위부(胃腑)] 위병의 증상[胃病證] 2284
[위부(胃腑)] 위병의 허증과 실증[胃病虛實] 1255
[위부(胃腑)] 위병을 치료하는 법[胃病治法] 2579
[위부(胃腑)] 위의 기가 끊어진 증후[胃絶候] 706
[위부(胃腑)] 단방(單方)/위부 894
[소장부(小腸腑)] 소장의 형태[小腸形象] 597
[소장부(小腸腑)] 소장의 위치[小腸部位] 713
[소장부(小腸腑)] 소장이 전하고 받는 것[小腸傳受] 742
[소장부(小腸腑)] 소장의 상태가 겉으로 나타난 증후[小腸外候] 761
[소장부(小腸腑)] 소장병의 증상[小腸病證] 1080
[소장부(小腸腑)] 소장병을 치료하는 법[小腸病治法] 1075
[소장부(小腸腑)] 소장의 기가 끊어지는 증후[小腸絶候] 620
[소장부(小腸腑)] 단방(單方)/소장부 723
[대장부(大腸腑)] 대장의 형태[大腸形象] 622
[대장부(大腸腑)] 대장의 위치[大腸部位] 1029
[대장부(大腸腑)] 대소장에 달린 줄[大小腸連系] 674
[대장부(大腸腑)] 대장의 상태가 겉으로 나타난 증후[大腸外候] 855
[대장부(大腸腑)] 대장병의 증상[大腸病證] 937
[대장부(大腸腑)] 대장병을 치료하는 법[大腸病治法] 9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