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頭)

머리에 흰 비듬이 생기는 것[頭生白屑]

한닥터 2011.08.06 조회 수 886 추천 수 0
◎ 頭生白屑 ○ 頭生白屑肺之證也肺主皮毛故因風熱而頭皮燥痒生白屑消風散主之(方見上)[綱目] ○ 頭風生白屑極燥痒藜蘆爲末先洗頭候欲乾時取末?之令入髮至皮方得緊縛兩日夜卽不燥痒如不效再用之先以藜蘆煎湯沐頭然後?藥尤妙[入門] ○ 又方白芷零陵香爲末?頭候三五日?去白屑附二三次效[綱目] ○ 頭風白屑瓦松曝乾燒灰淋汁熱洗頭六七度差[本草] ○ 熊腦髓作油摩頭可去白屑[本草]

☞ 머리에 흰 비듬이 생기는 것[頭生白屑]

 ○ 머리에 흰 비듬이 생기는 것은 폐(肺)와 관련된 증상이다. 폐는 피모(皮毛)를 주관하기 때문에 폐가 풍열(風熱)을 받으면 머리의 피부가 마르거나 가려우면서 흰 비듬이 생긴다. 이러 데는 소풍산(消風散, 처방은 위에 있다)을 쓴다[강목]. ○ 두풍증(頭風證)으로 흰 비듬이 생기면서 피부가 몹시 마르고 가려운 데는 박새뿌리(여로)를 가루를 내어 쓰는데 먼저 머리를 씻고 물기없이 말린 다음 머리칼을 헤치고 가루를 피부에 배도록 문질러 바르고 2일 동안 싸매 두면 마르거나 가렵지 않다. 효과가 없으면 또 한번 쓴다. 먼저 박새뿌리(여로)를 달인 물로 머리를 감고 가루를 뿌리면 효과가 더 있다[입문]. ○ 또 한 가지 처방은 백지, 영릉향으로 되어 있는데 가루를 내어 머리에 뿌렸다가 3-5일 지나서 참빗으로 두세번 흰 비듬을 빗어 내리고 난 뒤 두 세 번 더 하면 효과가 있다[강목]. ○ 두풍증으로 흰 비듬이 생긴 데는 와송(瓦松)을 볕에 말려 태워서 잿물을 받아 쓰는데 따뜻하게 하여 예닐곱번 머리를 감으면 낫는다[본초]. ○ 곰의 골수로 기름을 내어 머리에 문지르면 흰 비듬이 없어진다[본초]. 
관련된 글
  1. 명의방론 외과정종 소풍산 – 아토피피부염에 쓸 수 있는 소풍산② by 한닥터
  2. 명의방론 외과정종 소풍산 – 아토피피부염에 쓸 수 있는 소풍산① by 한닥터
  3. 임상 경험방 피부병 by 한닥터
  4. 임상 경험방 여드름 by 한닥터
  5. 회원임상례 (등업용) 60대 여성 피부 소양증 치험례 by 수당
  6. 방약합편 소풍산 消風散 by 한닥터
  7. 기본방 모음 174. 消風散(소풍산) by 한닥터
  8. 회원임상례 (등업용) 이명환자 by 생의한가운데 *1
  9. 방약합편 HK249 消風散(소풍산)(B) by 한닥터
  10. 방약합편 HK131 消風散(소풍산)(A) by 한닥터
  11. 방약합편 294. 消風散(소풍산) by 한닥터
  12. 동의보감 마마를 앓은 뒤의 잡병[痘後雜病] by 한닥터
  13. 동의보감 대풍창(大風瘡, 문둥병) by 한닥터
  14. 동의보감 은진(?疹) by 한닥터
  15. 동의보감 입에서 냄새가 나는 것[口臭] by 한닥터
  16. 동의보감 태풍적란(胎風赤爛) by 한닥터
  17. 동의보감 풍기와편(風起喎偏) by 한닥터
  18. 동의보감 포육교응(胞肉膠凝) by 한닥터
  19. 동의보감 양검점정(兩瞼粘睛) by 한닥터
  20. 동의보감 두풍증(頭風證) by 한닥터
  21. 태암 처방집 鼻流淸涕(비류청체) 疎風散(소풍산) by 한닥터
  22. 방약합편 174. 消風散(소풍산) by 한닥터
  23. 동의보감 처방집 소풍산(消風散) by 한닥터
  24. 임상 경험방 소풍산가감방 by 한닥터
  25. 동의보감 처방집 소풍산(消風散) by 한닥터
  26. 임상 경험방 알러지성 피부염 - 소풍산 by 한닥터
  27. 청강의감 消風淸營湯(소풍청영탕) by 한닥터
  28. 방약합편 112 소풍산(消風散) by 한닥터 *1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채소(菜部)] 홍촉규(紅蜀葵) 홍촉규엽(紅蜀葵葉, 홍촉규잎) 홍촉규화(紅蜀葵花, 홍촉규꽃) 홍촉규자(紅蜀葵子, 홍촉규씨) 479
[채소(菜部)] 동규자(冬葵子, 돌아욱씨) 동규근(冬葵根, 돌아욱뿌리) 동규엽(冬葵葉, 돌아욱잎) 655
[채소(菜部)] 오우(烏芋) 514
[채소(菜部)] 우엽(芋葉, 토란잎) 우자(芋子, 토란) 731
[채소(菜部)] 생강(生薑) 건강(乾薑, 마른생강) 백강(白薑) 건생강(乾生薑, 말린 생강) 1704
[채소(菜部)] 채소부[菜部] ○ 모두 122가지이다. 595
[과실(果部)] 무화과(無花果) 580
[과실(果部)] 야자(椰子) 353
[과실(果部)] 산사자(山?子, 찔광이) 643
[과실(果部)] 비자(榧子) 397
[과실(果部)] 은행(銀杏) 637
[과실(果部)] 진자(榛子, 개암) 326
[과실(果部)] 내자(柰子) 415
[과실(果部)] 해송자(海松子, 잣) 801
[과실(果部)] 미후도(??桃, 다래) 813
[과실(果部)] 호도(胡桃, 당추자) 외청피(外靑皮, 호두의 푸른 겉껍질) 수피(樹皮, 호두나무껍질) 689
[과실(果部)] 이핵인(李核仁, 오얏씨) 이근백피(李根白皮) 이엽(李葉) 이실(李實) 564
[과실(果部)] 임금(林檎, 능금) 동행근(東行根, 동쪽으로 뻗은 능금나무뿌리) 576
[과실(果部)] 이자(梨子, 배) 이엽(梨葉, 배나무잎) 이수피(梨樹皮, 배나무껍질) 667
[과실(果部)] 석류(石榴) 석류각(石榴殼, 석류껍질) 석류화(石榴花, 석류꽃) 동행근피(東行根皮) 874
[과실(果部)] 행핵인(杏核仁, 살구씨) 행실(杏實, 살구열매) 549
[과실(果部)] 도핵인(桃核仁, 복숭아씨) 도화(桃花, 복숭아꽃) 도효(桃梟, 나무에 달린 마른 복숭아) 도모(桃毛, 복숭아털) 도두(桃?, 복숭아나무벌레) 경백피(莖白皮, 복숭아나무속껍질) 도엽(桃葉, 복숭아나무잎) 도교(桃膠, 복숭아나무진) 도실(桃實, 복숭아열매) 1307
[과실(果部)] 유당(乳糖) 사당(沙糖, 사당) 519
[과실(果部)] 용안(龍眼) 용안핵(龍眼核, 용안씨) 499
[과실(果部)] 여지(?枝, 예지) 여지핵(?枝核, 예지씨) 535
[과실(果部)] 비파엽(枇杷葉) 비파실(枇杷實, 비파나무열매) 762
[과실(果部)] 홍시(紅?, 연감) 오시(烏?) 백시(白?, 곶감) 소시(小?, 고욤) 비시(??, 먹감) 702
[과실(果部)] 모과(木瓜) 모과지엽(木瓜枝葉, 모과나무의 가지와 잎) 모과근(木瓜根) 653
[과실(果部)] 매실(梅實, 매화열매) 오매(烏梅) 백매(白梅) 매엽(梅葉, 매화나무잎) 1469
[과실(果部)] 등자피(橙子皮, 등자나무껍질) 7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