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頭)

단방(單方)/머리

한닥터 2011.08.06 조회 수 605 추천 수 0
◎ 單方 ○ 凡二十六種
☞ 단방(單方)/머리 ○ 모두 26가지이다. 

◈ 硝石 ○ 治偏正頭痛取硝末少許吹入鼻中左痛吹右右痛吹左卽愈(焰硝同)[本草]
☞ 초석(硝石) ○ 편두통, 정두통을 치료한다. 가루내서 적은 양을 콧구멍에 불어넣는데 머리 왼쪽이 아프면 오른쪽 콧구멍에, 머리 오른쪽이 아프면 왼쪽 콧구멍에 불어넣으면 곧 낫는다. 염초도 같다[본초]. 

◈ 石膏 ○ 治熱厥頭痛陽明頭痛爲主藥白虎湯(方見寒門)是也[本草] ○ 治陽明頭痛大效石膏川芎白芷等分爲末每三錢茶淸調下名石膏散[綱目]
☞ 석고(石膏) ○ 열궐두통(熱厥頭痛)과 양명두통(陽明頭痛)에 주로 쓰는 약은 백호탕(白虎湯, 처방은 상한문에 있다)이다[본초]. ○ 양명두통을 치료하는 데도 효과가 있다. 석고, 천궁, 백지 각각 같은 양을 가루를 내어 한번에 12g씩 찻물에 타서 먹는다. 이것을 일명 석고산(石膏散)이라고 한다[강목]. 

◈ 甘菊 ○ 治風眩頭痛取花爲末酒調服一錢日再或多取釀酒或浸酒服之(酒法見雜方) ○ 又取嫩莖葉作羹作菜食亦良白菊尤佳[本草]
☞ 감국(甘菊, 단국화) ○ 풍증으로 어지럽고 머리가 아픈 것을 치료한다. 꽃을 가루를 내어 한번에 4g씩 하루 두번 술에 타 먹는다. 많은 양의 꽃으로 술을 만들어 먹거나 술에 담가서 먹기도 한다(술을 만드는 방법은 잡방에 있다). ○ 또는 연한 줄기나 잎으로 국을 끓여서 먹거나 나물을 만들어 먹어도 좋다. 흰국화가 더 좋다[본초]. 

◈ 羌活 ○ 治賊風頭痛眩暈乃太陽頭痛主藥也又主風毒頭連齒痛?煎服之[本草]
☞ 강활(羌活, 강활) ○ 적풍(賊風)으로 머리가 아프고 어지러운 것을 치료하는데 태양두통(太陽頭痛)에 쓰는 주약(主藥)이다. 또한 풍독(風毒)으로 머리와 이빨이 아픈 데는 썰어서 달여 먹는다[본초]. 

◈ 細辛 ○ 主風頭痛腦動治頭面風不可闕也[本草] ○ 治足少陰腎經苦頭痛煎服末服皆佳[綱目]
☞ 세신(細辛, 세신) ○ 풍으로 머리가 아프고 뇌가 흔들리는 것같은 것을 치료하는 데와 두면풍(頭面風)㈜을 치료하는 데 없어서는 안 될 약이다[본초]. ○ 족소음신경통으로 머리가 몹시 아플 때에는 달여 먹거나 가루를 내어 먹어도 다 좋다[강목]. 
[註] 두면풍(頭面風) : 머리와 얼굴에 땀이 많이 나면서 바람을 싫어하고 머리가 아픈 것을 말하는데 일명 수풍(首風)이라고도 한다. 

◈ 芎? ○ 主風邪入腦頭痛治頭面風不可闕也[本草] ○ 治偏正頭痛常服除根川芎二兩香附子四兩爲末每二錢茶淸調下名點頭散[得效] ○ 治熱厥頭痛川芎石膏等分?水煎服名川芎石膏湯[綱目] ○ 川芎治厥陰經頭痛在腦[綱目] ○ 偏頭痛細?酒浸服之或煎服或末服竝佳[本草]
☞ 궁궁(芎?, 천궁) ○ 뇌에 풍사(風邪)가 들어가서 생긴 두통을 주로 치료하는 약이다. 두면풍(頭面風)을 치료하는 데 없어서는 안 될 약이다[본초]. ○ 편두통, 정두통을 치료하는데 늘 먹으면 완전히 낫는다. 천궁 80g,향부자 160g을 가루를 내어 한번에 8g씩 찻물에 타 먹는다. 이것을 일명 점두산(點頭散)이라고 한다[득효]. ○ 열궐두통을 치료하는 데는 천궁과 석고를 쓰는데 각각 같은 양으로 하여 썰어서 물에 달여 먹는다. 이것을 일명 천궁석고탕(川芎石膏湯)이라고 한다[강목]. ○ 천궁는 궐음두통으로 뇌 속이 아픈 것을 치료한다[강목]. ○ 편두통(偏頭痛)에는 잘게 썰어 술에 담갔다가 먹거나 달여 먹거나 가루를 내어 먹어도 다 좋다[본초]. 

◈ 防風 ○ 主大風頭眩痛又主頭面去來風煎服末服皆佳[本草] ○ 治上部風邪之仙藥也[湯液]
☞ 방풍(防風) ○ 대풍(大風)으로 머리가 어지럽고 아픈 것을 주로 치료한다. 또한 머리와 얼굴에 풍이 왔다갔다하는 것도 낫게 한다. 달여 먹거나 가루를 내어 먹어도 다 좋다[본초]. ○ 상초에 풍사(風邪)가 있는 것을 치료하는 좋은 약이다[탕액]. 

◈ 決明子 ○ 治頭風明目作枕枕之勝菉豆[本草] ○ 偏頭痛作末水調貼太陽穴甚妙[本草]
☞ 결명자(決明子, 결명씨) ○ 두풍증을 치료하는데 눈을 밝게 한다. 베개를 만들어 베고 자면 녹두보다 낫다[본초]. ○ 편두통일 때에는 가루를 내서 물에 개어 태양혈(太陽穴) 부위에 붙이면 아주 좋다[본초]. 

◈ 蒼耳 ○ 主風頭寒痛 ○ 婦人血風攻腦忽暈倒取嫩心陰乾爲末酒服二錢名喝起散[本草] ○ 此藥多達腦盖善通頂門末服煎服皆佳[本草]
☞ 창이(蒼耳, 도꼬마리) ○ 풍(風)으로 머리가 차고 아픈 것을 주로 치료한다. ○ 부인이 혈풍이 뇌로 들어가서 갑자기 어지러워 넘어졌을 때에는 연한 속잎을 따서 그늘에 말린 다음 가루를 내어 한번에 8g씩 술에 타 먹는다. 일명 갈기산(喝起散)이라고도 한다[본초]. ○ 이 약의 기운은 흔히 뇌로 가는데 정수리로도 간다. 가루를 내어 먹거나 달여 먹어도 좋다[본초]. 

◈ 葛根 ○ 主傷寒中風頭痛煎服之[本草] ○ 陽明經頭痛藥也[湯液]
☞ 갈근(葛根, 갈근) ○ 상한(傷寒)과 중풍(中風)으로 머리가 아픈 것을 치료하는 데 달여 먹는다[본초]. ○ 양명경두통을 치료하는 약이다[탕액]. 

◈ 當歸 ○ 治血虛頭痛細?酒煎服之[本草]
☞ 당귀(當歸) ○ 혈(血)이 허해서 머리가 아픈 것을 치료하는데 잘게 썰어서 술에 달여 먹는다[본초]. 

◈ 麻黃 ○ 主風寒頭痛去節煎服[本草]
☞ 마황(麻黃) ○ 풍한(風寒)으로 머리가 아픈 것을 치료한다. 마디를 버리고 달여 먹는다[본초]. 

◈ 白芷 ○ 主熱風頭痛又主風眩作丸服名都梁丸[本事] ○ 治陽明頭痛在額煎服末服亦佳[湯液]
☞ 백지(白芷, 백지) ○ 열이나 풍으로 머리가 아픈 것을 치료한다. 또한 풍증으로 어지러운 것도 낫게 하는데 알약을 만들어 먹는다. 일명 도량환(都梁丸)이라고도 한다[본사]. ○ 양명두통(陽明頭痛)으로 이마가 아픈 것을 치료하는 데는 달여 먹거나 가루내어 먹어도 다 좋다[탕액]. 

◈ 藁本 ○ 主風頭痛去頭風[本草] ○ 治?頂痛腦齒痛引諸藥至頂上煎服末服竝佳[丹心]
☞ 고본(藁本) ○ 풍으로 머리가 아픈 것을 치료하고 두풍을 없앤다[본초]. ○ 이 약은 정수리와 이마가 아프고 속골과 이빨이 아픈 것을 치료하며 여러 가지 약 기운을 머리로 끌어 올린다. 달여 먹거나 가루를 내어 먹어도 다 좋다[단심]. 

◈ 半夏 ○ 主頭眩[本草] ○ 足太陰痰厥頭痛非此不除煎服之[東垣]
☞ 반하(半夏, 반하) ○ 어지럼증[頭眩]을 치료한다[본초]. ○ 족태음의 담궐(痰厥)로 생긴 두통은 이 약이 아니면 치료할 수 없다. 달여 먹는다[동원]. 

◈ 蔓荊子 ○ 主風頭痛腦鳴煎服之[本草] ○ 太陽經頭痛之藥散風邪除頭昏目暗[丹心]
☞ 만형자(蔓荊子, 순비기열매) ○ 풍(風)으로 머리가 아프고 속골에서 소리가 나는 것 같은 것을 치료하는데 달여 먹는다[본초]. ○ 태양경두통(太陽經頭痛)에 쓰는 약인데 풍사(風邪)를 없애고 머리가 흐릿하며 눈 앞이 캄캄한 것을 치료한다[단심]. 

◈ 山茱萸 ○ 主頭風腦骨痛又治肝虛眩暈乃肝藏藥也煎服之[本草]
☞ 산수유(山茱萸) ○ 두풍증(頭風證)과 머리뼈가 아픈 것을 치료한다. 또한 간이 허하여 나는 어지럼증도 치료하는데 간병에 쓰는 약이다. 달여 먹는다[본초]. 

◈ ?莢 ○ 除頭風頭痛作末吹鼻中又可爲沐藥[本草]
☞ 조협(?莢, 조협) ○ 두풍증과 머리가 아픈 것을 치료한다. 가루를 내어 콧구멍에 불어넣는데 목욕시키는 약으로도 쓴다[본초]. 

◈ 茶 ○ 臘茶也能淸利頭目煎湯常飮之茗葉同功[本草]
☞ 다(茶) ○ 작설차는 머리와 눈을 맑게 하고 시원하게 한다. 달여서 늘 먹는다. 차싹과 잎도 효과가 같다[본초]. 

◈ 荊芥 ○ 主頭旋目眩又治頭風爲要藥煎服末服皆佳[本草] ○ 治頭風荊芥穗石膏?等分爲末每二錢以薑?煎水調下名荊芥散[綱目]
☞ 형개(荊芥) ○ 머리가 핑핑 돌고 눈 앞이 어지러운 것을 치료하는데 두풍증에 중요하게 쓰는 약이다. 달여 먹거나 가루를 내어 먹어도 다 좋다[본초]. ○ 두풍(頭風)을 치료하는데 형개수(荊芥穗)와 석고(달군 것)를 각각 같은 양으로 하여 가루를 내서 한번에 8g씩 생강이나 파를 달인 물에 타 먹는다. 일명 형개산(荊芥散)이라고도 한다[강목]. 

◈ ?白 ○ 連鬚者治傷寒頭痛煎服出汗卽效太陽經藥也[本草]
☞ 총백(?白, 파밑) ○ 뿌리가 달린 채로 쓴다. 상한(傷寒)으로 머리가 아픈 데는 달여 먹고 땀을 내면 효과가 있다. 태양경의 약이다[본초]. 

◈ 菉豆 ○ 治頭風頭痛作枕枕之佳[本草]
☞ 녹두(菉豆) ○ 두풍증과 머리가 아픈 것을 치료한다. 베개를 만들어 베고 자면 좋다[본초]. 

◈ 蘿蔔 ○ 治偏頭痛取汁 鼻中(詳見 鼻條) ○ 炭烟熏人致頭痛生蘿?取汁飮之無則蘿?子硏爛取汁服亦佳[得效]
☞ 나복(蘿蔔, 무) ○ 편두통을 치료하는데 즙을 내어 콧구멍에 넣는다(코에 약을 넣는 방법에 자세하게 있다). ○ 숯냄새를 맡아서 머리가 아픈 데는 생무즙을 내어 먹는데 무가 없으면 나복자를 갈아서 즙을 내어 먹어도 좋다[득효]. 

◈ 薄荷 ○ 治頭風又治風熱頭痛爲淸上要切之藥煎服末服竝佳[本草]
☞ 박하(薄荷) ○ 두풍증을 치료한다. 또한 풍열(風熱)로 머리가 아픈 것도 치료한다. 상초를 시원하게 하는데 좋은 약이다. 달여 먹거나 가루를 내어 먹어도 다 좋다[본초]. 

◈ 黃牛腦髓 ○ 治偏正頭痛取髓一箇入白芷川芎末各三錢同入磁器內加酒煮熟乘熱服之盡量一醉醒後其疾如失[入門]
☞ 황우뇌수(黃牛腦髓, 누런 소의 골) ○ 편두통(偏頭痛), 정두통(正頭痛)을 치료한다. 골 1마리분을 백지와 천궁가루 각각 12g을 사기그릇에 담은 다음 술을 붓고 푹 달여서 따뜻할 때 마음껏 먹고 취했다가 깨어나면 병이 낫는다[입문]. 

◈ ?頭 ○ 主頭風眩顚倒燒灰酒調服[本草]
☞ 치두(?頭, 소리개 대가리) ○ 두풍증으로 어지러워서 넘어지는 것을 치료한다. 불에 태워 가루를 내서 술에 타 먹는다[본초].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새(禽部)] 교부조(巧婦鳥, 뱁새) 326
[새(禽部)] 호작(蒿雀, 촉새) 340
[새(禽部)] 갈계(?鷄) 312
[새(禽部)] 백설조(百舌鳥, 꾀꼬리) 537
[새(禽部)] 황갈후(黃褐侯 호도애) 377
[새(禽部)] 포곡(布穀, 뻐꾹새) 393
[새(禽部)] 두견(杜鵑, 소쩍새) 284
[새(禽部)] 효목(?目, 올빼미눈알) 402
[새(禽部)] 벽체고(??膏, 뜸부기기름) 319
[새(禽部)] 노사육(鷺?肉) 369
[새(禽部)] 백구육(白鷗肉, 갈매기고기) 712
[새(禽部)] 절지(竊脂) 290
[새(禽部)] 창경(??) 328
[새(禽部)] 자고(??, 자고새) 358
[짐승(獸部)] 약으로 쓰는 짐승[獸部] 466
[짐승(獸部)] 용골(龍骨) 용치(龍齒) 자소화(紫梢花) 586
[짐승(獸部)] 사향(麝香) 사육(麝肉) 수사(水麝) 532
[짐승(獸部)] 우황(牛黃) 우육(牛肉, 쇠고기) 우각시(牛角?) 777
[짐승(獸部)] 웅지(熊脂) 웅담(熊膽) 웅뇌(熊腦) 웅골(熊骨) 웅혈(熊血) 웅장(熊掌, 곰발바닥) 626
[짐승(獸部)] 상아(象牙) 422
[짐승(獸部)] 백교(白膠) 녹각교(鹿角膠) 녹각상(鹿角霜) 577
[짐승(獸部)] 아교(阿膠) 991
[짐승(獸部)] 우유(牛乳) 양유(羊乳) 마유(馬乳) 낙(酪, 타락) 수(?, 졸인 젖) 제호(醍?) 1112
[짐승(獸部)] 해달(海獺, 바다수달) 672
[짐승(獸部)] 백마경(白馬莖) 백마육(白馬肉) 백마심(白馬心) 백마폐(白馬肺) 543
[짐승(獸部)] 녹용(鹿茸) 녹각(鹿角) 녹골(鹿骨) 녹수(鹿髓) 녹혈(鹿血) 녹육(鹿肉) 1193
[짐승(獸部)] 미지(?脂, 고라니 기름) 미용(?茸) 미각(?角) 548
[짐승(獸部)] 장골(?骨, 노루뼈) 장육(?肉, 노루고기) 장제(?臍) 1345
[짐승(獸部)] 궤육(?肉, 효근노루) 472
[짐승(獸部)] 고양각(?羊角, 숫양의 뿔),고양두(?羊頭) 고양육(?羊肉) 7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