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굴(面)

얼굴은 모든 양이 모이는 곳이다[面爲諸陽之會]

한닥터 2011.08.06 조회 수 772 추천 수 0
◎ 面爲諸陽之會 ○ 靈樞曰手之三陽從手走至頭 ○ 手太陽之脈從缺盆貫頸上頰至目銳?手少陽之脈從缺盆上耳上角以屈下頰至?手陽明之脈從缺盆上頸貫頰交人中上挾鼻孔此從下而上于面也[銅人] ○ 靈樞曰足之三陽從頭走至足 ○ 足太陽之脈起於目內?上額交?上足少陽之脈起於目銳?上抵頭角足陽明之脈起於鼻交?中此從面而走至足也[銅人] ○ 此手足六陽之脈俱會於面也

☞ 얼굴은 모든 양이 모이는 곳이다[面爲諸陽之會]

 ○ 『영추』에 "수삼양경맥(手三陽經脈)은 손에서 시작하여 머리로 갔다"고 씌어 있다. ○ 수태양경맥(手太陽經脈)은 결분(缺盆)에서 목을 지나 뺨으로 올라가 눈귀에까지 간다. 수소양경맥은 결분에서 귀 위 모서리로 올라갔다가 다시 구부러져 뺨으로 내려와 관골까지 간다. 수양경맥은 결분에서 목을 지나 뺨을 뚫고 나가 인중에서 사귄 다음 콧구멍을 끼고 올라간다. 이상의 것들은 아래에서 얼굴로 올라간 것들이다[동인]. ○ 『영추』에 "족삼양경맥(足三陽經脈)은 머리에서 시작하여 발로 내려간다"고 씌어 있다. ○ 족태양경맥(足太陽經脈)은 눈의 안쪽 구석에서 시작하여 이마로 올라가서 정수리에서 사귄다[交]. 족소양경맥은 눈귀[目銳?]에서 시작하여 머리 모서리로 올라간다. 족양명경맥은 코뼈가 맞닿은 곳에서 시작한다. 위의 것들은 얼굴에서 시작하여 발로 내려간 것들이다[동인]. ○ 이것은 수족삼양경맥(手足三陽經脈)이 모두 얼굴에 모인 것을 말한 것이다.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신형(身形)] 늙는 것은 혈기가 부족하기 때문이다[老因血衰] 1032
[오줌(小便)] 관격이 되었을 때에는 토하고 설사시켜야 한다[關格宜吐瀉] 1030
[학질(?疾)] 오한이 났다 열이 났다 하는 것이 학질과 비슷한 것[寒熱似?] 1030
[대장부(大腸腑)] 대장의 위치[大腸部位] 1029
[적취(積聚)] 적취의 원인[積聚之因] 1029
[침구(針灸)] 8회혈(八會穴) 1028
[담음(痰飮)] 복음(伏飮) 1028
[침구(針灸)] 뜸뜨는 시간[下火灸時法] 1025
[목소리(聲音)] 갑자기 목소리가 나오지 않는 것[卒然無音] 1024
[이빨(牙齒)] 담독으로 이빨이 아픈 것[毒痰痛] 1024
[황달(黃疸)] 달벽 때에는 흙, 숯, 생쌀, 차잎을 먹기 좋아한다[疸癖愛喫土炭生米茶葉] 1024
[옹저(癰疽)] 옹저 때 설사 하는 것[癰疽泄瀉] 1024
[혈(血)] 망혈증(亡血證)과 탈혈증(脫血證)[亡血脫血證] 1023
[오줌(小便)] 냉림(冷淋) 1023
[대변(大便)] 신설(腎泄) 1023
[귀(耳)] 막힌 것을 열어 주고 기를 통하게 하는 약[透關通氣藥] 1023
[습(濕)] 안개와 이슬의 맑고 탁한 사기가 사람에게 침습한다[霧露淸濁之邪中人] 1021
[진액(津液)] 몸 안에 있는 진액[身中津液] 1020
[담부(膽腑)] 담병의 허증과 실증[膽病虛實] 1020
[곡식(穀部)] 적소두(赤小豆, 붉은팥) 1019
[내상(內傷)] 내상에는 음식상과 노권상의 2가지 원인이 있다[內傷有飮食傷勞倦傷二因] 1018
[가슴(胸)] 음심통(飮心痛) 1017
[담부(膽腑)] 담의 위치[膽部位] 1016
[전음(前陰)] 음낭이 붓는 것[陰腫] 1016
[이빨(牙齒)] 빠진 이빨을 다시 나오게 하는 방법[落齒重生方] 1015
[전음(前陰)] [陰腫陰痒陰瘡陰冷交接出血] 1015
[습(濕)] 습비(濕痺) 1015
[허리(腰)] 기로 허리가 아픈 것[氣腰痛] 1014
[곡식(穀部)] 호마(胡麻, 검은참깨 또는 검정참깨) 1014
[기(氣)] 기(氣)는 호흡의 근원이 된다[氣爲呼吸之根] 1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