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굴(面)

얼굴은 모든 양이 모이는 곳이다[面爲諸陽之會]

한닥터 2011.08.06 조회 수 772 추천 수 0
◎ 面爲諸陽之會 ○ 靈樞曰手之三陽從手走至頭 ○ 手太陽之脈從缺盆貫頸上頰至目銳?手少陽之脈從缺盆上耳上角以屈下頰至?手陽明之脈從缺盆上頸貫頰交人中上挾鼻孔此從下而上于面也[銅人] ○ 靈樞曰足之三陽從頭走至足 ○ 足太陽之脈起於目內?上額交?上足少陽之脈起於目銳?上抵頭角足陽明之脈起於鼻交?中此從面而走至足也[銅人] ○ 此手足六陽之脈俱會於面也

☞ 얼굴은 모든 양이 모이는 곳이다[面爲諸陽之會]

 ○ 『영추』에 "수삼양경맥(手三陽經脈)은 손에서 시작하여 머리로 갔다"고 씌어 있다. ○ 수태양경맥(手太陽經脈)은 결분(缺盆)에서 목을 지나 뺨으로 올라가 눈귀에까지 간다. 수소양경맥은 결분에서 귀 위 모서리로 올라갔다가 다시 구부러져 뺨으로 내려와 관골까지 간다. 수양경맥은 결분에서 목을 지나 뺨을 뚫고 나가 인중에서 사귄 다음 콧구멍을 끼고 올라간다. 이상의 것들은 아래에서 얼굴로 올라간 것들이다[동인]. ○ 『영추』에 "족삼양경맥(足三陽經脈)은 머리에서 시작하여 발로 내려간다"고 씌어 있다. ○ 족태양경맥(足太陽經脈)은 눈의 안쪽 구석에서 시작하여 이마로 올라가서 정수리에서 사귄다[交]. 족소양경맥은 눈귀[目銳?]에서 시작하여 머리 모서리로 올라간다. 족양명경맥은 코뼈가 맞닿은 곳에서 시작한다. 위의 것들은 얼굴에서 시작하여 발로 내려간 것들이다[동인]. ○ 이것은 수족삼양경맥(手足三陽經脈)이 모두 얼굴에 모인 것을 말한 것이다.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과실(果部)] 행핵인(杏核仁, 살구씨) 행실(杏實, 살구열매) 549
[과실(果部)] 석류(石榴) 석류각(石榴殼, 석류껍질) 석류화(石榴花, 석류꽃) 동행근피(東行根皮) 874
[과실(果部)] 이자(梨子, 배) 이엽(梨葉, 배나무잎) 이수피(梨樹皮, 배나무껍질) 667
[과실(果部)] 임금(林檎, 능금) 동행근(東行根, 동쪽으로 뻗은 능금나무뿌리) 576
[과실(果部)] 이핵인(李核仁, 오얏씨) 이근백피(李根白皮) 이엽(李葉) 이실(李實) 564
[과실(果部)] 호도(胡桃, 당추자) 외청피(外靑皮, 호두의 푸른 겉껍질) 수피(樹皮, 호두나무껍질) 689
[과실(果部)] 미후도(??桃, 다래) 813
[과실(果部)] 해송자(海松子, 잣) 801
[과실(果部)] 내자(柰子) 415
[과실(果部)] 진자(榛子, 개암) 326
[과실(果部)] 은행(銀杏) 637
[과실(果部)] 비자(榧子) 397
[과실(果部)] 산사자(山?子, 찔광이) 643
[과실(果部)] 야자(椰子) 353
[과실(果部)] 무화과(無花果) 580
[채소(菜部)] 채소부[菜部] ○ 모두 122가지이다. 595
[채소(菜部)] 생강(生薑) 건강(乾薑, 마른생강) 백강(白薑) 건생강(乾生薑, 말린 생강) 1704
[채소(菜部)] 우엽(芋葉, 토란잎) 우자(芋子, 토란) 731
[채소(菜部)] 오우(烏芋) 514
[채소(菜部)] 동규자(冬葵子, 돌아욱씨) 동규근(冬葵根, 돌아욱뿌리) 동규엽(冬葵葉, 돌아욱잎) 655
[채소(菜部)] 홍촉규(紅蜀葵) 홍촉규엽(紅蜀葵葉, 홍촉규잎) 홍촉규화(紅蜀葵花, 홍촉규꽃) 홍촉규자(紅蜀葵子, 홍촉규씨) 479
[채소(菜部)] 황촉규화(黃蜀葵花, 닥풀) 황촉규자(黃蜀葵子, 황촉규씨) 768
[채소(菜部)] 현실(?實, 비름씨) 580
[채소(菜部)] 마치현(馬齒?, 쇠비름) 마치현자(馬齒 子, 쇠비름씨) 659
[채소(菜部)] 만정(蔓菁, 순무) 만정자(蔓菁子, 순무씨) 574
[채소(菜部)] 내복(萊?, 무) 845
[채소(菜部)] 숭채(?菜, 배추) 숭채자(?菜子, 배추씨) 숭채제(?菜?, 김칫국물) 878
[채소(菜部)] 죽순(竹筍) 540
[채소(菜部)] 서과(西瓜, 수박) 695
[채소(菜部)] 첨과(甛瓜, 참외) 과체(瓜蒂, 참외꼭지) 과자(瓜子, 참외씨) 엽(葉, 참외잎) 화(花, 참외꽃) 9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