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굴(面)

얼굴은 추위를 견딘다[人面耐寒]

한닥터 2011.08.06 조회 수 661 추천 수 0
◎ 人面耐寒 ○ 黃帝問曰首面與身形也屬骨連筋同血合於氣耳天寒則裂地凌氷其卒寒或手足解惰然而其面不衣何也岐伯答曰人之十二經脈三百六十五絡其血氣皆上於面而走空竅其精陽氣上走於目而爲睛其別氣走於耳而爲聽其宗氣上出於鼻而爲臭其濁氣出於胃走脣舌而爲味其氣之津液皆上熏於面而皮又厚其肉堅故大熱甚寒不能勝之也[靈樞] ○ 人面獨能耐寒者何也盖人頭者諸陽之會也諸陰脈皆至頸項中而還獨諸陽脈皆上至頭故令面耐寒也[難經]

☞ 얼굴은 추위를 견딘다[人面耐寒]
 
○ 황제는 "머리나 얼굴이나 몸통에 뼈와 힘줄이 분포되어 있는 것과 같이 기와 혈이 도는 것은 다 같은데 날씨가 차져서 땅이 얼어터지고 물이 얼도록 갑자기 추워지면 손발을 잘 쓸 수 없다. 그러나 얼굴은 가리지 않아도 되는데 그 원인은 무엇인가"고 물었다. 그러자 기백이 "몸에 있는 12경맥과 365낙맥의 기혈은 다 얼굴로 올라가서 공규(空竅)㈜에 퍼졌다. 즉 정기(精氣)와 양기(陽氣)는 눈으로 올라가서 볼 수 있게 하고 다른 기운은 귀로 올라가서 들을 수 있게 하며 종기(宗氣)는 코로 올라가서 냄새를 맡을 수 있게 하고 탁기(濁氣)는 위(胃)에서 나와 입술과 혀로 가서 맛을 알 수 있게 하며 기의 진액[氣之津液]은 얼굴로 올라가 퍼진다. 그리고 또 얼굴의 피부는 두텁고 살이 단단하기 때문에 아무리 덥거나 몹시 추워도 아무런 일이 없는 것이다"고 대답하였다[영추]. ○ 사람이 얼굴만이 특히 추위를 견디어 내는 것은 어떻게 되어서인가? 그것은 머리에 모든 양경맥이 모이기 때문이다. 즉 모든 음경맥은 다 목까지 와서 끝나지만 모든 양경맥은 다 머리까지 올라갔다. 그러므로 얼굴이 추위에 견딜 수 있는 것이다[난경]. 

[註] 공규(空竅): 사람의 몸에 있는 구멍들, 즉 땀구멍, 귀, 코, 입, 눈 등이다.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담부(膽腑)] 담병의 허증과 실증[膽病虛實] 1020
[담부(膽腑)] 담병을 치료하는 법[膽病治法] 1054
[담부(膽腑)] 담기가 끊어진 증후[膽絶候] 608
[담부(膽腑)] 담부에 대한 도인법[膽腑導引法] 839
[담부(膽腑)] 단방(單方)/담부 710
[위부(胃腑)] 위의 형태[胃形象] 767
[위부(胃腑)] 위의 위치[胃部位] 702
[위부(胃腑)] 위는 음식물을 받아들이는 곳이다[胃爲水穀之海] 711
[위부(胃腑)] 위가 크고 작은 것[胃腑大小] 667
[위부(胃腑)] 위의 상태가 겉으로 나타난 증후[胃外候] 868
[위부(胃腑)] 위가 상한 증후[胃傷證] 830
[위부(胃腑)] 위병의 증상[胃病證] 2283
[위부(胃腑)] 위병의 허증과 실증[胃病虛實] 1255
[위부(胃腑)] 위병을 치료하는 법[胃病治法] 2577
[위부(胃腑)] 위의 기가 끊어진 증후[胃絶候] 706
[위부(胃腑)] 단방(單方)/위부 894
[소장부(小腸腑)] 소장의 형태[小腸形象] 597
[소장부(小腸腑)] 소장의 위치[小腸部位] 713
[소장부(小腸腑)] 소장이 전하고 받는 것[小腸傳受] 742
[소장부(小腸腑)] 소장의 상태가 겉으로 나타난 증후[小腸外候] 761
[소장부(小腸腑)] 소장병의 증상[小腸病證] 1080
[소장부(小腸腑)] 소장병을 치료하는 법[小腸病治法] 1075
[소장부(小腸腑)] 소장의 기가 끊어지는 증후[小腸絶候] 620
[소장부(小腸腑)] 단방(單方)/소장부 723
[대장부(大腸腑)] 대장의 형태[大腸形象] 622
[대장부(大腸腑)] 대장의 위치[大腸部位] 1029
[대장부(大腸腑)] 대소장에 달린 줄[大小腸連系] 674
[대장부(大腸腑)] 대장의 상태가 겉으로 나타난 증후[大腸外候] 855
[대장부(大腸腑)] 대장병의 증상[大腸病證] 937
[대장부(大腸腑)] 대장병을 치료하는 법[大腸病治法] 936